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9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 문제 및 가설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4

1. 취업스트레스 14

1) 취업스트레스 14

2) 사회복지 전공생의 취업스트레스 17

3) 청년복지 19

2. 마음챙김 20

1) 마음챙김의 개념 20

3)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적 프로그램 24

3.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 39

4. 취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 40

5. 마음챙김과 우울 및 불안 42

6. 취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 및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 44

7.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49

제3장 연구 방법 51

1. 연구모형 51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52

3. 윤리적 고려 53

4. 측정도구 53

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척도 53

2)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K-MAAS) 54

3) 우울 및 불안 척도(DASS-21) 54

5. 자료 분석 방법 56

제4장 연구 결과 57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7

2. 배경변인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의 평균차이 59

1) 성별의 따른 취업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의 차이 59

2) 종교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의 차이 60

3) 경제수준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의 차이 62

3. 주요변수의 특성 및 변수 간 상관관계 63

1) 주요변수의 특성 63

2)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66

4. 조절효과 분석 67

1) 취업스트레스, 우울, 마음챙김 간의 관계 68

2) 취업스트레스, 불안, 마음챙김 간의 관계 69

제5장 결론 및 함의 72

1. 요약 72

2. 함의 73

3.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 제언 75

참고문헌 76

부록 86

Abstract 91

표목차

〈표 1〉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 25

〈표 2〉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메뉴얼 28

〈표 3〉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 내용 30

〈표 4〉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술훈련 프로그램 메뉴얼 재구성 33

〈표 5〉 마음챙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47

〈표 6〉 우울 및 불안의 기준 55

〈표 7〉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8

〈표 8〉 성별의 따른 취업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의 차이 60

〈표 9〉 종교유무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의 차이 61

〈표 10〉 경제수준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의 차이 62

〈표 11〉 주요변수의 특성(기술통계) 63

〈표 12〉 주요변수의 특성(빈도분석) 65

〈표 13〉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66

〈표 14〉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68

〈표 15〉 취업스트레스와 불안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69

그림목차

[그림 1]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모형 51

[그림 2] 취업스트레스와 불안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모형 52

[그림 3]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70

[그림 4] 취업스트레스와 불안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71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전공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우울 및 불안은 어느 정도 인가?

둘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마음챙김은 사회복지 전공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가?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 소재 4년제 사회복지학과 3곳을 선정하였다. 사회복지 전공생 27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취업스트레스 척도,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 DASS-21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 처리를 위하여 SPSS 2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분석 및 Scheffe검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는 평균 2.33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0.72, 불안은 0.60으로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은 10.9%로 나타났다. 우울은 34.0%, 불안은 31.5%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취업스트레스는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 전공생의 우울 및 불안 문제 개선에 대처방식으로서의 마음챙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전공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우울 및 불안과 같은 심리 상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데 마음챙김 기반 프로그램 및 마음챙김 훈련의 적용을 제안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