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7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연구 문제 11

3. 연구의 제한점 12

4. 용어의 정의 13

II. 이론적 배경 15

1. 직무스트레스 15

1)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15

2) 직무스트레스의 원인 17

2. 무용동작심리치료 19

1) 무용동작심리치료 개념 19

2) 무용동작심리치료 효과 20

III.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3

2. 연구도구 24

1) 직무스트레스 척도 24

2) 무용동작심리치료 요구조사 25

3. 자료처리 27

4. 기술통계 28

5. 연구절차 29

IV. 연구결과 30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30

2. 무용동작심리치료 요구조사 결과 분석 38

V.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제안 43

1. 프로그램 목표 43

2. 프로그램 구성 44

3. 프로그램 내용 48

VI. 결론 및 제언 65

참고문헌 69

설문지 72

ABSTRACT 79

표목차

〈표1〉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정의 16

〈표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23

〈표3〉 직무 스트레스 척도 구성 및 신뢰도 24

〈표4〉 무용동작심리치료 요구조사에서의 직무스트레스 구성 및 신뢰도 26

〈표5〉 기술통계 28

〈표6〉 연구절차 29

〈표7〉 사무직 근로자의 성별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 30

〈표8〉 사무직 근로자의 학력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 31

〈표9〉 사무직 근로자의 나이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 33

〈표10〉 사무직 근로자의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 34

〈표11〉 사무직 근로자의 직급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 36

〈표12〉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결측값 제외) 38

〈표13〉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단계 설정 45

〈표14〉 무용동작심리치료 설문 응답 자료 46

〈표15〉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세부 내용 1회기 49

〈표16〉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세부 내용 2회기 51

〈표17〉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세부 내용 3회기 53

〈표18〉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세부 내용 4회기 55

〈표19〉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세부 내용 5회기 57

〈표20〉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세부 내용 6회기 59

〈표21〉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세부 내용 7회기 61

〈표22〉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 세부 내용 8회기 63

초록보기

 이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가 직무수행 중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고, 무용동작심리치료에 대한 요구조사를 시행하여 이를 근거로 스트레스 관리에 목표를 둔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지역의 각 사업장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지의 응답이 부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4부를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총 296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무직 근로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스트레스의 결과가 높게 나왔고, 여성이 남성보다 스트레스 증세와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차이는 스트레스 증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나이에 따른 차이는 스트레스 요인, 증세,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급에 따른 차이에서는 스트레스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심리치료 요구조사에서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능력과 시간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증상으로는 마음의 여유가 없어지고 자주 화가 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운동이나 동호회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무용동작심리치료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해소하고 싶은 스트레스 영역은 미래설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험해보고 싶은 무용장르는 순수무용, 무용 프로그램에서 관심이 있는 활동은 신체활성화, 참여를 원하는 시간대는 퇴근 후 오후, 프로그램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는 신체적 관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설문의 분석결과를 기초자료로 사용하여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은 다리아 헬프린(Daria Halprin)의 치유 5단계 구조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무용을 신체적, 정신적 이완을 위한 치료적 도구로 다루었고, 명상과 함께 움직임을 통한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사무직 근로자들의 무용동작심리치료에 대한 요구를 밝혀내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사무직 근로자가 직무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계속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