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문제 14
II. 이론적 배경 15
1. 아동중심 놀이치료 15
1) 아동중심 놀이치료 이론 15
2) 아동중심 놀이치료에서 치료자 17
2.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19
3. 아동중심 놀이치료자 관련 선행연구 23
4.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관련 선행연구 26
III. 연구 방법 31
1. 방법론으로서 해석학적 근거이론 31
2. 연구 참여자 36
1) 연구 참여자 선정 기준 36
2) 연구 참여자 소개 37
3) 면담 흐름표 41
3. 연구 기간 및 자료 수집 45
1) 예비연구 45
2) 본 연구 45
4. 자료 분석 및 과정 평가 47
1) 자료 분석 47
2) 연구 과정 평가 50
3) 연구자의 준비 및 이론적 민감성 향상 51
IV. 연구결과 54
1.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에 대한 해석학적 범주 구성 54
2.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에 대한 해석학적 범주 기술 58
1) 내담아동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고자 하는 치료자의 마음가짐: 진정성 "깨우기" 58
2) 한 인간이라는 전체로 치료자 자신의 내적인 경험을 알아차림(Being): "알아차리기" 61
3) 치료자로서 자신의 내적인 경험을 선택적으로 표현함(Doing): 진정성 "돌려주기" 78
4)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정성 "키우기" 87
5)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이 "닿기"/"통하기"/"알아주기" 98
3. 핵심범주의 구성 108
4.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 분석 111
5. 연구 결과에 대한 참여자들의 평가 116
V. 논의 및 결론 118
1. 논의 118
1)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 특성 118
2)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124
2. 결론 127
참고문헌 131
부록 6
〈부록 1〉 연구 참여자를 위한 설명문 145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150
〈부록 3〉 기초 연구 질문 양식 151
〈부록 4〉 참여자용 질문지 152
〈부록 5〉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 범주 153
ABSTRACT 157
[그림 1] 면담 흐름표 제작 과정 43
[그림 2] 연구 진행 과정 49
[그림 3]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 모형 57
[그림 4]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에 대한 핵심범주 109
[그림 5]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 분석 112
아동중심 놀이치료에서 치료자의 진정성은 치료관계 및 치료성과에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진정성의 모호함과 추상성으로 인해 놀이치료자들이 이를 훈련하고, 계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치료자들이 치료현장에서 진정성을 어떠한 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구체화된 이론적 작업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중심 놀이치료자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별로 개별 면담을 3~4회씩 실시하였다. 그리고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Rennie, 2000, 2006, 2007, 2012)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구술 자료에 대해 범주 구성과 기술, 핵심범주, 과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범주 구성을 통해 30개의 의미단위, 13개의 하위범주, 5개 범주로 구성하였다. 먼저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경험 과정으로 '아동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고자 하는 마음가짐', '한 인간이라는 전체로 치료자 자신의 내적인 경험을 알아차림', '치료자로 자신의 내적인 경험을 외적으로 표현함'이라는 세 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범주와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이 미치는 영향'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은 아동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에서부터 시작하였다. 그리고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은 치료자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알아차리고, 아동이 경험하고 있는 상황이나 마음을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은 반응과 행동이 개인의 감정과 욕구에서 기인된 것이 아닌지 그리고 치료적인지를 여과하고, 방식과 시기를 조율하여, 언어나 비언어적인 메시지로 자신의 내적인 경험을 표현하는 것이었다.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발달은 '인간적 성숙'과 '전문적 숙련'의 영향을 받았다. 아동중심 놀이치료자들은 교육분석과 수퍼비전을 통한 자기성찰, 삶의 경험을 통한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개인적인 성숙을 이룰 수 있었으며, 다양하고 오랜 상담경험, 수퍼비전을 통한 치료자 태도 및 내담아동에 대한 이해, 끊임없는 공부를 통해 전문적인 숙련을 이룰 수 있었다.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은 치료에서 '치료적 관계의 깊이 변화', '내담아동의 내·외적 변화', '치료자의 성장'을 가져오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구성된 범주를 통합하여 「끊임없는 너-나 알아차림을 통해 '진정한 나'로 존재함이 '치료적인 나'로 되어가기」라는 핵심범주를 상정하였다.
셋째, 아동중심 놀이치료자들이 진정성 있기 위해 실천하는 모습에 대해 과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정성 깨우기, 진정성 키우기, 진정성 알아차리기, 진정성 돌려주기, 진정성 통하기, 닿기 단계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치료자들의 진정성 경험의 과정을 세밀하게 분석하면서 동시에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아동중심 놀이치료자의 진정성 연구가 초심 놀이치료자의 훈련 및 교육에 대한 실제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