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제2절 연구의 범위와 연구 문제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7

제1절 일-가정 상호관계 17

1. 일-가정 갈등 19

2. 일-가정 충실화 26

3. 일-가정 균형 및 일-가정 균형 만족 28

제2절 이직의도 32

제3절 매개요인으로서의 직무소진, 직무열의 32

1. 직무소진 32

2. 직무열의 38

제4절 조절요인으로서의 동기부여 요인 44

1. 가족동기 44

2. 경력동기 47

제5절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50

1. 연구 가설의 설정 50

2. 연구 모형 65

제3장 연구 방법 66

제1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66

1. 일-가정 갈등 66

2. 일-가정 충실화 68

3. 일-가정 균형 68

4. 직무소진 69

5. 직무열의 71

6. 가족동기 72

7. 경력동기 73

8. 이직의도 74

9. 통제변수 75

제2절 설문지 및 표본의 구성 75

1. 설문지의 구성 75

2. 표본의 구성 77

3. 자료 분석 방법 80

제4장 실증 분석 82

제1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82

1. 신뢰도 검증 82

2. 타당성 검증 83

제2절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91

제3절 가설 검증 94

1. 일-가정 갈등, 충실화, 균형과 직무소진의 관계(가설 1 검증) 94

2. 일-가정 갈등, 충실화, 균형과 직무열의의 관계(가설 2 검증) 97

3. 일-가정 갈등, 충실화, 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가설 3 검증) 99

4. 일-가정 갈등, 충실화, 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가설 4, 6 검증) 102

5. 일-가정 갈등, 충실화, 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가설 5, 7 검증) 107

6. 가족동기의 조절효과(가설 8 검증) 109

7. 경력동기의 조절효과(가설 9 검증) 115

8. 가족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가설 10, 11 검증) 117

9. 경력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가설 12, 13 검증) 118

제4절 가설 검증 결과 종합 120

제5장 논의 및 결론 123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23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125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의 방향 129

참고문헌 132

ABSTRACT 158

설문지 160

표목차

〈표 1-1〉 논문의 구성 체계 16

〈표 2-1〉 일-가정 갈등(WFC)의 주요 연구 및 연구의 흐름 21

〈표 2-2〉 일-가정 갈등의 두 방향 25

〈표 2-3〉 일-가정 긍정적 파급 27

〈표 2-4〉 일-가정 충실화 28

〈표 2-5〉 일-가정 균형 30

〈표 2-6〉 직무열의와 유사한 개념들 및 차이 43

〈표 2-7〉 연구가설 총괄표 62

〈표 3-1〉 일-가정 갈등의 측정 문항 67

〈표 3-2〉 일-가정 충실화의 측정 문항 68

〈표 3-3〉 일-가정 균형의 측정 문항 69

〈표 3-4〉 직무소진의 측정 문항 71

〈표 3-5〉 직무열의의 측정 문항 72

〈표 3-6〉 변수별 설문항목 및 출처 76

〈표 3-7〉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8

〈표 3-8〉 분석 방법 81

〈표 4-1〉 측정항목의 신뢰도 검증 결과 83

〈표 4-2〉 타당성의 유형 84

〈표 4-3〉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model fit index) 및 분석결과 88

〈표 4-4〉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88

〈표 4-5〉 변수들간의 상관계수의 제곱 값과 AVE 91

〈표 4-6〉 평균, 표준편차 및 변수 간 상관관계(pearson 상관계수) 93

〈표 4-7〉 독립변수와 직무소진 간의 회귀분석 결과 95

〈표 4-8〉 독립변수와 직무열의 간의 회귀분석 결과 98

〈표 4-9〉 독립변수와 이직의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 101

〈표 4-10〉 직무소진,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의 관계 103

〈표 4-11〉 일-가정 갈등, 충실화, 균형,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 105

〈표 4-12〉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107

〈표 4-13〉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108

〈표 4-14〉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가족동기의... 110

〈표 4-15〉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가족동기의 조절효과 113

〈표 4-16〉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경력동기의 조절효과 115

〈표 4-17〉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경력동기의 조절효과 116

〈표 4-18〉 가족동기의 직무소진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117

〈표 4-19〉 가족동기의 직무열의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118

〈표 4-20〉 경력동기의 직무소진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119

〈표 4-21〉 경력동기의 직무열의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119

〈표 4-22〉 가설 및 가설 검증 결과 120

그림목차

[그림 1-1] 연령대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13

[그림 2-1] Schaufeli & Bakker(2004)의 연구모형 35

[그림 2-2] 직무요구-자원 모형의 확장 37

[그림 2-3] 연구 모형 65

[그림 4-1]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가족동기의 조절효과 112

[그림 4-2]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가족동기의 조절효과 114

초록보기

 최근 우리나라에서 조직에 진입하는 여성근로자들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연령대별 경제활동 참여율을 살펴보면 30대 전, 후반까지 급격히 떨어지는 양상을 보여 결혼과 육아 등 가정과 관련된 생애사건이 경제활동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근로자들이 회사와 가정과의 양립 어려움으로 조직을 중도에 이탈하게 되는 현상은 사회적으로는 경력단절 여성의 문제로까지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조직 연구에서 여성근로자들의 일-가정 다중 역할 이슈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 여성근로자들의 일-가정 상호관계(일-가정 갈등, 일-가정 충실화, 일-가정 균형)가 이직의도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일-가정 갈등, 충실화, 균형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장에서의 웰빙에 해당하는 직무소진과 직무열의를 그 중간 메커니즘으로 보고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족동기와 경력동기가 이러한 관계를 조절(강화 또는 약화)한다고 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기혼 여성 근로자 247명의 자료를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 일-가정 갈등은 직무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가정 갈등이 증가할수록 이직의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관계의 중간 메커니즘으로 직무소진이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가정 갈등은 직무열의에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일-가정 갈등의 이직의도에 대한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일-가정 갈등은 직무소진은 증가시키나 직무열의를 유의미하게 줄인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충실화는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 소진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났다. 일-가정 충실화는 직무열의에는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가졌으며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일-가정 균형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에 대한 매개효과, 이직의도에 대한 직접효과,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가족동기의 조절효과,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가족동기의 조절효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가족동기는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모두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균형이 직무소진에 매개되어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동기는 일-가정 충실화가 직무열의에 매개되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일-가정 균형이 직무열의에 매개되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조절하였다.

한편 경력동기는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및 직무열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