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8

I. 서론 10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0

2. 연구문제 15

II. 이론적 배경 16

1. 성인 만성정신장애인 16

1) 만성정신장애인의 특성 및 현황 16

2) 만성정신장애인과 정신재활시설 18

3) 만성정신장애인과 불안 20

4) 만성정신장애인과 자기표현 21

2. 무용/동작심리치료 23

1) 무용/동작심리치료의 개념 및 특징 23

2) Laban의 움직임 이론과 Shape이론 24

3) 무용/동작심리치료와 성인 만성정신장애인 28

4) 무용/동작심리치료와 불안 및 자기표현 30

III. 연구방법 33

1. 연구대상 33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33

2)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사 결과 34

2. 연구도구 35

1) 불안 척도(Beck Anxiety Inventory; BAI) 35

2) 자기표현 척도(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 ABAS) 36

3) Laban의 Shape을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 37

3. 연구절차 43

4. 자료분석 43

IV. 연구 결과 44

1. Laban의 Shape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만성정신장애인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44

2. Laban의 Shape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만성정신장애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46

V. 논의 49

VI.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4

부록 61

부록 1.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지 63

부록 2. 불안 척도 64

부록 3. 자기표현 척도 66

부록 4. 무용/동작심리치료의 실제 68

부록 5. 바디스캔 자료 및 참여자 자료 일부 76

ABSTRACT 82

표 1. 실험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33

표 2. 비교집단의 인구 통계학적 특징 34

표 3.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사 결과 35

표 4. 총점에 따른 불안정도 구분 36

표 5. 자기표현 척도의 하위요인과 문항 구성 36

표 6. 무용/동작심리치료의 회기별 구성 39

표 7. 불안의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 결과 45

표 8. 자기표현의 사전/사후검사에 대한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 결과 47

그림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전/사후 불안 변화 45

그림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전/사후 자기표현 변화 48

초록보기

 본 연구는 Laban의 Shape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만성정신장애인의 불안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E구, D구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성인 만성정신장애인 17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를 시설에 따라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9명으로 각각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총 8회기에 걸쳐 Laban의 Shape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비교집단에게는 처치하지 않았다. 연구도구로는 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BAI), 자기표현척도(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 ABA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무용/동작심리치료는 2019년 4월 2일부터 6월 18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초기단계에서는 Shape flow의 요소를 활용해 호흡을 통한 신체인식과 자기(Self)인식을 도왔고, 종결회기까지 매회기의 초반에 지속하여 개입하였다. 중기단계에는 Body still form요소 및 방향지향적 Shape요소를 활용해 자기표현 및 타인과의 일방향적인 관계 속에서의 표현을 돕고자 하였다. 마지막 종결기 단계에서는 Shaping요소를 활용해 상호작용적 관계 속에서 자기표현 및 타인의 표현 수용을 도왔고, 집단 간 결속력을 경험하며 종결을 맞이하는 것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전체 회기 시작 전과 종료 후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만성정신장애인의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처치 후 불안이 감소하였고, 한 단계 낮은 불안 그룹에 속하게 되었다. 둘째,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내용의 영역과 신체언어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이는 라반의 Shape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신체내부 감각과 주변 환경을 현실에 기반하여 인식하게 함으로써 성인 만성 정신장애인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신체표현을 확장시킴으로써 자기표현 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