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9

1. 나의 내러티브: 연구출발 9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3

3. 연구 질문 18

II. 이론적 배경 19

1. 재판이혼 상담의 개념 19

2. 재판이혼 상담에서 가사상담위원의 역할 22

3. 재판이혼 상담에 관한 선행연구 25

4. 상담자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 29

III. 연구방법 32

1. 내러티브 탐구 32

1)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32

2)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34

2. 연구 참여자 39

1) 연구 참여자 선정 39

2) 연구 참여자를 위한 윤리적 고려 42

3. 연구자의 준비 43

4. 연구절차 44

1) 자료 수집 46

2) 자료 분석 47

3) 연구의 엄격성 48

IV. 가사상담위원의 재판이혼 상담 경험이야기 50

1. 권매화의 이야기 50

2. 김난초의 이야기 73

3. 최나무의 이야기 87

V. 가사상담위원의 재판이혼 상담 경험의 의미 101

1. 낯선 곳에서 상담자 자리 찾기 101

2. 책임에 따른 부담감 104

3. 안타까움과 아픔 107

4. 한계를 겪으며 나아가는 상담자 109

VI. 논의 및 제언 114

1. 논의 114

2. 제언 122

참고문헌 125

부록 137

[부록 1] 연구대상자를 위한 설명문 137

[부록 2] 연구대상자 서면 동의서(인간대상연구용) 141

ABSTRACT 142

표목차

〈표 1〉 연구 참여자의 특성 40

〈표 2〉 면담내용 46

그림목차

[그림 1] 내러티브 탐구진행과정 35

[그림 2] 연구 진행 과정 45

초록보기

 본 연구는 가사상담위원이 재판이혼 상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가사상담위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가사상담위원이 재판이혼 상담에서 경험한 의미를 이해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재판이혼 상담경험이 있는 3명의 가사상담위원과 2019년 4월부터 2019년 9월까지 3~5회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방법에 따라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3명의 가사상담위원이 재판이혼 상담에서 경험한 의미는 '낯선 곳에서 상담자 자리 찾기', '책임에 따른 부담감', '안타까움과 아픔', '한계를 겪으며 나아가는 상담자' 이다.

참여자들은 재판이혼 상담과 일반상담을 비교하면서 '낯섦'을 거쳐 '다름'이 있는 상담이라고 하였다. 재판이혼 상담에서 가사상담위원은 '상담', '치료' 뿐 아니라 갈등해결을 돕기 위해 '중재'가 필요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 '교육' 등 다양한 모습의 유연한 상담자역할이 필요한 상담임을 알아가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원고, 피고 및 자녀의 인생에 있어 중요한 결정을 하는 시기의 상담에 대한 책임감과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재판이혼 상담에서는 가사상담위원뿐 아니라 판사, 조사관과 함께 협력할 때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참여자들의 경험에서 잘 드러내주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상담자로서 전문적 역량과 가치관 및 신념으로 부담감을 극복하면서 상담자역할에 따른 책임을 다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재판이혼 상담을 통해 원고, 피고가 부모자리를 찾아가고 그들의 내면 안에 존재하고 있는 '부모됨'의 본질을 깨닫게 하였다. 또한 부모의 싸움 가운데 자녀를 보호하는 상담을 할 때 상담자역할에 대한 보람과 만족감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참여자들 삶의 원동력이 되었다.

참여자들은 재판이혼 상담에서 법률적 지식의 부족, 짧은 회기에 비해 다루어야할 많은 문제, 많은 에너지 소모 등을 경험하면서 주어진 환경의 한계뿐 아니라 상담자로서 한계를 경험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재판 이혼 상담의 한계 및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였으며 그러한 인식은 상담자로서 더 나아가는 동기부여가 되어 상담자로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상담자역할에 대한 보람은 그 일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상담자인 자신을 아는 것은 곧 내담자의 세계를 이해하는 힘이 되어 내담자의 존재가능성을 펼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상담자로 나아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재판이혼 상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관련 상담과 연구 분야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재판이혼 상담에서 가사상담위원의 경험을 들어내고 있어 가사상담위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가사상담위원을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