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2. 선행연구 15

1) 국내 연구 15

2) 국외 연구 19

II. 스크리아빈의 생애 23

III. 스크리아빈의 사상적 배경 31

1.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러시아 31

2. 신비주의 33

3. 상징주의 39

4. 신지학 44

IV. 피아노 시 50

1. 시의 시작(1903) 50

1) 시의 시작과 〈신성의 시(Le Poème Divin') Op. 43〉 50

2) 피아노 시 52

3) 시의 음악 56

2. 과도기의 시(1904~1909) 60

1) 증 4도 63

2) 상징을 담은 음형 69

3. 시의 완성(1910~1914) 77

1) 신비화음, 온음음계, 8음음계 80

2) 〈불을 향하여, 시(Vers La Flamme, Poème) Op. 72〉(1914) 90

V. 결론 96

참고문헌 99

Abstract 103

표목차

〈표 1〉 〈가면극 Op. 63 No. 1〉에 나타난 음계 구성 88

〈표 2〉 〈낯섦 Op. 63 No. 2〉에 나타난 음계 구성 89

그림목차

〈그림 1〉 스크리아빈의 음-색채 배합 37

악보목차

〈악보 1〉 a) 〈두 개의 시 Op. 32 No. 2〉와... 53

〈악보 2〉 〈악마적 시 Op. 36〉 마디 1~4 55

〈악보 3〉 〈두 개의 시 Op. 32 No. 1〉 마디 1~2 56

〈악보 4〉 〈두 개의 시 Op. 32 No. 2〉 마디 1~4 57

〈악보 5〉 a)〈비극적 시 Op. 34〉와 b)〈시 Op. 41〉 58

〈악보 6〉 a)〈시 Op. 41〉 마디 34~35와 b) 마디 22~27 59

〈악보 7〉 〈두 개의 시 Op. 44 No. 1〉 마디 1~2 63

〈악보 8〉 a)〈시 Op. 52 No. 1〉와〈나른한 시 Op. 52 No. 3〉 65

〈악보 9〉 〈피아노 소나타 4번 Op. 30〉 마디 1~7 66

〈악보 10〉 〈나른한 시 Op. 52 No. 3〉 마디 1~2 67

〈악보 11〉 a) 〈두 개의 시 Op. 44 No. 2〉, b) 〈변덕스러운 시 Op. 45 No. 2〉,... 68

〈악보 12〉 〈피아노 소나타 10번 Op. 70〉 마디 37~38 70

〈악보 13〉 〈시 Op. 52 No. 1〉 마디 1~16 71

〈악보 14〉 〈피아노 소나타 7번 Op. 64〉 마디 29~34 72

〈악보 15〉 a)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와... 73

〈악보 16〉 〈피아노 소나타 7번 Op. 64〉 마디 60~61 74

〈악보 17〉 〈날개 달린 시 Op. 51 No. 3〉의 주제 75

〈악보 18〉 〈피아노 소나타 7번 Op. 64〉의 마디 327~331 76

〈악보 19〉 C 신비화음 82

〈악보 20〉 a) 〈시 Op. 59 No. 1〉와 b) 마디 1의 화음과 신비화음 83

〈악보 21〉 〈시-야상곡 Op. 61〉... 84

〈악보 22〉 온음음계, 8음음계, 프랑스 6화음, 신비화음의 유사성 86

〈악보 23〉 a) 〈두 개의 시 Op. 69 No. 1〉 마디 7과 b) 마디 23 87

〈악보 24〉 〈불을 향하여, 시 Op. 72〉 마디 27 91

〈악보 25〉 〈불을 향하여, 시 Op. 72〉 마디 81 92

〈악보 26〉 〈불을 향하여, 시 Op. 72〉... 93

〈악보 27〉 a) 〈불을 향하여, 시 Op. 72〉 마디 17~18과... 94

〈악보 28〉 〈불을 향하여, 시 Op. 72〉 마디 95... 95

초록보기

 알렉산더 스크리아빈(Alexander Scriabin, 1872~1915)은 1903년부터 철학적 관심을 표명하고, 음악 어법에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외관상으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바로 '시(Poème)'라는 명칭이 붙은 작품의 등장이다. 그는 이 해를 기점으로 사망하기 전 해인 1914년까지 '시'를 계속해서 작곡했으며, 피아노 시 20곡과 관현악 시 3곡으로 총 23곡의 시를 남겼다. 스크리아빈이 직접 '시'가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고 기록했듯이, '시'는 철학, 특히 당시 관심을 갖고 있었던 신비주의와 러시아 상징주의, 신지학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많은 학자들이 스크리아빈과 철학의 연관성을 주제로 많은 연구를 해왔으나 대부분 피아노 소나타와 관현악 시에 집중되어 있다. 본 논문은 많이 논의되지 않은 피아노 시 20곡을 통해 스크리아빈의 음악을 살펴보고, 철학이 그의 음악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연구한다. 화음과 작품 구성을 기준으로 피아노 시 20곡을 1903년, 1904~09년, 1910~14년으로 구분하며, 시기별 어법 변화와 그 과정에 철학적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신비주의와 러시아 상징주의, 신지학은 스크리아빈의 사상과 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자신의 철학적 사상들을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시'라는 작품과 그만의 독창적인 화음인 신비화음을 탄생시킨다. 신비화음을 고안하는 과정에서 스크리아빈의 음악은 점차 조성에서 벗어나 무조로 향하게 되며, 피아노 시 20곡은 이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