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제2절 연구 방법 11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12

제1절 리더의 유머사용 12

제2절 사내기업가적 행동 17

1. 사내기업가적 행동의 개념 17

2. 사내기업가적 행동의 구성요소 21

제3절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26

1. LMX의 개념 26

2. LMX의 구성요소 29

제4절 비인격적 감독 32

제5절 리더의 유머사용과 사내기업가적 행동 35

제6절 리더의 유머사용과 LMX 37

제7절 LMX와 사내기업가적 행동 39

제8절 LMX의 매개효과 41

제9절 비인격적 감독의 조절효과 43

제10절 비인격적 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 44

제11절 연구가설 정리 45

제3장 연구 방법 46

제1절 연구모형 46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47

제3절 표본구성 및 조사방법 49

제4절 통제변수 51

제4장 실증분석 및 연구결과 53

제1절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3

제2절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55

제3절 가설검증 57

제4절 가설검증 결과 종합 64

제5장 결론 및 토의 65

제1절 요약 및 논의 65

제2절 연구의 시사점 67

제3절 연구의 한계와 과제 69

참고문헌 71

ABSTRACT 90

설문지 93

표목차

〈표 2-1〉 기업가 및 기업가정신의 정의 18

〈표 2-2〉 사내기업가정신의 정의 20

〈표 2-3〉 ALS 이론과 LMX 이론의 비교 27

〈표 2-4〉 LMX 구성요소의 차원 30

〈표 2-5〉 비인격적 감독과 유사한 상사의 공격적, 적대적 행동 33

〈표 2-6〉 연구가설 45

〈표 3-1〉 설문지 구성 49

〈표 3-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결측값 제외) 50

〈표 3-3〉 분석 방법 51

〈표 4-1〉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4

〈표 4-2〉 기술통계 분석 55

〈표 4-3〉 Pearson 상관분석 56

〈표 4-4〉 리더의 유머사용과 사내기업가적 행동 간의 관계 57

〈표 4-5〉 리더의 유머사용과 LMX 간의 관계 58

〈표 4-6〉 LMX와 사내기업가적 행동 간의 관계 59

〈표 4-7〉 LMX의 매개효과 분석 (부스트래핑) 60

〈표 4-8〉 비인격적 감독의 조절효과 분석 62

〈표 4-9〉 조절된 매개효과의 지수 및 유의도 63

〈표 4-10〉 비인격적 감독에 따른 LMX의 매개효과 크기 검증 64

〈표 4-11〉 가설 및 가설검증 결과 64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46

〈그림 2〉 LMX와 사내기업가적 행동 관계에서 비인격적 감독의 조절효과 61

초록보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leader's use of humor on members' intrapreneurship behavior and the role of LMX and Abusive supervision. For this study, 179 employees of companies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were surveyed and the analysis method of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hypothese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use of hum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MX (+). Second, the leader's use of hum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members' intrapreneurship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MX has been identified in this relationship. Third, Abusive supervision were analyz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intrapreneurship behavior, and lastly, Abusive supervision were empirically analyzed to control the mediating effect of LMX in terms of the leader's use of humor and intrapreneurship behavior.

This study has expanded the field of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eader's humor by selecting and verifying the intrapreneurship behavior as a result variable, and by finding possible parameters and parameters for the leader's use of humor and intrapreneurship behavior, there is a more in-depth analysis of the leader's use of humor, LMX, abusive supervision and intrapreneurship behavior influence in terms of the in-house business.

With the advent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and the digress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were able to expand the theoretical discussion area of intrapreneurship behavior research through the use of humor by the leader and confirm the need to enhance leadership influence in the context of the leader's use of humor and intrapreneurship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