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들어가며 8

1. 주제와 범위 8

2. 선행연구 12

2.1. 주요 선행연구 12

2.2. 국내 연구상황 19

3. 연구의 목적 22

II. 새로운 음악극의 전조 24

1. 20세기 후반의 개념 전환 24

1.1. '저자의 죽음' : 저자에서 독자로 25

1.2. '수용 이론' : 수용자에서 해석자로 27

1.3. '퍼포먼스 이론' : 작품에서 공연으로 30

2. 소리 이상의 음악 33

2.1. 실험적 음악극 33

2.2. 존 케이지와 아방가르드 37

3. 언어 이상의 연극 42

3.1. 연출가 연극에서의 음악성 43

3.2. 포스트드라마 연극 46

III. 새로운 음악극의 양상 50

1. 《미씽》 51

1.1. 드라마의 약화 51

1.2. 세 가지 음악 53

1.3. 구조와 장면 55

1.4. 음악으로 장면을 구성하기: 장면 4 59

1.5. 음악이 말하게 하다: 장면 5와 12 61

2. 《더 워》 64

2.1. '사운드라마' 64

2.2. 극적 측면: 구조와 언어 65

2.3. 음악적 측면: 선율 모티브 68

2.4. 음악적 측면: 연기자로서의 연주자 70

3. 《미씽》과 《더 워》의 교차점 75

3.1. 음악의 형태 75

3.2. 음악의 역할 79

IV. 나가며 83

참고문헌 87

Abstract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