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ABSTRACT 13
I. 서론 15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B. 연구의 방법 17
C. 연구의 제한점 17
II. 본론 18
A. 환경노래의 필요성 18
1. 환경문제의 심각성 18
2. 환경교육의 중요성 18
3. 음악과 교육의 연관성 20
4. 환경노래 및 환경합창음악의 탄생 22
B.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23
1.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개요 23
2.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연혁 23
3.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현황 24
C.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활동 35
1. 창작 활동 35
2. 연주 활동 37
3. 보급 및 계몽활동 40
4. 전국환경노래경연대회 개최 49
D.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주요 작가와 작품 58
1.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소속 주요 작사가들 58
2.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소속 주요 작곡가들 62
E. 환경노래 및 환경합창음악 분석 70
1. 환경노래 모음집 구성 70
2. 전국환경노래합창경연에서 자주 연주되는 곡들 70
3. 전국환경노래경연대회에서 자주 부르는 환경노래 분석 71
4. 대표적 환경합창곡 분석 80
III. 결론 102
참고문헌 104
부록[원문불량;p.95-97,101-103,105-109,112-113,115-117,119-120,125-126] 106
〈표 1〉 환경교육 내용 영역 20
〈표 2〉 합창단 별 주요 환경 관련 공연 목록 33
〈표 3〉 찾아가는 음악회 공연 목록 38
〈표 4〉 환경뮤지컬 공연현황 39
〈표 5〉 故김황희 초대회장 시집 현황 40
〈표 6〉 환경노래모음집 보급 현황 41
〈표 7〉 Tape, Video, CD, DVD 보급 현황 43
〈표 8〉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환경노래 45
〈표 9〉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환경노래 46
〈표 10〉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환경노래 47
〈표 11〉 KBS 대구방송 어린이합창단의 주요 환경음악회 현황 48
〈표 12〉 전국환경노래경연대회 개최현황 50
〈표 13〉 최근 5년 간 지역별 참가자/팀 수 54
〈표 14〉 최근 5년 간 지역별 수상자/팀 수 54
〈표 15〉 노랫말부문 지역별 참가자 수 56
〈표 17〉 합창부문 지역별 참가팀 수 56
〈표 18〉 노랫말부문 지역별 수상자 수 57
〈표 19〉 작곡부문 지역별 수상자 수 57
〈표 20〉 합창부문 지역별 수상팀 수 57
〈표 21〉 전국환경노래경연대회에서 자주 부르는 곡 분석 72
〈표 22〉 곡의 형태 80
〈표 23〉 곡의 형식 87
〈표 24〉 곡의 형태 88
〈표 25〉 곡의 형식 95
〈표 26〉 곡의 형태 96
〈표 27〉 곡의 형식 100
〈그림 1〉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조직 24
〈그림 2〉 Grand Ec(h)o 오페라합창단 공연 사례 29
〈그림 3〉 GEM Singers 공연 사례 29
〈그림 4〉 리틀그린환경합창단 공연 사례 30
〈그림 5〉 Singing 24 공연 사례 32
(악보1) 노래의 시작부분(제7마디~ 제11마디) 81
(악보2) 성부의 모방 진행(제12마디~ 제15마디) 81
(악보3) 선율의 운용(제16마디~제17마디와 제24마디~제26마디) 83
(악보4) 알토 성부의 선율과 화성진행(제53마디~제56마디) 84
(악보5) 마지막 종지부분과 화성진행(제73마디~제78마디) 86
(악보6) 피아노 전주의 음형과 화성진행(제1마디~제9마디) 89
(악보7) 노래의 시작부분과 피아노 반주 음형(제18마디~제22마디) 90
(악보8) 소프라노 성부에 대한 메조소프라노와 알토 성부의 응답(제35마디~38마디) 91
(악보9) 후반부의 전조 과정(제46마디~제50마디) 92
(악보10) 종결구의 피아노 간주 화성진행(제71마디~제74마디) 93
(악보11) 종지부분(제75마디~제80마디) 94
(악보12) 노래 시작의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선율과 반주 음형(제5마디~제10마디) 96
(악보13) 알토 성부 주선율과 선율 성부의 첨가(제15마디~제20마디) 97
(악보14) 소프라노 선율과 피아노 반주의 반음계 하행(제23마디~제31마디) 98
(악보15) 절정부분과 마무리부분(제37마디~제40마디) 99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교육과 예술 분야에서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이 활발함에도 불구하고 동 분야 활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노래 및 환경합창음악의 창작과 보급을 위해 지난 25년간 운영되어 온 환국환경노래보급협회 활동과 성과를 종합하고, 주요 환경노래의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의 활동이 환경교육과 음악예술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밝혀 동 분야에 관심 있는 많은 이들에게 길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 보유 자료, 협회 관련 신문 및 인터넷 기사, 협회 창단부터 활동하고 있는 회원들의 소장 자료들을 근거로 한국의 환경노래 창작과 보급, 환경교육과 계몽 과정, 환경노래 작품들의 음악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환경 관련 독창적 문화콘텐츠로서 전 세계적으로도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공익성 높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와 소속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자주 연주되고 있는 곡들을 심도 있게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전 국민적 이해와 협조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의 통합 관리 지원체계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환경노래보급협회는 지난 25년간 중 처음에는 사비를 들여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활동의 중요성과 공익성을 인정을 받아 정부 예산을 보조받아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계몽 활동을 전개해 왔다. 특히 작사가들은 환경의식을 일깨우는 노랫말을 창작하고 작곡가들은 친숙한 화음을 사용하여 기후의 변화를 나타내거나 자연의 소중함을 각인시키기 위한 음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황희작사, 김정직작곡의 "지구의 사랑"은 지구에 살고 있는 수많은 생명체와 해와 달 그리고 별들이 조화롭게 살아 평화로운 지구가 되기를 바라는 가사를 동요적 감성으로 차분하게 다루고있다. 또한 하늘의 별들을 연상하는 16분음표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으며, 지구의 수많은 동식물을 강조하기 위해 '수많은'을 성부별로 반복하며 상행진행 시켜 우리가 돌봐야 할 지구에 동식물이 많다는 것을 연상시킨다. 그리고 성찬경이 작사·작곡한 "머그컵을 붙잡아"는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종이컵 대신에 머그컵을 사용하여 환경을 소중히 해야 한다는 마음을 강렬한 리듬과 경쾌한 선율진행으로 매우 활기차게 재미와 더불어 익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국민들의 환경공동체 의식 고취 기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 문화의 정착, 정부의 선진 환경 정책개발 및 수행 등에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