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7

I. 서론 9

A. 槪要 및 硏究動向 9

B. 板本 問題 14

II. 『點石齋畵報』 畵風의 美術史的 考察 18

A. 『點石齋畵報』의 主要畵師 18

1. 吳友如(1840?~1894) 19

2. 朝鮮 關聯 畵譜와 主要畵師 32

B. 畵風의 繼承과 飜案 45

1. 傳統 版畵 樣式의 繼承 45

2. 서구 저널의 飜案 54

C. 『點石齋畵報』 關聯 出版物과 朝鮮 畵壇 60

III. 『點石齋畵報』에 수록된 朝鮮 關聯 畵報의 展開 樣相 69

A. 政治 71

1. 甲申政變 71

2. 淸日戰爭 81

3. 朝鮮王室 88

B. 奇談 89

1. 奇事 90

2. 奇人 96

3. 禽獸 97

4. 怪物 103

C. 社會·文化 106

IV. 『點石齋畵報』에 나타난 朝鮮이미지의 性格 120

A. 海外 揷畵와 『點石齋畵報』의 對朝鮮觀 比較 120

B. 非事實的 朝鮮이미지의 再現과 流通 140

V. 결론 156

참고문헌 159

도판 178

中文摘要 221

ABSTRACT 223

표목차

〈표1〉 『점석재화보』 판본별 구성 17

〈표2〉 주요화사별 제작 참여 시기 32

〈표3〉 장지영 인물표현 36

〈표4〉 화사별 수목표현 36

〈표5〉 마자명 수목표현 38

〈표6〉 마자명 인물표현 38

〈표7〉 전자림 인물표현 39

〈표8〉 하원준 가옥 표현 43

〈표9〉 하원준 인물표현 43

〈표10〉 부절 인물표현 45

〈표11〉 조선 관련 화보의 제재별 분류 70

〈표12〉 『점석재화보』의 조선, 일본, 미국관련 화보 제재별 수록 양상 130

도판목차

도1. 『신보』 제40권, 이화여대도서관 178

도2. 『點石齋畵報』 26호 표지, 서울대도서관 178

도2-1. 〈瘍醫受騙〉,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2. 〈驗收駝馬〉,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3. 〈串吃白食〉,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4. 〈匪寇婚媾〉,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5. 〈大婦間妾〉,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6. 〈輿脫輻也〉,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7. 〈禁軍合操〉,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8. 〈好生之德〉,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9. 〈通惠總局〉, 『點石齋畵報』 26호 178

도2-10. 〈睦碧珊〉, 『松隱漫錄』 178

도2-11. 『松隱漫錄』 179

도2-12. 『松隱漫錄』 179

도3. 『點石齋畵報』 27호 표지, 서울대도서관 179

도4. 『點石齋畵報』 28호 표지, 서울대도서관 179

도5. 『點石齋畵報』 (廣東人民出版社,1983), 동국대도서관 179

도6. 『點石齋畵報』, 예일대도서관 179

도7. 『點石齋畵報·大可堂版』,(上海畵報出版社,2001) 179

도8. 吳友如, 〈克復瑞州府城圖〉 (Regaining the Prefectural City Ruizhou), 《平定太平天國圖》 (Victory of the Taiping) 중 7폭,... 180

