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8
3. 용어의 정의 18
II. 선행연구 고찰 21
1. 이직의도 21
가. 이직의도의 개념 21
나.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22
다. 이직의도의 구성요인 24
라. 보육교사 이직의 영향 25
2.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27
가. 자아탄력성 27
나. 심리적 안녕감 31
다. 직무환경 만족도 37
라. 직무열의 45
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선행연구 고찰 52
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52
나. 보육교사의 직무열의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58
다.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62
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64
III. 연구방법 66
1. 연구대상 66
2. 측정도구 68
가. 이직의도 척도 68
나. 자아탄력성 척도 69
다. 심리적 안녕감 척도 69
라. 직무환경 만족도 척도 71
마. 직무열의 척도 72
3. 자료수집 절차 73
가. 예비조사 73
나. 본 조사 73
4. 통계적 모델 및 자료 분석 74
IV. 결과 77
1. 측정 변인 간의 기술 통계치 및 상호 상관행렬 77
2. 측정 모델의 부합도 및 모수치 추정 79
가. 측정 모델의 부합도 추정 결과 80
나. 측정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0
3. 초기 연구모델의 부합도 및 모수치 추정 83
가. 초기연구 모델의 부합도 추정 결과 83
나. 초기 연구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4
4. 수정모델의 부합도 및 모수치 추정 87
가. 수정모델의 부합도 추정 결과 88
나. 수정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9
5.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추정 및 검증 93
가.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모수치 추정결과 93
나. 최종 수정모델의 간접효과 추정 및 통계적 유의성 94
V. 결론 97
1. 논의 및 결론 97
2. 제언 112
참고문헌 113
국문초록 133
부록 134
〈부록 1〉 응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 문항 135
〈부록 2〉 이직의도 척도 136
〈부록 3〉 자아탄력성 척도 137
〈부록 4〉 심리적 안녕감 척도 138
〈부록 5〉 직무환경 만족도 척도 139
〈부록 6〉 직무열의 척도 140
[그림 II-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변인들 간의 가설적 연구모델 65
[그림 III-1] 내용타당도를 위한 평정자간 일치도 모델 70
[그림 III-2]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의 측정모델 74
[그림 III-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의 통계적 모델 75
[그림 IV-1] 측정 모델 79
[그림 IV-2] 측정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1
[그림 IV-3] 초기 연구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4
[그림 IV-4] 수정 모델 87
[그림 IV-5] 수정 모델의 모수치 추정 결과 89
[그림 IV-6]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통계분석 모델 93
[그림 IV-7] Phantom 변인을 이용한 간접효과 모델의 표준화 모수치 추정결과 9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환경 만족도, 직무열의를 잠재적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보육교사 7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환경 만족도는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은 직무환경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정된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에게 주어진 직무열의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또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상담 및 힐링 프로그램 연구, 안정적인 보육교사로서의 생활을 위한 지원과 보육정책 개발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