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8

3. 용어의 정의 18

II. 선행연구 고찰 21

1. 이직의도 21

가. 이직의도의 개념 21

나.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22

다. 이직의도의 구성요인 24

라. 보육교사 이직의 영향 25

2.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27

가. 자아탄력성 27

나. 심리적 안녕감 31

다. 직무환경 만족도 37

라. 직무열의 45

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선행연구 고찰 52

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52

나.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58

다.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62

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64

III. 연구방법 66

1. 연구대상 66

2. 측정도구 68

가. 이직의도 척도 68

나. 자아탄력성 척도 69

다. 심리적 안녕감 척도 69

라. 직무환경 만족도 척도 71

마. 직무열의 척도 72

3. 자료수집 절차 73

가. 예비조사 73

나. 본 조사 73

4. 통계적 모델 및 자료 분석 74

IV. 결과 77

1. 측정 변인 간의 기술 통계치 및 상호 상관행렬 77

2. 측정 모델의 부합도 및 모수치 추정 79

가. 측정 모델의 부합도 추정 결과 80

나. 측정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0

3. 초기 연구모델의 부합도 및 모수치 추정 83

가. 초기연구 모델의 부합도 추정 결과 83

나. 초기 연구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4

4. 수정모델의 부합도 및 모수치 추정 87

가. 수정모델의 부합도 추정 결과 88

나. 수정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9

5.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추정 및 검증 93

가.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모수치 추정결과 93

나. 최종 수정모델의 간접효과 추정 및 통계적 유의성 94

V. 결론 97

1. 논의 및 결론 97

2. 제언 112

참고문헌 113

국문초록 133

부록 134

〈부록 1〉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문항 135

〈부록 2〉 이직의도 척도 136

〈부록 3〉 자아탄력성 척도 137

〈부록 4〉 심리적 안녕감 척도 138

〈부록 5〉 직무환경 만족도 척도 139

〈부록 6〉 직무열의 척도 140

표목차

〈표 III-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67

〈표 III-2〉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범주에 따른 문항번호 및 신뢰도 68

〈표 III-3〉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범주에 따른 문항번호 및 신뢰도 69

〈표 III-4〉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범주에 따른 문항번호 및 신뢰도 71

〈표 III-5〉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 범주에 따른 문항번호 및 신뢰도 72

〈표 III-6〉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범주에 따른 문항번호 및 신뢰도 72

〈표 IV-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변인들의 기술통계, 왜도 및 첨도 77

〈표 IV-2〉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들의 상관행렬 78

〈표 IV-3〉 측정 모델의 부합도 지수 80

〈표 IV-4〉 초기 연구모델의 부합도 지수 83

〈표 IV-5〉 초기 연구모델의 모수치 추정 및 통계적 유의성 검증 결과 85

〈표 IV-6〉 수정모델과 초기 연구모델 간의 부합도 지수 비교 88

〈표 IV-7〉 구조 회귀모델의 모수치 추정 및 통계적 유의성 검증 결과 90

〈표 IV-8〉 수정모델의 직·간접효과 분해 결과 92

〈표 IV-9〉 최종 수정모델의 간접효과 추정 및 통계적 유의성 검증 결과 94

그림목차

[그림 II-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변인들 간의 가설적 연구모델 65

[그림 III-1] 내용타당도를 위한 평정자간 일치도 모델 70

[그림 III-2]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의 측정모델 74

[그림 III-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의 통계적 모델 75

[그림 IV-1] 측정 모델 79

[그림 IV-2] 측정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1

[그림 IV-3] 초기 연구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4

[그림 IV-4] 수정 모델 87

[그림 IV-5] 수정 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9

[그림 IV-6]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통계분석 모델 93

[그림 IV-7]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모델의 표준화 모수치 추정결과 94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환경 만족도, 직무열의를 잠재적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보육교사 7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환경 만족도는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은 직무환경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정된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에게 주어진 직무열의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또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상담 및 힐링 프로그램 연구, 안정적인 보육교사로서의 생활을 위한 지원과 보육정책 개발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