도9. 吳友如, 〈豫園把戲圖〉, 지본채색,49x32㎝, 상해대학박물관 180

도10. 吳友如, 〈迎神入廟〉, 『點石齋畵報』 1884. 7.7. 180

도11. 吳友如, 〈兵輪祭海〉, 『點石齋畵報』 1885. 11. 21. 180

도12. 吳友如, 〈自取撓敗〉, 『點石齋畵報』 1884. 9. 4. 180

도13. 吳友如, 〈法犯馬江〉, 『點石齋畵報』 1884. 9. 4. 181

도14. 吳友如, 〈天鑒不遠〉, 『點石齋畵報』 1884. 8. 5. 181

도15. 吳友如, 〈第一樓災〉, 『點石齋畵報』 1886. 2. 28. 181

도16. 吳友如, 〈無稽之言〉, 『點石齋畵報』 1885. 6. 7. 181

도16-1. 도16의 서명 부분 181

도17. 吳友如, 〈別歲〉, 『點石齋畵報』 1885.2.19. 181

도18. 吳友如, 〈和議畵押〉, 『點石齋畵報』 1885. 6. 27. 181

도19. 吳友如, 〈折獄以武〉, 『點石齋畵報』 1886. 1. 29. 182

도20. 吳友如, 〈幼女工書〉, 『點石齋畵報』 1888. 12. 27. 182

도20-1. 도20의 揷屛부분 182

도21. 吳友如, 〈曹大家〉, 『飛影閣畵冊』 (1893) 182

도22. 吳友如, 『松隱漫錄』, 서울대도서관 182

도23. 吳友如, 『三續聊齋志異』, 서울대도서관 182

도24. 吳友如, 〈『海上花列傳』 삽도〉, 『海上花列傳』, 이화여대도서관 182

도25. 吳友如, 〈一門三鼎甲〉, 『點石齋畵報』 1889. 2. 4. 182

도26. 金桂, 〈西人慶典〉, 『點石齋畵報』 1887. 7. 15. 183

도27. 金桂, 〈柳營桃宴〉, 『點石齋畵報』 1885. 7. 26. 183

도28. 金桂, 〈奇案奇聞〉, 『點石齋畵報』 1885.10.22. 183

도29. 金桂, 〈盲婦問卜〉, 『點石齋畵報』 1887.4.27. 183

도30. 吳友如, 〈懲辦臺基〉, 『點石齋畵報』 1885.9.13. 183

도31. 吳友如, 〈龍頭走水〉, 『點石齋畵報』 1885.1.20. 183

도32. 金桂, 〈公餘訪古〉, 『點石齋畵報』 1887. 7. 25. 184

도33. 金桂, 〈悍役畏妻〉, 『點石齋畵報』 1887.1.8. 184

도34. 金桂, 〈兄妹相逢〉, 『點石齋畵報』 1886.4.28. 184

도35. 金桂, 〈塾師殺弟〉, 『點石齋畵報』 1886.6.26. 184

도35-1. 도35의 세부 184

도36. 張志瀛, 〈路狹人稠〉, 『點石齋畵報』 1886. 6. 26. 185

도37. 張志瀛, 〈臨別贈言〉, 『點石齋畵報』 1887.10.31. 185

도38. 張志瀛, 〈保羅聖堂〉, 『만유수록』, 『點石齋畵報·大可堂版』 제3책 185

도39. 張志瀛, 〈第一高樓〉, 『點石齋畵報』, 1888.11.18. 185

도40. 馬子明, 〈脫人於危〉, 『點石齋畵報』 1884.7.26. 185

도41. 馬子明,〈入海撈物〉, 『점석재화보』 1884.7.7. 186

도42. 田子琳, 〈總統完姻〉, 『點石齋畵報』 1886.8.4. 186

도43. 周慕橋, 〈閙房涉訟〉, 『點石齋畵報』 1884.11.22. 186

도44. 周慕橋, 〈螟蛉難養〉, 『點石齋畵報』 1898.1.7. 186

도45. 周慕橋, 〈宜其毒死〉, 『點石齋畵報』 1885.4.19. 186

도46. 周慕橋, 〈淫婦毒手〉, 『點石齋畵報』 1897.4.26. 186

도47. 周慕橋, 〈藺相如〉, 『飛影閣畵報』 1893.11.10. 187

도48. 周慕橋, 〈紅樓夢月份牌〉, 英美煙公司, 1911년, 『老月份牌』 187

도49. 周慕橋, 〈老刀牌광고〉, 英美煙公司, 1914년, 78.6x52.4㎝,... 187

도50. 何元俊, 〈綿衣助賑〉, 『點石齋畵報』 1884.12.12. 187

도51. 何元俊,〈公家書房〉, 『점석재화보』 1893.5.20. 187

도52. 符節,〈殺妻以蛇〉, 『點石齋畵報』 1887.7.25. 187

