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7

3. 용어의 정의 18

1) 지속가능발전교육 18

2) 생태그림책 19

3) 생태존중 19

II. 이론적 배경 20

1. 지속가능발전교육 20

1)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과 목적 20

2)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 24

3)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유아교육 28

2. 생태그림책 31

1) 그림책의 특징 31

2) 그림책의 장르 32

3) 생태그림책의 특징 33

4) 생태그림책의 주제 35

III. 연구방법 37

1. 연구대상 37

2. 연구도구 40

1)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장르별 분석기준 40

2)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존중의 하위범주 내용 분석기준 41

3)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 분석기준 42

3. 연구절차 44

1) 예비연구 45

2) 본 연구 46

4. 자료 분석 47

IV. 연구결과 48

1.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 분석 48

1) 생태그림책의 장르 분석 48

2)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존중의 하위범주 내용 분석 50

3) 생태그림책 장르별 생태존중 하위범주 내용 분석 52

2.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 분석 54

V. 논의 및 제언 57

1. 논의 57

1)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 하위범주 내용 57

2)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 59

2. 제언 60

참고 문헌 61

부록 71

〈부록1〉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목록 (출판연도별 가나다순) 71

〈부록2〉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 생태존중 하위내용 영역별 그림책 목록(내용영역별 가나다순) 77

〈부록3〉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 분석목록 86

Abstract 87

표목차

〈표 1〉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핵심가치 22

〈표 2〉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기둥의 교육내용 22

〈표 3〉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 26

〈표 4〉 생태그림책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 선정 출처 38

〈표 5〉 생태그림책의 국·내외 출판현황 38

〈표 6〉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분석기준 40

〈표 7〉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존중 하위범주 정의 및 내용 분석기준 42

〈표 8〉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 분석 기준 44

〈표 9〉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 분석 목록 46

〈표 10〉 생태 그림책의 장르 분석 48

〈표 11〉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존중의 하위범주 내용 분석 50

〈표 12〉 생태그림책 장르별 생태존중 하위범주 내용 분석 52

〈표 13〉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 분석결과 55

그림목차

[그림 1]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분포 49

[그림 2] 생태그림책의 생태존중 하위영역 내용 분포 50

[그림 3] 생태그림책의 발달 적합성 분포 5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의 하위범주 내용은 어떠한지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은 어떠한가?

1-1)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는 어떠한가?

1-2)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은 어떠한가?

1-3)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은 어떠한가?

2.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단행본 그림책 가운데 생태주제의 내용을 담고 있는 유아들이 읽을 수 있는 생태그림책 132권을 대상으로 분석목록의 신뢰도 검증 후, 생태그림책의 장르 분석을 위해서 선행연구(김정원, 전선옥, 이연규, ;2014, 서정숙, 남규, 2006)를 참고하여 분석기준을 정하였다. 또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생태존중의 하위범주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의 핵심가치 중 '생태적 다양성의 존중'을 '생태 존중'이라 정하고, 김경중(2007)의 생태유아 문학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분석기준을 정해 사용하였다.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허경희(2012)의 환경주제의 그림책 내용 적합성과 서정숙, 외(2004)의 그림책의 발달 적합성을 참고하여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 적합성 분석기준을 정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기준을 근거로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 분석목록도구를 최종 결정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목록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엑셀을 이용한 통계처리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를 살펴본 결과, 환상그림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상그림책은 생태주제에 있어서 유아들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하고, 자연을 친숙하게 느끼게 하며, 유아는 자신과 자연을 동일시하여, 생태환경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하는 장르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내용 영역을 살펴본 결과, '동·식물 생태의 이해'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생태그림책의 주제 중 동·식물에 대한 유아들의 호기심 충족을 반영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생태그림책은 유아들에게 동·식물의 살아가는 생태환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책을 통해 다양하게 담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의 장르별 생태존중에 관한 하위범주 내용은 생활그림책에서는 '생태현상과 순환' 의 주제가 많았으며, 환상그림책과 정보그림책은 '동·식물 생태의 이해'의 주제가 많았으며, 글 없는 그림책은 '생태 환경의 아름다움'의 주제를 담고 있는 빈도가 높았다. 이는 장르별 특징에 따른 생태주제 선호도가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에 나타난 발달의 적합성을 살펴 본 결과, '문장 길이와 어휘 이해 수준 고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생태 그림책은 유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을 분석하여, 생태그림책이 생태존중의 다양한 생태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생태그림책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향하는 유아환경교육의 자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