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목차

I. 서론 14

1. 연구목적 14

2. 선행연구 분석 16

가.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고민 16

나. 억압과 수탈 중심의 연구경향에 대한 반성 18

3. 연구방법 20

가. 분석 자료 소개 20

나. 데이터베이스의 활용과 분석 23

4. 연구개요 28

II. 마산부의 형성, 조선인과 일본인의 '合居' 30

1. 원마산의 변천과 신마산의 대두 30

가. 마산포 개항과 원마산의 변천 30

나. 일본인 거류지의 등장 31

다. 마산부의 형성 34

2. 근대적 기반 시설 확충 39

가. 곡물이출을 위한 마산지역 순환철도 건설 39

나. 시내 도로망 건설과 급수시설의 정비 43

다. 마산포 개선 사업과 매축 48

3. 민족별 인구의 사회적 동향 53

가. 민족별 시기별 인구 변동 53

나. 직업별 인구 변동 56

III. 마산부 사업체 설립과 주도세력의 변화 60

1. 사업체 설립의 '민족 차별' 60

가. 시기별 회사 추이와 민족별 특성 60

나. 시기별 공장 운영과 주도세력의 변화 67

다. 틈새시장 속의 개인상업체 71

2. 조선인 기업의 저항과 협력 74

가. 주력 회사 업종 74

나. 조선인 공장 생산의 특성 86

다. 일상생필품 중심의 개인상업체 운영 93

3. 민족별 사업체 설립 위치 변동: 원마산 상권 경쟁 95

가. 민족별 회사 위치 변동: 조선인=원마산, 일본인=원마산 95

나. 민족별 공장 위치 변동: 조선인=원마산, 일본인=마산부 전체 99

다. 민족별 개인상업체 위치 변동: 조선인=원마산, 일본인=신마산 102

라. 동별 사업체 추이: 원마산 중심 105

IV. 마산부 조선인경제인의 경제활동 109

1. 원마산 조선인경제인의 '노동 집약' 경영 109

가. 옛 조창 지역과 경제적 연속 109

나. 지구단위 중심의 경제 규모 115

다. 거주지·소재지 밀집형 영세경영 118

2. 신마산 조선인경제인의 '조일합작' 경영 121

가. 일본인회사에 참여한 조선인 121

나. 부단위 중심의 경제 규모 124

다. 거주지 소재지 분리형 확대경영 125

3. 조선인경제인의 중앙마산 진출 127

가. 중앙마산으로 조선인 기업 진출 127

나. 부단위 중심의 경제 규모 131

다. 거주지·소재지 일체형 확대경영 133

V. 마산부 조선인경제인의 인적 결속 양상 135

1. 지연 기반의 인적 결속 양상 135

가. 동일동리결속 유형 135

나. 사회단체참여결속 유형 145

다. 교육동료결속 유형 157

라. 기독교결속 유형: 기독교인 조선인 사업가 사례 163

마. 민족운동결속 유형: 민족운동가 출신 사례 165

바. 일본인회사참여 유형 170

2. 회사별 인적 결속 양상 175

가. 마산정미소(주) 사례 175

나. 마산창고(주) 사례 180

다. 원동무역(주) 사례 185

라. 산업금융(주) 사례 190

마. 마산합동운수(주) 사례 193

바. 마산협동(합자) 사례 197

3. 개인별 인적 결속 양상 198

가. 인적 결속의 전체상 198

나. 인적 결속의 중첩성 200

VI. 결론 208

1. 요약 208

2. 전망 212

부록 214

참고문헌 250

Abstract 260

표목차

〈표I-1〉 《한국근대회사DB》에서 마산지역 회사 추출 표 24

〈표I-2〉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전체 회사DB(일부) 25

〈표I-3〉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전체 공장DB(일부) 25

〈표I-4〉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전체 개인상업체DB(일부) 26

〈표I-5〉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전체 조선인경제인DB(1)(일부) 27

〈표I-6〉 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전체 조선인경제인DB(2)(일부) 27