도53. 符節, 〈當當頭〉, 『點石齋畵報』 1886.8.14. 187

도54. 田子琳, 〈無臂小孩〉, 『點石齋畵報』 1885.10.22. 188

도54-1. 도54의 인물부분 188

도55. 부절, 〈鬪鷄啓釁〉, 『點石齋畵報』 1886.7.6. 188

도55-1. 도55의 인물부분 188

도56. 〈西湖圖〉, 『三才圖會』 188

도57. 〈華岳圖〉, 『海內奇觀』 188

도58. 蕭雲從, 〈靈山圖〉, 『太平山水圖』 ,1648, 20x27.8㎝, 188

도59. 〈『이탁오선생비평서유기』 삽도〉, 명대, 20.8x14.3㎝, 일본국립공문서관 188

도60. 진홍수, 〈張深之先生正北西廂秘本〉, 1639, 19.4x13.9㎝ 188

도61. 하원준, 〈王妃顯靈〉, 『點石齋畵報』 1897. 5. 16. 189

도62. 〈『占花魁』 삽도〉, 청대, 『中國揷圖藝術史話』 189

도63. 하원준, 〈俄援高亂〉, 『點石齋畵報』 1896. 4. 7. 189

도64. 〈牡丹亭還魂記揷圖〉, 명 만력년간, 20.8x12.5㎝, 북경도서관 189

도65. 전자림, 〈媚狐飮刃〉, 『點石齋畵報』 1886. 2. 18. 189

도66. 〈『北西廂記』 揷圖〉, 명대, 20.3x13.2㎝, 안휘성박물관 189

도67. 개기, 〈『紅樓夢』 揷圖〉, 『中國揷圖藝術史話』 190

도68. 何元俊, 〈女巫跳神〉, 『點石齋畵報』 1896.8.4. 190

도69. 장지영, 〈吳中副車〉, 『點石齋畵報』 1890. 12. 16. 190

도70. 초병정, 〈어제경직도〉, 1712년, 24.4x24.4㎝ 190

도71. 하원준, 〈關西大漢〉, 『點石齋畵報』 1892.6.28. 190

도72. 〈蘇州景新造萬年橋〉, 건륭연간, 지본흑판채색, 100.5x53.6㎝, 마치다시립국제판화미술관 191

도73. 丁應宗, 〈西湖十景圖〉, 옹정연간, 지본흑판채색, 105.7x56.0㎝, Umi-Mori Museum 191

도74. 장지영, 〈西湖放生記〉, 『點石齋畵報』 1890.7.21. 191

도75. 〈방학정도〉, 건륭연간 ,지본흑판채색, 35.2x49.8㎝, 大和文華館 191

도76. 장지영, 〈仙吏探梅〉, 『點石齋畵報』 1891.2.13. 191

도77. 장지영, 〈武帝顯靈〉, 『點石齋畵報』 1894. 6. 28. 192

도78. 부절, 〈醜夫被控〉, 『點石齋畵報』 1887.11.29. 192

도79. 〈天體儀〉, 『古今圖書集成』 「曆法典」 第93卷 192

도80. 顧月洲, 〈郊祀紀盛〉 부분, 『點石齋畵報』 1885.1.30. 192

도81. 〈象圖〉, 『古今圖書集成』 「禽蟲典」 제60권 192

도82. 〈象圖〉, 『三才圖會』 「鳥獸」 제3권 192

도83. Simpson, 〈상해의 舢舨〉 (A Sanpan at Shanghai), 『The Illstrated London News』, 1873.11.22. 193

도84. 〈결혼식날 교회 풍경〉 (Interior of Whippingam Church on the Wedding Day), 『Illustrated London News』 1885.8.1. 193

도85. 오우여, 〈西例成婚〉, 『點石齋畵報』 1885.11.21. 193

도86. 오우여, 〈英國地震〉, 『點石齋畵報』 1884.6.8. 193

도87. 〈교회의 망가진 탑과 천장〉 (Langenhoe Church, with the ruined tower and roof), 『Illustrated London News』 1884.05.03. 193

도88. 〈북경 고궁〉(Imperial Palace, Pekin), 『Illustrated London News』 1843.1.14. 194

도89. 顧月洲, 〈大賚貢使〉, 『點石齋畵報』 1884.11.22. 194

도90. 〈독수리의 출발〉(Departure of the "Eagle" from Spitzbergen), 『Illustrated London... 194

