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4
1. 연구목적 14
2. 선행연구 검토 16
3.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20
3.1. 연구대상 20
3.2. 연구방법 24
II. 암행어사 제도와 암행어사 문서의 형태적 특징 26
1. 암행어사 제도의 시행과 변화 26
1.1. 암행어사 제도의 시행 26
1.2. 암행어사 제도의 변화 34
2. 암행어사 문서의 형태적 특징 39
2.1. 印章 39
2.2. 着官과 署名 47
2.3. 用語 54
III. 암행어사의 직무 수행별 문서 57
1. 封書를 통한 임무 숙지 57
1.1. 봉서의 형태와 내용 57
1.2. 봉서의 발급 64
1.3. 봉서의 祗受과정 69
2. 祕關·祕甘을 통한 범인 체포 72
2.1. 비관·비감의 내용 72
2.2. 비관·비감의 전달 76
3. 先文·路文을 통한 출도 78
3.1. 선문·노문의 내용 78
3.2. 암행어사의 선문·노문 발급과 출도 83
4. 招辭를 통한 吏胥輩·鄕任輩의 비리 확인 88
4.1. 초사의 내용 88
4.2. 捧招를 통한 封庫와 이서배·향임배 징치 95
5. 關·甘結·傳令을 통한 公務 下達 103
5.1. 관을 통한 공무 하달 103
5.2. 감결을 통한 공무 하달 108
5.3. 전령을 통한 공무 하달 116
6. 狀啓·書啓를 통한 외관 褒貶 121
6.1. 암행어사의 장계 사용 변화 121
6.2. 서계의 양식과 내용 126
VI. 암행어사의 民願 처리와 그 과정 133
1. 백성들의 呈訴와 암행어사의 題決 133
1.1. 백성들의 정소 133
1.2. 암행어사의 제결 137
2. 旌表에 대한 민원 처리 149
3. 山訟에 대한 민원 처리 165
4. 賦稅에 대한 민원 처리 174
4.1. 節目을 통한 稅則 조정 174
4.2. 完文을 통한 特權 부여 192
V. 결론 200
참고문헌 205
ABSTRACT 210
부록 213
[表I-1] 암행어사 관련 문서 전존현황 20
[表I-2] 암행어사 관련 일기 21
[表I-3] 암행어사 관련 문서 등사 자료 23
[表II-1] 사헌부 관원명의 변천 28
[表II-2] 御史廉問條件 35
[表II-3] 소지류의 본문에서 암행어사를 지칭한 용어 54
[表III-1] 현전하는 封書 57
[表III-2] 정만석이 하사 받은 봉서의 서문 62
[表III-3] 封書 祗受 이전 절차 69
[表III-4] 封書 祗受 이후 절차 70
[表III-5] 先文의 구성 78
[表III-6] 선문·노문을 통한 출도 과정 86
[表III-7] 암행어사 서종섭의『暗行御史錄』 내용 속 招辭 분석 89
[表III-8] 경상우도 암행어사 이용직 관련 招辭 분석 93
[表III-9] 출도부터 봉고까지의 과정 98
[表III-10] 암행어사가 발급한 關의 전존현황 104
[表III-11] 암행어사가 발급한 甘結의 전존현황 108
[表III-12] 암행어사 書啓 전존현황 127
[表III-13] 『승정원일기』 속 암행어사 書啓의 위격 사례 129
[表III-14] 『수의록』과『서계집록』의 書啓의 내용 구성 비교 131
[表IV-1] 함경도 암행어사 具康의 旌表에 대한 所志 題辭 139
[表IV-2] 함경도 암행어사 具康의 守令稱頌에 대한 所志 題辭 143
[表IV-3] 함경도 암행어사 具康의 賦稅, 其他에 대한 所志 題辭 145
[表IV-4] 경상도 암행어사 金學淳이 내린 所志類 題辭 146
[表IV-5] 암행어사 사목 속에 나타난 정표 관련 조항 149
[表IV-6] 예조의 『忠孝謄錄』에 나타난 암행어사의 정표 152
[表IV-7] 『승정원일기』에 나타난 암행어사의 정표 154
[表IV-8] 임실 오동리 전주류씨 유각 처 남향홍씨의 정표 과정 160
[表IV-9] 上書에 참여한 유림들 163
[表IV-10] 영해 무안박씨 가문의 산송 전개 과정 170
[表IV-11] 諸道齎去事目에 나타난 軍政 조항 174
[表IV-12] 諸道齎去事目에 나타난 還政 조항 178
[表IV-13] 함경도 암행어사 조병세가 성급한 節目 183
[圖II-1] 『寶印符信總數』에 나타난 尙瑞院의 마패 41
[圖II-2] 옹정연간의 마패가 답인된 문서 42
[圖II-3] 『畿繡集略』과 『嶠繡集略』에 수록된 암행어사 마패 43
[圖II-4] 조선후기 암행어사 마패 출급과 반납 과정 46
[圖II-5] 關, 甘結에 기재된 암행어사의 착관 48
[圖II-6] 所志, 完文, 節目에 기재된 암행어사의 착관 49
[圖II-7] '御史'라고 착관하거나 착관이 없는 사례 50
[圖II-8] 『畿繡集略』과『嶠繡集略』에 기록된 이헌영의 착명 52
[圖II-9] 특정 암행어사의 착압 53
[圖III-1] 정조대 封書의 내용 구성 61
[圖III-2] 1762년(영조38)에 영조가 김종정에게 하사한 봉서 65
[圖III-3] 1739년(영조 15)에 영조가 이효성에게 하사한 봉서 66
[圖III-4] 정순왕후 封書 67
[圖III-5] 강원도 암행어사 李道宰가 안동부사에게 보낸 祕甘 75
[圖III-6] 경상좌도 암행어사 徐宗燮이 발송한 先文 79
[圖III-7] 空路文 81
[圖III-8] 경기 암행어사 이헌영이 발급한 路文 82
[圖III-9] 경상우도 암행어사 이용직 관련 推閱記의 일부분 92
[圖III-10] 충청좌도 암행어사 金翼鉉이 연풍현감에게 보낸 關 105
[圖III-11] 전라좌도 암행어사 閔達鎔이 전라도 관찰사에게 보낸 關 106
[圖III-12] 경상우도 암행어사 李鐿永이 웅천현에 보낸 甘結 110
[圖III-13] 경상우도 암행어사 李鐿永이 웅천겸관에게 보낸 甘結 111
[圖III-14] 충청좌도 암행어사 李道宰가 온양군에 보낸 甘結 112
[圖III-15] 『해서암행일기』에 수록된 書啓 의 일부 131
[圖IV-1] 암행어사에게 올린 소지류의 유형별 분포 현황 135
[圖IV-2] 암행어사에게 올린 소지류의 주제별 분포 현황 136
[圖IV-3] 具康의『休休子自註行路編日記』 138
[圖IV-4] 구강에게 제출된 소지의 주제별 현황 138
[圖IV-5] 암행어사에게 올린 소지 속 제사에 謄書가 작성된 예 159
[圖IV-6] 熊川縣 烏旨岩 漁基와 관련된 節目의 작성과정 186
[圖IV-7] 熊川民庫藿田付屬節目 187
[圖IV-8] 현전하는 절목 표지에 나타난 보관장소 19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