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7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연구의 제한점 11

3. 용어의 정의 12

II. 이론적 배경 13

1. 체중관리 13

1) 체중 13

2) 체중조절 14

3) 무용전공자들의 체중조절 관심도 15

2. 다이어트 16

1) 다이어트 개념 16

2) 다이어트 방법 18

3) 트렌디한 다이어트 방법 25

III. 연구방법 28

1. 연구대상 28

2. 조사도구 28

3. 자료 분석 방법 29

4. 신뢰도 검증 30

IV. 연구결과 31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1

2. 체중조절 인식 33

3. 체중조절 실태 45

4. 트랜디한 다이어트 경향 60

V. 결론 및 제언 66

참고문헌 68

부록 71

ABSTRACT 78

표목차

〈표 1〉 일반적인 기초대사량 계산식 20

〈표 2〉 유행하는 식이요법 다이어트 종류 26

〈표 3〉 신뢰도 검증 30

〈표 4〉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표 5〉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 34

〈표 6〉 체중조절을 하는 이유 36

〈표 7〉 체중조절 정보습득 경로 38

〈표 8〉 효과적인 체중조절 방법 40

〈표 9〉 체중측정 빈도 42

〈표 10〉 1년간 체중조절 시도경험 44

〈표 11〉 체중조절을 통해 줄인 체중 46

〈표 12〉 체중조절 후 만족도 48

〈표 13〉 체중조절 지속시간 50

〈표 14〉 체중 조절 후 체중변화 52

〈표 15〉 다이어트로 인한 신체적 불편감 54

〈표 16〉 체중조절을 위해 시도해 본 다이어트 방법 58

〈표 17〉 식이요법을 통한 다이어트 유형(다중응답) 62

〈표 18〉 운동요법을 통한 다이어트 유형(다중응답) 64

〈표 19〉 약물주사요법 및 행동요법을 통한 다이어트 유형(다중응답) 65

초록보기

 이 연구는 발레전공자의 체중관리를 위한 트렌디한 다이어트 경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목적을 두었다. 서울 4개(E,H,S,K) 대학교를 선정하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실히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120부의 설문지는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발레전공자가 체중조절을 위해 시도해 본 다이어트 방법으로 학년, 신장, 경력, 연 공연횟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외에 체중, 주 연습시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트렌디한 다이어트 경향으로 발레전공자는 1일 1식, 간헐적 단식, 완전 단식을 통해 식이요법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운동요법은 저강도, 고강도 운동보다는 학교 무용수업 외에 춤을 통한 탄츠, 발레핏, K-pop 댄스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물주사를 경험한 정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행동요법을 통한 사우나, 경락마사지, 아로마향 순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계속해서 새롭게 등장하는 다이어트 방법의 객관적 자료 수집과 문헌 및 고찰을 통해 다이어트 방법을 더욱 세분화해야 할 것이며 무용관련 학교에서는 바람직한 체중조절 방법에 대한 교육으로 식이요법과 운동에 관한 교과목의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