도91. 朱儒賢,〈氣球破敵〉, 『點石齋畵報』 1897.7.14. 194

도92. 〈그랜트 장군의 병환〉(General Grants Illness), 『Harper's Weekly』 1885.4.18. 194

도93. 오우여, 〈格蘭脫像〉, 『點石齋畵報』 1885.6.7. 194

도94. 〈대통령의 결혼〉 (The President's Wedding), 『Harper's Weekly』 1886.06.12. 195

도95. 〈暹羅白象〉, 『點石齋畵報』 1884.6.18.예일대도서관 195

도96. 『點石齋叢畵』 권3 圖49, 존경각 195

도97. 〈樵童〉,1920,견본채색, 130.5x37.3㎝, 홍익대학교 195

도98. 『點石齋叢畵』 권3 도41, 존경각 195

도99. 池雲英,〈伯樂相馬圖〉,1919, 紙本淡彩, 49x150㎝, 화정박물관 196

도100. 〈伯樂相馬〉, 『點石齊叢譜』 권6, 존경각 196

도101. 池雲英,〈故事人物圖〉, 1927, 紙本淡彩, 30x132㎝, 연세대박물관 196

도102. 〈仇英筆故事人物圖〉, 『點石齊叢譜』 권3, 존경각 196

도103. 김은호, 〈後赤壁賦〉, 1935년, 견본담채, 선면 45.5㎝, 개인소장 196

도104. 『點石齋叢畵』 권3 圖38, 존경각 196

도105. 김기창,〈仰見明月〉, 1940년대초반, 견본수묵채색, 42.0x102.5㎝, 개인소장 197

도106. 허건, 〈承天夜遊圖〉, 수묵담채, 113.0x51.0㎝, 개인소장 197

도107. 지운영, 〈방매도〉, 1932년, 지본채색, 49.5x93.0㎝, 개인소장 197

도108. 〈방매도〉, 『오우여화보』 (1909) 및 『비영각화책』 (1893) 197

도109. 오우여, 『申江勝景圖』(점석재, 1884), 서울대학교 규장각 197

도110. 오우여, 〈점석재〉, 『申江勝景圖』 上권, 국립중앙도서관 197

도111. 오우여, 〈신보과〉, 『申江勝景圖』 下권, 국립중앙도서관 198

도112. 오우여, 〈사마로중단〉 『申江勝景圖』 下권, 국립중앙도서관 198

도113. 오우여, 〈救火洋龍〉, 『申江勝景圖』 下권, 국립중앙도서관 198

도114. 오우여, 〈操演水龍〉, 『點石齋畵報』 1885.10.12. 198

도115. 오우여, 〈예원호심정〉, 『申江勝景圖』 上권, 국립중앙도서관 198

도116. 「조선난략」 표지, 『點石齋畵報』 1885. 3. 1 198

도117. 오우여, 〈郵政局肆筵速客頑固黨放火戕官〉, 『點石齋畵報』 1885. 3. 1 199

도118. 오우여, 〈假傳虎節召倭兵威逼鸞輿遷別院〉, 『點石齋畵報』 1885. 3. 1 199

도119. 오우여, 〈中奸謀韓庭飛碧血避亂黨關廟泣靑燐〉, 『點石齋畵報』 1885. 3. 1 199

도120. 전자림, 〈雲屯霧沛大帥鷹揚海闊天空藩王豹隱〉, 『點石齋畵報』 1885. 3. 1 199

도121. 장지영, 〈奮天戈奸臣授首投華寨弱主潜身〉, 『點石齋畵報』 1885. 3. 1 199

도122. 금계, 〈犯衆怒避禍走仁川普皇恩送孥歸濟浦〉, 『點石齋畵報』 1885. 3. 1 199

도123. 금계, 〈電報飛傳求保衛星軺移指壯聲威〉, 『點石齋畵報』 1885. 3. 1 200

도124. 전자림, 〈霜鋌雪鋌海上觀兵玉敦珠槃城中立約〉, 『點石齋畵報』 1885. 3. 1 200

도125. 하원준, 〈海戰捷音〉, 『點石齋畵報』 1894.8.15. 200

