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0

1.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11

1.3. 선행연구 검토 12

1.3.1. 지시어에 대한 연구 12

1.3.2. 지시어 교육에 대한 연구 15

II. 이론적 배경 17

2.1. 한·중 지시어의 정의와 분류 17

2.1.1. 한국어 지시어의 정의와 분류 17

2.1.2. 중국어 지시어의 정의와 분류 21

2.2. 지시어 학습의 난해 요소 25

III. 교재에 나타난 지시어 제시 양상 및 학습자 인식 33

3.1. 교재에 나타난 지시어 제시 양상 33

3.1.1. 교재에 나타난 지시어 빈도 33

3.1.2. 교재에 나타난 지시어 제시 방식 38

3.2. 지시어에 대한 학습자 인식 42

IV.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지시어 교육 자료 구성 방안 54

4.1. 교육 자료 구성 방향 54

4.2. 교육 자료 구성의 실제 58

V. 결론 68

참고문헌 70

부록 73

中文摘要 78

[표 1]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이/그/저' 17

[표 2] 한국어 지시어 연구 (민경모 2008: 24-30) 19

[표 3] 중국어 지시어의 정의 21

[표 4] 성질과 용법에 따라 분류된 중국어 지시대명사 24

[표 5] 한국어 지시 대명사 28

[표 6] 한국어 지시 용언 28

[표 7] 고려대학교 교재에 나타난 지시어 빈도 34

[표 8] 서울대학교 교재에 나타난 지시어 빈도 35

[표 9] 연세대학교 교재에 나타난 지시어 빈도 36

[표 10] 한국어 지시표현 '이/그/저'와 중국어 지시표현 '這/那' 54

[표 11] 한국어 지시어의 활용 56

[그림 1] 초급 교재에 제시된 지시어 제시 방식 38

[그림 2] 초급 교재에 제시된 지시어 제시 방식(연습 부분) 39

[그림 3] 그림을 통한 지시어 제시 방식 40

[그림 4] 단어 제시 또는 설명을 통한 지시어 제시 방식 41

[그림 5] '그'를 지칭하는 상황 지시 시각 자료 59

[그림 6] '저'를 지칭하는 상황 지시 시각 자료 59

[그림 7] '이'를 지칭하는 상황 지시 시각 자료 60

[그림 8] 사진 자료를 활용한 시각 자료1 60

[그림 9] 사진 자료를 활용한 시각 자료2 61

[그림 10] 사진 자료를 활용한 시각 자료3 61

초록보기

 지시어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나타나는 언어 항목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모두 지시어가 있으나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지시어를 잘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지시어 교육 자료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지시어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한국어의 지시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지시어에 대한 내용을 더 잘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이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지시어를 배우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내용은 제1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 필요성,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는 지시어와 지시어 교육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했다. 제2장은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 한·중 지시어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지시어를 배울 때 난해 요소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지시어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빈도와 제시 방식을 살펴보았다.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그리고 연세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선택하여 빈도와 제시 방식을 살펴, 현재 지시어 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3장에서는 교재 분석과 함께 한국어 지시어에 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학습자 인식은 설문조사 방식을 채택하여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한국어 초급자와 한국어 중·고급자를 각각 조사했다. 초급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에서는 상황지시 측면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중·고급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담화지시 측면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의 결과를 상세하게 요약하고 정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지시어 교육 자료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주로 교육 자료 구성 방향과 교육 자료 구성의 실제 두 측면을 포함하여 교육 자료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위와 같은 일련의 분석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지시어를 학습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긴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지시어를 더 잘 배우고 잘 파악하고 제대로 규범화하도록 도울 수 있는 한국어 지시어를 사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