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5
제2절 연구내용 및 범위 21
1. 연구내용 21
2. 연구범위 22
제2장 이론적 논의 24
제1절 사회통합정책의 이론적 고찰 24
1. 동화주의적 통합정책 26
2. 다문화주의적 통합정책 28
3. 통합정책 유형 32
제2절 국내 결혼이주여성 개념 및 특징 42
1. 이주의 여성화 42
2.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특징 45
제3절 사회통합 선행연구 55
1. 사회통합의 개념 55
2. 사회통합의 구성요소 60
제4절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통합 78
1.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개념 78
2.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구성요소 84
3.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통합에 대한 선행연구 88
제5절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사회통합 92
1. 가족관계 스트레스의 개념 92
2. 가족관계 스트레스의 구성요소 100
3.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사회통합에 대한 선행연구 103
제6절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108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108
2. 사회적 지지의 구성요소 114
3.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에 대한 선행연구 118
제3장 연구방법 122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122
1. 연구모형 122
2. 연구가설 123
제2절 변수구성 및 측정도구 129
1. 문화적응 스트레스 130
2. 가족관계 스트레스 131
3. 사회적 지지 132
4. 사회통합 133
제3절 연구대상과 표집방법 135
1. 연구대상 135
2. 표본추출 136
3. IRB승인과 자료수집 방법 136
제4절 자료분석방법 138
제4장 연구결과 140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0
제2절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147
제3절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148
1. 문화적응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148
2. 가족관계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150
3.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152
4. 사회통합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154
제4절 변수들의 상관관계 158
제5절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 영향요인 161
1.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161
2.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164
3. 사회적 지지가 사회 통합에 미치는 영향 168
4.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172
제5장 결과 및 제언 189
제1절 연구결과 요약 189
제2절 연구의 정책적 함의 및 제언 192
참고문헌 197
부록 212
ABSTRACTS 221
[그림 3-1] 연구모형 123
지구촌 인력의 국제적인 이동과 교류가 증가하고 한국사회의 국제결혼에 대한 태도나 가치관도 변화하면서 한국에서의 국제결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제결혼을 통한 외국 여성의 증가로 우리 사회에 새롭게 편입하게 된 이들 즉, 결혼이주여성들은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적응해야 하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낯선 한국에서 가정생활 스타일에 적응하고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면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우리 사회 안에서 한 명의 구성원으로 연착륙하기 위한 문제는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관심을 가질 사안이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에 성공적인 적응과 통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인 연구와 방법을 모색하는 노력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적 지지 등 다양한 요인이 사회통합 영향요인으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나 사회통합의 통합적 관점에서 작용하고 있음은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결혼 이주 이후의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통합을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와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 참여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가족관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와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 참여 차원의 변인들을 포괄적으로 선정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통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46명을 추출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사회통합인 지역사회통합을 살펴보면 국적을 취득한 경우와 소득이 높은 경우 지역사회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지각된 차별감은 지역사회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역사회에 참여하더라고 외국인으로서 느끼는 차별과 편견은 이들의 삶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시부모 관계 스트레스와 남편 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 참여를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소득이 높고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한국 거주기간과 시부모 관계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향수병과 지각된 차별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