도126. 장지영, 〈形同海盜〉, 『點石齋畵報』 1894.8.15. 200

도127. 작자미상, 〈西艦救人〉, 『點石齋畵報』 1894.8.25. 200

도128. 금계, 〈牙山大勝〉, 『點石齋畵報』 1894.8.15. 200

도129. 금계,〈破竹勢成〉, 『點石齋畵報』 1894.9.4. 201

도130. 何元俊, 〈戰倭三捷〉, 『點石齋畵報』 1894.9.4. 201

도131. 하원준, 〈大同江記戰一〉, 『點石齋畵報』 1894.9.14. 201

도132. 금계, 〈大同江記戰二〉, 『點石齋畵報』 1894.9.14. 201

도133. 하원준, 〈軍令森嚴〉, 『點石齋畵報』 1894.9.14. 201

도134. 금계, 〈王妃移宮〉, 『點石齋畵報』 1885.4.29. 201

도135. 오우여, 〈院君回國〉, 『點石齋畵報』 1885.11.21. 202

도136. 오우여, 〈犬馬報主〉, 『點石齋畵報』 1884.6.8. 202

도137. 하원준, 〈起死回生〉, 『點石齋畵報』 1897.4.6. 202

도138. 금계, 〈望子奇聞〉, 『點石齋畵報』 1896.9.2. 202

도139. 금계, 〈記天然簫〉, 『點石齋畵報』 1889.5.4. 202

도140. 하원준, 〈高國妖人〉, 『點石齋畵報』 1896.5.7. 202

도141. 주모교, 〈殊不雅相〉, 『點石齋畵報』 1896.1.29. 203

도142. 금계, 〈幼女魁梧〉, 『點石齋畵報』 1888.9.30. 203

도143. 오우여, 〈僑如再世〉, 『點石齋畵報』 1888﹒11﹒28﹒ 203

도144. 부절, 〈劫火殪狐〉, 『點石齋畵報』 1887.12.19. 203

도145. 田子琳, 〈異鼠傷人〉, 『點石齋畵報』 1885.10.12. 203

도146. 금계, 〈巨鼠鬪狗〉, 『點石齋畵報』 1887.2.17. 203

도147. 오우여, 〈碩鼠志異〉, 『點石齋畵報』 1889.12.26. 203

도148. 부절, 〈非籠中物〉, 『點石齋畵報』 1886.9.2. 204

도149. 필자미상, 〈桃鶴圖〉, 조선후기, 지본채색, 119.7x37.6㎝, 국립중앙박물관 204

도150. 오우여, 〈人禽構怨〉, 『點石齋畵報』 1889.1.26. 204

도151. 부절, 〈魚異〉, 『點石齋畵報』 1887.1.28. 204

도152. 〈치어도〉, 『고금도서집성』 (1725), 20.4x13.9㎝ 204

도153. 부절, 〈鵬摶〉, 『點石齋畵報』 1887.1.28 204

도154. 부절, 〈洞中有怪〉, 『點石齋畵報』 1896.10.31. 205

도155. 〈교충〉, 청 『필원도본』 마창의, 『고본 산해경도설』 205

도156. 금계, 〈虎頭蛇尾〉, 『點石齋畵報』 1888.1.7. 205

도157. 금계, 〈朝鮮妖孽〉, 『點石齋畵報』 1896.7.5. 205

도158. 전자림, 〈東方之樂〉, 『點石齋畵報』 1885.10.03. 205

도159. 부절, 〈民歌大有〉, 『點石齋畵報』 1886.09.02. 205

도160. 금계, 〈翰墨因緣〉, 『點石齋畵報』 1887.6.16. 206

도161. 장지영, 〈以筆代舌〉, 『點石齋畵報』 1888.9.1. 206

도162. 금계, 〈韓使淸游〉, 『點石齋畵報』 1890.12.6. 206

도163. 馬子明, 〈銜筆揮毫〉, 『點石齋畵報』 1888.3.7. 206

도164. 오우여, 〈朝鮮科甲〉, 『點石齋畵報』 1885.7.26. 206

도165. 馬子明, 〈鼎甲游街〉, 『點石齋畵報』 1886.6.26. 206

