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선행 연구 검토 15
가. 공손에 관한 연구 15
나. 요청과 거절 화행 연구 16
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의 언어 사용에 관한 연구 19
3. 연구 내용 및 방법 20
II. 주요 용어와 개념 22
1. 공손과 공손 전략 22
가. 공손의 개념 및 원리 22
나. 공손 전략 26
2. 요청과 거절 화행에서의 공손 30
가. 요청 화행 31
나. 거절 화행 35
III.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의 공손 전략 사용 분석 38
1.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의 특성 38
2. 담화 완성형 설문(Discourse Completion Test) 분석 방법 40
3. 결과 분석 53
가. 분석 기준 53
나. 화행별 전략 사용 빈도 분석 59
다. 요청 화행의 공손 전략 68
라. 거절 화행의 공손 전략 85
IV.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공손 교육 원리와 활동 97
1. 초등학생의 공손 인식에 기반을 둔 교육 활동의 모색 97
가. 초등학생의 공손 인식 97
나. 공손 교육 활동 구성의 원리 100
2.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공손 교수·학습 활동 구성 103
V. 결론 및 제언 110
참고문헌 115
ABSTRACT 119
부록_담화 완성형 설문(DCT) 124
[그림 1] Brown & Levinson의 공손 전략(1987, p. 69) 27
[그림 2] 2015 개정 국어 2-1 10. 다른... 46
[그림 3] 2015 개정 통합 2-2 1. 동네 한 바퀴 14-16차시 p. 32-33 47
[그림 4] 2015 개정 국어 2-1 10. 다른 사람을 생각해요 5-6차시 p. 226-227 48
[그림 5] 국어 2-1 3. 마음을 나누어요 9-10차시 p. 68-69 50
[그림 6] 공적 장면과 사적 장면의 요청 주 화행 공손 전략 사용 79
[그림 7] 공적 장면과 사적 장면의 요청 보조 화행 공손 전략 사용 80
[그림 8] 친밀도에 따른 요청 주 화행 공손 전략 사용 81
[그림 9] 친밀도에 따른 요청 보조 화행 공손 전략 사용 82
[그림 10] 나이에 따른 요청 주 화행 공손 전략 사용 83
[그림 11] 나이에 따른 요청 보조 화행 공손 전략 사용 84
[그림 12] 공적 장면과 사적 장면의 거절 화행 공손 전략 사용 93
[그림 13] 친소 관계에 따른 거절 화행 공손 전략 사용 94
[그림 14] 나이에 따른 거절 화행 공손 전략 사용 95
화자가 의사소통 목적을 성취하고, 대화 상대방과 원만한 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공손하게 말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 중 하나로 '의사소통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의사소통 역량이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능력,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며 갈등을 효과적으로 조정하는 능력 등을 의미한다. 학교는 학생들로 하여금 이러한 의사소통 역량을 신장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생 공손 교육에 주목하였고, 그중에서도 저학년 학습자에 보다 초점을 맞추었다. 초등학교 저학년 단계는 아동기를 지나 가장 급격한 언어 발달을 이루기 때문에 중요한 시기임에도, 저학년 학습자 대상의 대화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은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공손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무엇을 고려하여 가르칠 것인지 단서가 되는 자료를 마련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청과 거절 화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들의 공손 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공손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의 요청과 거절 화행 공손 전략 사용 양상을 살피므로, 공손에 관한 연구, 요청과 거절 화행 연구, 저학년 학습자의 언어사용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밝혔다.
II장에서는 먼저 존중과 배려의 관점에서 논의된 공손 개념을 검토하여, 본고에서 다룰 '공손 전략'의 범주를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언어적 기제를 모두 포함하며, 원만한 의사소통에 이르고자 하는 화자의 의도에 따른 효과적이고 적절한 대화 방법'이라고 밝혔다. 또한, 본 연구의 바탕이 되는 Lakoff(1973)와 Leech(1983)의 공손 이론과 Brown & Levinson(1987)의 공손전략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Searle(1969)의 화행 이론, Blum-Kulka et al.(1989)의 요청 화행 유형, Beebe et al.(1990)의 거절 화행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였다.
III장에서는 요청과 거절 상황을 중심으로 담화 완성형 설문(Discourse Completion Test, 이하 DCT) 문항을 개발하고, 한국어를 대상으로 하는 선행 연구의 분석 틀을 수정·보완하여 본고에서 활용할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서울 S 초등학교 2학년 학습자 남녀 각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12일부터 26일까지 약 이 주간 구어 DCT를 실시하였다. 자연스럽고 실제적인 발화 자료를 얻기 위해 본 연구자가 청자의 역할을 하고 저학년 학습자가 화자가 되는 역할극 형식을 취하였다. 그 후 요청과 거절 화행 공손 전략 사용을 문항별로, 변인별로 상세히 분석하여 그 양상을 밝혔다.
IV장에서는 III장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공손에 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논하고, 공손 교육 활동 구성 원리를 밝혔다. 이후 그 원리에 입각하여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공손 교수·학습 활동을 '상황(맥락) 파악', '공손 전략 탐색', '적용', '생활화'의 네 단계로 구성하여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용 및 담화 차원에서 급격한 변화를 마주하게 되는 저학년 학습자의 공손 교육 필요성과 중요성을 밝혔다. 둘째, 저학년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유의미한 요청, 거절 DCT 문항을 개발했다. 셋째, '구어' DCT로 설문을 진행하여 '문어' DCT보다 훨씬 더 자연스럽고 실제적인 분석 자료를 얻었다. 넷째, 초등학생 공손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교육 현장에 활용 가능한 공손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연구 대상이 된 학습자의 학년이 2학년에 국한되었고, 그 수 또한 다소 적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둘째, DCT 문항을 구성하는 데 있어 대화의 공식성의 정도, 나이, 친밀도 이외에 화행 실현에 영향을 주는 나머지 변인들을 반영하지못했다. 셋째, 비언어적 전략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지 못했다. 넷째, 공손 교육 방향의 모색이 이론적 논의에 그친 한계를 지닌다.
초등학생 공손 교육에 관한 이론적, 실제적 논의가 지속되어, 모든 학습자가 학교 국어 교육을 통해 공손 민감성을 체계적으로 기르고, 타인과 원만하게 소통하는 화자로 거듭나길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