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문제 24
3. 용어의 정의 24
II. 이론적 배경 26
1. 진로상담 26
1) 진로상담의 개념 26
2) 진로상담의 영역 31
3) 진로상담과 국가정책 37
2. 온라인상담 40
1) 온라인상담의 특징 40
2) 온라인상담의 발전 45
3) 온라인 진로상담의 활용 49
3. 진로발달 53
1) 진로발달단계 53
2) 진로개발지침 57
3) 진로발달과업 64
III. 연구방법 71
1. 텍스트 마이닝 분석방법 71
1) 텍스트 마이닝의 특징 71
2) 텍스트 마이닝의 방법 72
2. 연구대상의 선정 74
1) 진로상담 방식에 따른 데이터의 특징 검토 74
2) 진로 관련 온라인상담 사이트 분석 75
3. 연구절차 78
1) 데이터 수집 및 검토 79
2) 데이터 전처리 91
3) 데이터 분석 98
4) 데이터 분석 결과 해석 103
IV. 연구결과 104
1. 진로상담 호소문제 분석 결과 104
1) 초등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분석 결과 104
2) 중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분석 결과 116
3)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분석 결과 126
4) 대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분석 결과 137
5) 대상별 진로상담 호소문제 분석 결과 종합 147
2. 진로상담 호소문제의 변화 경향 분석 결과 159
1) 초등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변화 경향 분석 결과 159
2) 중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변화 경향 분석 결과 164
3)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변화 경향 분석 결과 168
4) 대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변화 경향 분석 결과 172
V. 논의 176
1. 진로상담 호소문제에 관한 논의 176
1) 초등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및 관련 논의 177
2) 중·고등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및 관련 논의 180
3) 대학생의 진로상담 호소문제 및 관련 논의 184
2. 진로상담의 영역에 관한 논의 187
3. 진로상담 방안에 관한 논의 192
1) 진로상담의 기대에 관한 논의 192
2) 직업정보 제공에 관한 논의 195
3) 진로상담 문제유형에 관한 논의 195
4) 온라인상담 활용에 관한 논의 196
VI. 결론 및 제언 200
1. 결론 200
2. 연구의 의의 202
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203
1) 연구의 한계 203
2) 제언 205
참고문헌 207
부록 11
〈부록 1〉 진로상담 데이터 제공 협조 요청 공문 220
〈부록 2〉 사용자 사전 등록 단어 목록 221
〈부록 3〉 동의어 사전 등록 단어 목록 226
〈부록 4〉 불용어 사전 등록 단어 목록 230
〈부록 5〉 2018년도 대상별 키워드 목록 및 빈도 231
〈부록 6〉 2018년도 대상별 토픽 클러스터링 목록 240
ABSTRACT 244
[그림 II-1] 학교급별 진로교육 체계 56
[그림 II-2] 대학생의 시기별 수행되어야 할 진로발달과업 모형 69
[그림 III-1] 텍스트 마이닝의 분석 과정 73
[그림 III-2] 진로상담 사례 스크리닝 과정 84
[그림 III-3] 교육통계 및 연구대상의 학교... 89
[그림 III-4] 교육통계 및 연구대상의 성별... 89
[그림 III-5] 2018년도 진로상담 사례의 대상별·성별 비율 90
[그림 III-6] 지역별 인구통계의 인구수 및 연구대상의 사례수 비율 비교 90
[그림 III-7] 연관 키워드 네트워크... 101
[그림 III-8] 연관 키워드 네트워크... 101
[그림 IV-1] 2018년도 초등학생의 상위 20개 키워드 순위 및 빈도 105
[그림 IV-2] 2018년도 초등학생의 상위 50개 키워드 Word Cloud 106
[그림 IV-3] 2018년도 초등학생의 연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107
[그림 IV-4] 2018년도 초등학생의 토픽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전체) 111
[그림 IV-5] 2018년도 초등학생의 토픽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상세) 115
[그림 IV-6] 2018년도 중학생의 상위 20개 키워드 순위 및 빈도 116
[그림 IV-7] 2018년도 중학생의 상위 50개 키워드 Word Cloud 117
[그림 IV-8] 2018년도 중학생의 연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118
[그림 IV-9] 2018년도 중학생의 토픽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전체) 121
[그림 IV-10] 2018년도 중학생의 토픽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상세) 125
[그림 IV-11] 2018년도 고등학생의 상위 20개 키워드 순위 및 빈도 126
[그림 IV-12] 2018년도 고등학생의 상위 50개 키워드 Word Cloud 127
[그림 IV-13] 2018년도 고등학생의 연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128
[그림 IV-14] 2018년도 고등학생의 토픽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전체) 132
[그림 IV-15] 2018년도 고등학생의 토픽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상세) 136
[그림 IV-16] 2018년도 대학생의 상위 20개 키워드 순위 및 빈도 137
[그림 IV-17] 2018년도 대학생의 상위 50개 키워드 Word Cloud 138
[그림 IV-18] 대학생의 연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139
[그림 IV-19] 2018년도 대학생의 토픽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전체) 142
[그림 IV-20] 2018년도 대학생의 토픽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상세) 146
[그림 IV-21] 2018년도 내담자 전체의 상위 20개 키워드 순위 및 빈도 147
[그림 IV-22] 2018년도 내담자 전체의 상위 100개 키워드 Word Tree Map 148
[그림 IV-23] 2018년도 대상별 주요 키워드 순위 비교(I) 152
[그림 IV-24] 2018년도 대상별 주요 키워드 순위 비교(II) 153
[그림 IV-25] 대상별'직업'의 연관 키워드 비교 결과 155
[그림 IV-26] 대상별'대학'의 연관 키워드 비교 결과 156
[그림 IV-27] 대상별'부모'의 연관 키워드 비교 결과 157
[그림 IV-28] 대상별'힘들다'의 연관 키워드 비교 결과 158
[그림 IV-29] 2001 ~ 2018년도 초등학생의 주요 키워드 순위 비교 160
[그림 IV-30] 2000 ~ 2018년도 중학생의 주요 키워드 순위 비교 164
[그림 IV-31] 2000 ~ 2018년도 고등학생의 주요 키워드 순위 비교 168
[그림 IV-32] 2000 ~ 2018년도 대학생의 주요 키워드 순위 비교 172