도166. 馬子明, 〈海國選材〉, 『點石齋畵報』 1887.12.29. 207

도167. 馬子明, 〈恭應考差〉 『點石齋畵報』 1888.6.14. 207

도168. 오우여,〈高麗錢禁〉, 『點石齋畵報』 1884.12.21. 207

도169. 하원준, 〈計脫叔囚〉, 『點石齋畵報』 1896.10.1. 207

도170. 하원준, 〈謀財害岳〉, 『點石齋畵報』 1896.10.31. 207

도171. 부절, 〈朝鮮瞽會〉, 『點石齋畵報』 1887.5.27. 207

도172. 하원준, 〈禁僧入城〉, 『點石齋畵報』 1898.1.7. 208

도173. 금계, 〈言語不通〉, 『點石齋畵報』 1886.8.14. 208

도174. 금계, 〈官妓之夫〉, 『點石齋畵報』 1886.7.16. 208

도175. 금계, 〈孝婦苦衷〉, 『點石齋畵報』 1897.1.7. 208

도176. 《십이미인도》 축 중 제3폭, 견본설색, 184x98㎝, 북경고궁박물원 208

도177. 금계, 〈女貞不字〉, 『點石齋畵報』 1897.1.7. 208

도178. 작자미상, 〈日淸兵交戰之圖〉, 『朝鮮問題出師事情』 (1884), 국립중앙도서관 209

도179. 장지영, 〈爲國除奸〉, 『點石齋畵報』 1894.4.20. 209

도180. 고쿠니마사, 〈김옥균 조난사건〉, 1894, 35.2x72.3㎝ 209

도181. 아사다 긴코, 〈조선발단, 그처음〉,1894, 73x36㎝, 개인소장 209

도182. 금계, 〈鴨綠江戰勝圖〉, 『點石齋畵報』 1894.10.3. 209

도183. 노부카즈, 〈일본 해군 대승리, 압록강 해구의 해전〉, 72x36㎝, 1894년 209

도184. 부절, 〈倭兵無狀〉, 『點石齋畵報』 1894.8.15. 210

도185. 〈우물을 파는 일본 병사들〉(Japanese Soldiers Sinking a Well) 『그래픽』 1894.12.22. 210

도186. 〈우물을 파는 일본 군사들〉(Japanese Soldiers Digging a Well), 『The War in the East』 210

도187. 〈일본군 야영장의 부엌〉(Japanese Kitchen in Camp), 『The War in the East』 210

도188. 하원준, 〈日后巡行〉, 『點石齋畵報』 1896.6.15. 210

도189. 고쿠니마사, 〈조선경성의 소전투〉, 72x36㎝, 1894년 211

도190. 〈대원군〉, 『L'Illustration』 1895.11.2. 211

도191. 〈고종의 아버지 이하응〉, Owen N. Denny, 『An American Adviser in Late Yi Korea』 (1984) 211

도192. M. Charles Varat, 〈섭정〉, 「Voyage en Coree」, 『Le Tour du Monde』 ,1903.03.26. 211

도193. J.C. Fireman, 〈The Corean Regent〉 Trumbull White, 『The War in the East』... 211

도194. 『르 프티 파리지앵』, 〈조선 왕과 신하들〉, 1894.08.12. 211

도195. 헨리 새비지 랜도어, 〈한국의 왕〉, 『고요한 아침의 나라』 (1895) 212

도196. 〈중국 황제, 조선 왕, 중국 관료(Chinese Emperor, King of Corea, and Chinese Officials〉, 『The War in the East』... 212

