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및 주제어 11
I. 서론 13
A. 문제제기와 연구내용 13
1. 문제제기 13
2. 연구내용 15
B. 연구대상 및 연구범위 설정 16
1. 연구대상 16
2. 연구범위 설정 17
C. 연구방법 및 한계점 17
1. 연구방법 17
2. 한계점 18
II. 상황과 도전 19
A.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현실 이해 19
1.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현실 19
2. 부모-자녀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문제 인식 24
3. 주안장로교회의 상황 30
4. 주안장로교회 프로그램 참석자의 상황 31
B. 이상적 상황 35
1. 성경에 나타나는 의사소통 35
2. 성경적 의사소통 38
III. 이론적 근거 41
A. 하브루타 개요 41
1. 하브루타의 정의 41
2. 하브루타의 배경 42
3. 하브루타의 목적 44
4. 하브루타의 내용 47
5. 하브루타의 원리 50
B. 하브루타 적용을 위한 교회사적 연구 53
1. 하브루타 성경공부 53
2. 하브루타 가정예배 55
IV. 변화이론 57
A. 왜 하브루타인가? 57
1. 하브루타의 성경적인 근거 57
2.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고찰 65
B. 하브루타를 적용한 의사소통의 실제 71
1. 밥상 만들기 71
2. 베드타임 스토리 93
V. 타개책 97
A. 부모집단 구성 97
1. 조직 97
2. 역할 98
B. 부모집단 교육 98
1. 준비과정 및 시행일시 98
2. 프로그램 교육 99
C. 프로그램 제안 101
1. 밥상 만들기와 베드타임 스토리 101
2. 밥상 만들기와 베드타임 스토리 내용과 방법 103
D. 프로그램 실천 107
VI. 평가 124
A. 평가방법 124
1. 조사대상 124
2.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124
3. 사후설문지 구성 124
B. 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연구 결과 126
1. 프로그램 참가자의 평가 126
2. 위원회의 평가 132
3. 필자의 평가 132
C. 배운 점 136
VII. 특성 139
A. 연구의 특성 139
B. 수정 및 제언 140
VIII. 참고문헌 143
A. 동양서적 143
B. 서양서적 144
C. 번역서적 144
D. 논문 145
E. 학위논문 146
F. 기타 자료 146
부록 148
〈부록1〉 사전설문조사지 - 부모 148
〈부록2〉 사전설문조사지 - 자녀 150
〈부록3〉 사후 프로그램 평가 - 부모 152
〈부록4〉 사후 프로그램 평가 - 자녀 154
〈부록5〉 의사소통척도 -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156
〈부록6〉 의사소통척도 -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157
ABSTRACT 158
그림1. 주중 부모님과 함께한 시간(대화시간 포함) - 매일 30분 이상 20
그림2. 주중 아버지와 대화시간[원문불량;p.10] 22
그림3. 주중 어머니와 대화시간[원문불량;p.10] 22
그림4. 학교급별 학업 중단율 24
그림5. 전체 피해응답률 25
그림6. 학교급별 피해응답률 25
필자가 사역하는 주안장로교회에서는 일 년에 한 번 가정심방을 한다. 이때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생 자녀를 둔 성도들로부터 가슴 아픈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니 부모-자녀간의 갈등의 골은 깊어지고, 서로를 향한 분노만 쌓게 된다. 필자가 심방하면서 함께 기도하면 그야말로 눈물이 바다를 이룬다.
이러한 상황을 보면서 필자는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어떻게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갖고 고민했으며, 그 결과 유대인의 안식일 식탁에 주목하게 되었다. 특별히 유대인의 안식일 식탁에서 진행되는 하브루타가 성도들, 특별히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 문제를 겪고 있는 가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연구가 "하브루타 밥상 만들기를 통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증진 방안"이다.
필자는 유대인들의 안식일 식탁, 특별히 안식일 식탁에서 진행되는 부모-자녀간의 하브루타에 주목하면서 발견한 유익을 바탕으로 실제 가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밥상 만들기와 베드타임 스토리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고안된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위해 주안장로교회 중등부 학생 10명과 그들의 부모를 무작위, 선착순으로 선택하였고,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시간과 만족도에 대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후 프로그램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밥상 만들기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그에 따른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베드타임 스토리는 하브루타 밥상 만들기를 하는 도중에 시행하였다.
모든 프로그램을 마친 후 사후 프로그램 평가 설문조사와 간담회를 통해 참여자들의 피드백을 받았다. 긍정적으로는 부모-자녀간의 대화를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겪었는데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있어서 좋았다는 것, 그리고 대화를 통해 그동안 몰랐던 자녀의 속마음을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고, 의사소통의 방식에 있어서 부모-자녀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자녀에게서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는 시간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있었는데 각자 시간에 바빠 가족 구성원 모두가 모이기가 쉽지 않았고, 식사 시간을 맞출 수 없었다는 것이다. 또한 처음에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첫 단추를 제대로 꾀지 못한 것이 이후의 밥상 만들기에도 영향을 주어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 중학생이 아니라 초등학교 저학년일 때부터 시행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단기간의 프로그램이었음에도 반응이 좋았고, 계속해서 하고 싶다는 가정들이 많았다.
가정은 하나님께서 만드신 가장 기본적인 기관이다. 행복과 평안과 안식, 무조건적인 지지와 격려를 가장 먼저 경험하는 장소가 가정인 것이다. 이 때문에 많은 상담학자들은 가족에 대한 수많은 이론과 방법들을 제시했고, 부모-자녀간의 갈등과 문제 상황에 대해 연구했다. 비록 필자가 제시한 하브루타 밥상 만들기 프로그램이 상담학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된 이론과 방법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 청소년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에 충분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특별히 하브루타 밥상 만들기 프로그램을 부부학교나 아버지/어머니학교처럼 밥상 만들기를 위한 몇 주간의 하브루타 교육과 좀 더 전문화된 교육 과정을 프로그램화하여 교회에서 시행한다면 성도들의 가정에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