본 연구는 빅데이터(Big Data) 분석 방법 중의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이용하여 청소년 내담자들이 온라인 진로상담에서 호소하는 문제의 내용과 경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로는 교육부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진로정보망 커리어넷의 온라인 진로상담 사례를 이용하였다. 2000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총 19년간의 온라인 진로상담 사례 222,123건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4개 대상으로 구분하였고, 진로상담 신청내용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텍스트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데이터 해석의 과정을 거쳤으며, 빅데이터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R프로그램과 관련 패키지를 이용하여 Word Frequency, Word Cloud, Keyword Network Map, Topic Clustering 등의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내담자 대상별로 온라인 진로상담에서 호소하는 문제는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우선 초등학생은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탐색', '관심 직업·분야에 대한 정보 탐색'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진로상담 호소문제의 중심 키워드는 '대학'과 '적성검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해당 키워드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키워드의 내용 구체성이 낮은 것으로 보아 초등학생들은 진로상담을 통해 당면하고 있는 어떤 문제를 호소하기 보다는 자신이 현재 주로 하고 있는 활동이나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를 이야기하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드러내고 그 과정을 통해 진로에 대한 인식을 발달시켜 나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여러 선행연구에서 밝혀온 바와 같이 초등학생들은 진로환상기, 진로인식기 단계에 속해 있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학생은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탐색', '관심 직업·분야에 대한 정보 탐색', '성적 및 학업 관리', '고등학교 진학'을 주요 문제로 호소하고 있었고, 호소문제의 중심 키워드는 '불안'으로 확인되었다. '불안'은'진로, 직업, 꿈, 장래희망' 등의 키워드를 매개하며, '성적, 찾다, 정하다, 가다, 맞다, 시간'등의 여러 키워드와 연결되어 나타났는데, 중학생들은 진로를 탐색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과정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고 이를 진로상담에서 호소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고등학생의 주요 호소문제는 '관심 직업·분야에 대한 정보 탐색', '대학·학과 탐색', '계열 선택', '성적관리 및 대학진학', '비교과 활동 및 학교생활기록부 관리'등이었고, 중심 키워드는 '등급'이었다. '등급'은'대학, 학과, 내신, 수능' 등과 연결하여 나타나며, 여러 키워드를 매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고등학생 진로상담의 핵심적인 호소문제는 대학진학 및 그에 따른 성적 관리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은 '휴학, 자퇴 등 진로변경', '진로·취업 분야 탐색 및 준비'를 주요 내용으로 다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전공 불일치, 대학생활 부적응 등의 문제가 대학생 진로상담의 주요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중심 키워드는 '필수'와 '취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키워드들은 '취업, 졸업, 자격증, 채용, 공무원, 공기업', '자격증, 전공, 학위, 스펙, 대학원, 진학, 기업' 등의 여러 키워드와 연관해서 나타나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온라인 진로상담 호소문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모든 대상의 진로상담 사례에서 주요하게 언급되는 키워드는 '직업'이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직업이 차지하는 순위는 더욱 확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학교교육 내에서 진로교육이 다루어지고, 각종 체험활동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중학생은 과거에 비해 '꿈'에 대한 언급이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성적'에 대한 언급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고등학생은 과거에 비해 '학교'는 줄어들고, '학과'는 늘어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대학생은 과거에 비해 '휴학'에 대한 언급이 상당한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에서는 우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각 시기별 발달과업의 차이로 인한 진로상담 호소문제의 차이와 관련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진로상담 영역이 '진로 관련 문제'로만 한정되지 않고, '학업 관련 문제' 및 '정서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진로상담과 심리상담이 인위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는 여러 선행연구의 결과와 본 연구에서 규명된 결과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진로상담 방안에 관한 논의에서는 내담자들이 진로상담에 대해 가지는 기대, 진로상담 장면에서 직업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해야 할 필요성, 진로상담 문제유형의 구체화, 온라인상담 활용에 관한 이슈를 다룸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진로상담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진로상담 사례를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의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면밀하게 들여다봄으로써 내담자 대상별 진로상담 호소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내담자들의 진로상담 요구를 분석해내었다는 점과, 지난 19년간 축적된 22만 여건의 진로상담 사례를 토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로상담 호소문제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그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장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대면상담 데이터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연구나 해외 국가와의 비교연구 등의 후속연구를 통해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보다 효과적인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시사점을 찾아낼 것을 제안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