도197. 빈센트 브룩스, 〈고종의 캐리커쳐〉, 『베니티 페어』 1889.10.19. 212

도198. Joseph Bell, 〈일본으로 향하는 조선의 관료들〉(The Corean Ambassadors to Japan),... 212

도199. 〈흩어지는 신포의 촌장들〉, 『The Graphic』 1896.10.30.일 212

도200. 〈재미있는 모자 행렬〉 H.W. Wilson, 『일본의 자유투쟁』 (Japan's Fight for Freedom,1904) 212

도201. 〈영토 분쟁 중장기〉, 『L'Illustration』 1904.9.3. 213

도202. 〈朝鮮文武兩班酒宴圖〉, 『풍속화보』 제 99호(1895. 9. 10.) 213

도203. 〈온돌의 독거〉, 『조선만화』 213

도204. 부절, 〈番社勝景〉, 『點石齋畵報』 1892.4.21. 213

도205. 부절, 〈番社勝景〉, 『點石齋畵報』 1892.5.11. 213

도206. 〈해밀턴 항의 해변에서 함대와 함께 한 마일듀의 하루〉(The China Squadron at Corea - Mr.Mildew's Day on Shore... 213

도207. 〈중국 주둔 함대의 잃어버린 동선〉 부분, 『그래픽』 1887.8.13. 214

도208. 〈일본군의 서울 행군〉, 『그래픽』 1894.12.22. 214

도209. 하원준, 〈覆車可鑒〉, 『點石齋畵報』 1896.7.5. 214

도210.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 나타난 자동차〉 『The Graphic』, 1909.2.20. 214

도211. 〈한국에 처음 선보인 자동차가 초래한 결과〉, 『Le Petit Journal』 1909.3.7. 214

도212. 장지영, 〈猛虎銜犬〉, 『點石齋畵報』 1889.11.7. 214

도213. 〈조선에 나타난 호랑이〉(Le Reone do Tigre en Coree), 『Le Petit Journal』 1909.12.12. 215