〈표II-1〉 1914년 마산부 관할구역 35

〈표II-2〉 개항 이후 마산의 일본인 인구 변동 37

〈표II-3〉 경남선 운수 성적표(1923년 ~ 1931년) 41

〈표II-4〉 원마산 도로 완공 이후 3년간 회사 설립(1929년 ~ 1931년) 45

〈표II-5〉 일제강점기 마산에 계획·준공된 매축 공사 52

〈표II-6〉 민족별 시가지 인구 추이 55

〈표II-7〉 1934년 마산의 주요산업 공장 및 직공 수 56

〈표II-8〉 1934년 마산의 조선인과 일본인 직업별 통계 58

〈표III-1〉 일제강점기 마산의 회사 설립 추이(지점 포함) 60

〈표III-2〉 일제강점기 마산의 회사 자본금 규모 64

〈표III-3〉 일제강점기 마산의 공장 설립 추이 68

〈표III-4〉 1941년 말까지 마산에 위치한 공장의 업종별 분류 70

〈표III-5〉 일제강점기 마산의 공장 노동자 규모 70

〈표III-6〉 일제강점기 마산의 개인상업체 설립 추이 71

〈표III-7〉 일제강점기 마산의 회사 업종별 동향 74

〈표III-8〉 마산의 상업회사 취급 품목 정리 75

〈표III-9〉 마산의 공업회사 세부계열 77

〈표III-10〉 마산의 운수창고회사 세부 목적 81

〈표III-11〉 마산의 금융회사 세부 목적 84

〈표III-12〉 마산지역 공장 추이 87

〈표III-13〉 마산의 정미공장 명단 88

〈표III-14〉 마산의 양조공장 명단 91

〈표III-15〉 마산의 기계공장 명단 93

〈표III-16〉 마산의 개인상업체 판매품목 분류 94

〈표III-17〉 마산의 동별 사업체 설립 추이 105

〈표IV-1〉 원마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인경제인 109

〈표IV-2〉 원마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인의 경제규모 115

〈표IV-3〉 원마산의 조신인경제인 주소지별 분류 119

〈표IV-4〉 신마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인경제인 121

〈표IV-5〉 신마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인의 경제규모 125

〈표IV-6〉 신마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인경제인의 인적사항 126

〈표IV-7〉 중앙마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인경제인 128

〈표IV-8〉 중앙마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인의 경제규모 131

〈표IV-9〉 중앙마산 일대에서 활동한 조선인경제인의 인적사항 133

〈표V-1〉 마산구락부 소속 조선인경제인의 인적사항 145

〈표V-2〉 조선기근마산구제회 소속 조선인경제인의 인적사항 152

〈표V-3〉 관북수해마산구제회 소속 조선인경제인의 인적사항 154

〈표V-4〉 상공업 진흥 좌담회 참여 조선인경제인의 인적사항 156

〈표V-5〉 마산의 '경제인이면서 교육자' 인적사항 157

〈표V-6〉 마산의 '경제인이면서 기독교인' 인적사항 164

〈표V-7〉 마산의 '경제인이면서 민족운동가' 인적사항 166

〈표V-8〉 일본인회사 및 조합 소속 조선인경제인 명단 170

〈표V-9〉 일본인참여 조선인회사 명단 173

〈표V-10〉 馬山精米所(株) 임원의 인적사항 175

〈표V-11〉 馬山倉庫(株) 임원의 인적사항 180

〈표V-12〉 元東貿易(株) 임원의 인적사항 186

〈표V-13〉 産業金融(株) 임원의 인적사항 191

〈표V-14〉 馬山合同運輸(株) 임원의 인적사항 194

〈표V-15〉 회사별 조선인경제인 주소지 197

〈표V-16〉 마산지역 조선인경제인의 인적 결속 전체상 198

그림목차

〈그림I-1〉 『要錄』에 기입된 정보(馬山倉庫(株) 사례) 20

〈그림I-2〉 『登記』에 기입된 정보(馬山倉庫(株)와 崔景軾商(合資) 사례) 21

〈그림I-3〉 지역자료 활용(『躍進馬山の全貌』 예시) 22

〈그림I-4〉 마산지역 조선인경제인의 사회활동(예시) 23

〈그림II-1〉 주한일본공사가 대한제국 정부에 요구한 마산... 32

〈그림II-2〉 慶全南部線 노선도 43

〈그림II-3〉 원마산 도로공사 기간(1922년 ~ 1928년) 동안 회사 설립 위치 44

〈그림II-4〉 원마산 방면 도로공사 이후 3년간 설립된 회사 위치(1929년 ~ 1931년) 46

〈그림II-5〉 마산부 인구 추이(1914년 ~ 1942년) 54

〈그림III-1〉 민족별 회사 위치 분포도 96

〈그림III-2〉 민족별 공장 위치 분포도 99

〈그림III-3〉 민족별 개인상업체 위치 분포도 103

〈그림IV-1〉 조선인의 경제활동이 집중된 동 표시 110

〈그림IV-2〉 조선인이 진출한 신마산 本町(월남동), 월영동 표시 123

〈그림IV-3〉 중앙마산 通町(장군동), 都町(중앙동) 표시 130

〈그림V-1〉 회사별 元町(남성동) 주민 참여 상황 135

〈그림V-2〉 회사별 石町(창동) 주민 참여 상황 138

〈그림V-3〉 회사별 俵町(중성동) 주민 참여 상황 140

〈그림V-4〉 회사별 萬町(동성동) 주민 참여 상황 142

〈그림V-5〉 마산구락부 소속 조선인경제인의 인적 네트워크 150

〈그림V-6〉 조선기근마산구제회 소속 조선인경제인의... 153

〈그림V-7〉 마산의 '경제인이면서 교육자' 인적 네트워크 162

〈그림V-8〉 마산의 '경제인이면서 민족운동가' 인적 네트워크 169

〈그림V-9〉 馬山精米所(株) 임원의 인적 네트워크 활동 179

〈그림V-10〉 馬山倉庫(株) 임원의 인적 네트워크 활동 185

〈그림V-11〉 元東貿易(株) 임원의 인적 네트워크 활동 189

〈그림V-12〉 産業金融(株) 임원의 인적 네트워크 활동 193

〈그림V-13〉 馬山合同運輸(株) 임원의 인적 네트워크 활동 196

〈그림V-14〉 玉麒煥의 인적 네트워크 202

〈그림V-15〉 彭三辰의 인적 네트워크 205

〈그림V-16〉 明道奭의 인적 네트워크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