도214. 어우여, 〈各樹一幟〉, 『點石齋畵報』 1885.5.9. 215

도215. 하원준, 〈衆怒難犯〉, 『點石齋畵報』 1895.4.9. 215

도216. 〈한국의 새해풍습으로 서울 근교에서 벌어진 석전〉, 『The Graphic』 1902.02.08. 215

도217. 김준근, 〈풍속도첩 중 석전〉, 16~19x13~14㎝, 지본수묵담채, 기메박물관 215

도218. 도리고에 세이키(島越靜岐), 〈석합전〉, 『조선만화』 215

도219. 〈활쏘는 한국인〉 줄뒤페, 『세계여행』 (1826) 216

도220. 독일의 식품회사 '빌 헬름 헨젤'사의 판촉용 광고카드 〈한국해협〉(1900년경) 216

도221. 〈양반들이 제일 좋아하던 오락거리를 즐기는 모습〉(Yangbans at Their Favourite Amusement),... 216

도222. 부절, 〈重陽習射〉, 『點石齋畵報』 1892.11.4. 216

도223. 어우여, 〈習射奇談〉, 『點石齋畵報』 1889.10.28. 216

도224. 부절, 〈新官塗臉〉, 『點石齋畵報』 1893.1.12. 217

도225. 김준근, 〈혼례가는모양〉, 숭실대학교 기독교박물관 217

도226. 어우여, 〈協濟軍需〉, 『點石齋畵報』 1884.11.12. 217

도226-1. 도232의 삽병 부분 217

도227. 부절, 〈鬧考愈橫〉, 『點石齋畵報』 1886.9.12. 217

도228. 〈聖諭像解〉 承宣堂刊本, 강희20년(1681),20.1x16㎝, 상해 복단대도서관 217

도229. 〈欽定元王惲承華事略補圖〉, 1896년, 22.8x15.7㎝, 『欽定元王惲承華事略補圖』 6권 217

도230. 何元俊, 〈天足會〉, 『點石齋畵報』 1885.5.9. 218

도231. 符節, 〈閑曹顧曲〉, 『點石齋畵報』 1888.7.4. 218

도232. 〈九子十成〉, 李盛興畵店, 110.5x60.5㎝, 천진박물관 218

도233. 田子琳, 〈狐遭雷殛〉, 『點石齋畵報』 1885.5.28. 218

도234. 任熊, 「天斧搜崖出秘魔」, 《姚大梅詩意圖冊》, 1851, 紙本設色, 27.3x32.5㎝, 北京故宮博物院 218

도235. 任熊, 「巽姨綽約掉風扇」, 《姚大梅詩意圖冊》, 1851, 紙本設色, 27.3x32.5㎝, 北京故宮博物院 218

도236. 吳友如, 〈情鬼鸞書〉, 『點石齋畵報』 1895.3.11. 219

도237. 하원준, 〈因禍爲福〉, 『點石齋畵報』 1897.2.16. 219

도238. 〈海戰捷音〉, 『The War in the East』 (1895) 219

도239. 〈조선국관부〉, 『皇淸職貢圖』 (1805), 20.6x14.9㎝ 219

도240. 하원준, 〈西婦聚會〉, 『點石齋畵報』 1893.5.30. 219

도241. 〈조선 무희, 기생〉(Ki-Sang, or Coerean Dancing Women), 『Illustrated London News』 1894. 8. 11. 219

도242. 〈애도의 나라〉 (A Nation of Mourners), 『하퍼스 위클리』 1895.01.05. 219

도243. 〈양촌대전〉, 『Le Monde Illustré』, 1901.2.9. 220

도244. 〈흑룡강에서 러시아 전함을 포격하는 장면〉, 『Le Monde Illustré』, 1901.02.09. 220

초록보기

 본 연구는 1884년에서 1898년까지 上海의 申報館에서 발행된 그림신문인 『點石齋畵報』의 화풍과 조선 관련 화보를 통해 나타난 조선이미지를 미술사적 관점으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19세기에는 石印 기술이 발명되며 그림신문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탄생하였다. 글로만 이루어져있던 기존의 신문과 달리 揷畵가 수록된 그림신문은 대중의 큰 호응을 얻으며 세계 각국에서 널리 발행되었을 뿐 아니라, 사진이 보편화되기 전 시각이미지의 유통에 크게 기여했다. 그림신문의 유행에 따라 19세기 말, 개항지였던 상해에서도 어네스트 메이저(Ernest Major,1841-1908)가 중국식으로 번안한 『점석재화보』를 발행하였다. 외국 그림신문의 이미지를 그대로 차용하였던 중국의 기존 그림신문들과 달리 『점석재화보』는 중국인 畵師들을 고용함으로써, 전통회화 양식과 근대식 삽화가 혼종된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곧 중국 전역으로 널리 유통되며 '畵報'라는 새로운 매체의 유행을 선도하게 된다.

정치·경제·사회·문화·해외소식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룬 『점석재화보』에는 총 4,666장의 화보가 수록되어 있어, 이를 바탕으로 여러 학계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미지'가 主를 이룬 인쇄미술의 효시였으며, 저널 매체의 특성상 그 이미지가 대량 유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미술사학계에서는 『점석재화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점석재화보』의 화풍은 조·청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19세기 말의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한국 화단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더욱 미술사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II장에서는 『점석재화보』의 畵師들과 이들이 계승한 양식, 관련 출판물을 통한 화풍의 전파를 미술사적 관점에서 두루 고찰하였다.

또한 『점석재화보』는 조선 관련 화보들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확인되는 조선 관련 화보는 총 84장에 이른다. 4,666장의 전체 화보 가운데 외국 관련 화보가 총 634장 수록된 것을 고려했을 때, 조선 관련 화보의 비중은 결코 적지 않다. 특히 사진이 보편화되기 전 그림신문들은 미지의 세계를 형상화하며 국가 이미지를 고착화시키기도 했다는 점에서, 조선 관련 화보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제기된다. 이에 본 논문의 III장에서는 조선 관련 화보를 제재별로 분류하여 이미지를 중심으로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IV장에서는 조선이미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조선 관련 해외 삽화들과 『점석재화보』의 대조선관을 비교하고, 조선 관련 화보의 비사실적 묘사와 조선이미지의 유통에 대해서도 분석하고자 했다.

요컨대, 지금까지 조선이미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구미의 시각자료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또한 『점석재화보』의 조선 관련 화보들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으나, 이미지가 아닌 텍스트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동아시아 국가인 중국이 조선에 투영한 '시각이미지'에 초점을 맞춰, 조선이미지의 생성배경과 제작양상을 회화 전통 및 동시대 화단과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해 보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점석재화보』의 화풍을 미술사적 관점에서 살피고, 조선 관련 화보에 주목하여 조선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해석을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