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2
I. 서론 14
1. 연구목적 18
2. 연구문제 21
3. 연구대상 및 방법 22
3.1 할렘 르네상스 이전의 노동요 및 흑인영가의 연구 22
3.2. 남북전쟁 후 할렘 르네상스의 발현과 시대별 저항음악 24
3.3. 각 시대별 흑인 관련 사건과 판례, 여론의 동향 25
3.4. 용어의 정의 27
II. 본론 33
1.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33
1.1. 중층기술의 해석으로서 흑인음악 33
1.2. 문화적 특수성으로서의 흑인음악 42
1.3. 소통 수단으로서 음악의 기능 51
2. 할렘르네상스 71
2.1. 할렘르네상스의 정의 73
2.2. 할렘르네상스의 원인 74
2.3. 할렘르네상스의 시기 79
2.4. 할렘르네상스의 발현 79
3. 할렘르네상스의 연속성 94
3.1. 흑인 저항음악의 발현과 전개 95
3.2.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이동과 저항음악 137
3.3. 할렘르네상스의 연속성에서 본 비서구권 국가의 저항음악 170
III. 결론 182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182
참고문헌 185
ABSTRACT 197
[그림 1] 민스트럴 쇼의 토마스 디 라이스 29
[그림2] 좌: 민권운동, 우: BLM운동, 블랙 파워 슬로건 31
[그림3] 중: 대각성운동 출처: 위키피디아 36
[그림4] 해리엇 스토와 톰 아저씨의... 36
[그림5] 좌- Oberlin Rescue 대원들 36
[그림6] 우- Oberlin Rescue 관련 기사 36
[그림7] 좌- Henry Peck, Oberlin 대학교수 37
[그림8] 중- Wiliam Scrimgeour, Oberlin 대학 학생, 우- Oberlin College출신... 37
[그림9] 흑인신문사『Freedom's Jounal』 창간호 40
[그림10] 상-「Go Down Moses」의 Call-and-Response 악보 48
[그림11] 하-「Go Down Moses」의 Syncopation 표현 48
[그림12] 「Go Down Moses」의 Polyphonic 구조 49
[그림13] 워릭폴러의「The Awakening Ethiopia」 82
[그림14] 「메리터너의 기억: 폭력에 대항하는 침묵의 시위」 84
[그림15] 실제 메리터너의 사진 84
[그림16] 흑인 인권단체의 로고 89
[그림17] 할렘 르네상스 시대의 주요기관지와 문학가들 91
[그림18] 연극 「옥토룬」의 포스터 93
[그림19] 토마스 쉽 실제 린치 사건 사진 97
[그림20] 1860년대 미국 남부지역 환금 작물 재배지도 107
[그림21] 린치행위와 군중심리의 관계 112
[그림22] 1944년 흑인 공군, 최초의 흑인 터스키기 공군 조종사 117
[그림23] 1944년 미국 육군성의 루즈벨트 지침 자료 117
[그림24] 영국의「Wants You」오리지널 포스터 118
[그림25] 1917년 미국의 징집 포스터 118
[그림26] 좌: 루즈벨트 영부인 우: 조쉬 화이트 120
[그림27] 예술 창작물에 발현된 창작자와 수용자의 행위 122
[그림28] 짐 크로우 법에 의한 흑인의 공공시설 분리 이용 실태 124
[그림29] 로자 파크스의 버스 보이콧 운동 사진 125
[그림30] 마틴 루터 킹의 버스 보이콧 운동 참여 사진 125
[그림31] 루이지애나주 문맹테스트와 영화「셀마」 125
[그림32] 존 바에즈와 밥딜런 127
[그림33] 1963년 버밍엄 교회 폭발, 2015년 찰스턴 교회 총격 장례식 134
[그림34] 마이클 브라운 총격 사건현장 138
[그림35] 패럴 윌리엄스의 그래미 퍼포먼스 138
[그림36] 전철 파업과 다리 위 시민 145
[그림37] The Message 뮤직비디오 147
[그림38] 기타리스트와 트레이본 마틴의 아빠 149
[그림39] 흑인 전형적 캐릭터들 출처: 위키피디아, 아마존 150
[그림40] 좌: 흑인의 전형적인 캐릭터 우: 갬비노의 뮤직비디오 캡처 151
[그림41] 좌: 디즈니 만화 캐릭터 우: 제이지의 뮤직비디오 151
[그림42] 찰스턴 교회 총기난사사건 152
[그림43] 딜런 루프와 남부 연합국기 사용 반대 운동 사진 1 153
[그림44] 좌: 차일디쉬 갬비노의 바지와 남부군 바지 154
[그림45] 뮤직비디오에서의 등장인물 155
[그림46] 실제 희생자의 사진 156
[그림47] 「셀마 」오스카 퍼포먼스 civilrightrail, CBS 160
[그림48] 켄드릭 라마 2016 퍼포먼스 164
[그림49] 드라마 「뿌리」와 영화 「블랙팬서」의 아프리카성 비교 167
[그림50] 영화 「블랙팬서 」중 후두교에서의 선조와 조우 168
본 논문은 노예제하에서 축적된 흑인음악의 특징과 은유와 상징으로 표현된 텍스트들을 바탕으로 인종차별의 슬픔과 분노를 이식한 저항음악의 프로세스를 연구하였다. 가시적 혹은 비가시적인 신분제사회에서 그들의 음악적 언어는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할렘 르네상스는 가사에 내재된 '은유와 상징' 들을 정서적이며 미학적인 흑인음악의 정체성을 형성 시켜주었고 이는 곧바로 '흑인음악' 이 지닌 문화적 특수성으로 귀결되었다. '흑인음악' 을 범주화 하는 기저에 음악적인 담론 외에 다분히 정치적인 쟁점들이 필연적으로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할렘르네상스는 이처럼 흑인음악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담론의 장을 열어 준 기폭제로 작용하였다. 그 근거로 문학, 미술, 연극, 정치, 사상분야의 흑인예술인들이〈전미유색인인권증진협회〉, 〈아프리카 민족주의 연맹〉, 〈범흑인인권증진협회〉 등의 단체를 조직하고 『The Crisis』, 『The Opportunity』와 같은 기관지를 편찬하여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서 경험했던 정체성의 문제와 사회적 성원권에 대한 요구들을 끊임없이 제시하고 인식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을 마련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재즈음악의 선풍적 인기는 최초의 흑인 저항음악으로서 빌리 홀리데이의 「Strange Fruit」을 급속히 확산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저항음악의 전개는 시대적 상황과 여건에 맞춰 발현되어 흑인음악의 집단적 특징을 규정하고 있다. 조쉬 화이트의 「Uncle Sam Says」, 1960년대 민권운동과 니나 시몬의 「Mississippi Goddam」, 2000년대 BLM운동과 차일디시 갬비노의 「This is America」로 연결되어 개별 저항운동의 특징들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국 내에서 뿐 아니라 비서구권 국가의 대중음악 시장과 저항음악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국의 경우 '콰이어트 스톰' (Quiet Storm) 등의 형태로 전이 되어 한국 대중음악 속에 리듬 앤 블루스, 소프트 소울 음악으로 발현되었으며 1990년대 김건모, , 진주, 박효신, 김범수, 나얼(앤썸) 2000년대 박정현, 박화요비, 정엽, 휘성 등으로 연결되는 한국 흑인음악의 르네상스를 형성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1960년대 민권운동으로 이어진 흑인 저항음악들은 자메이카의 '라스타파리 운동', 한국 '민중가요' 의 텍스트에 연결되어 수용자가 가사의 의미를 이해하고 특정의 행위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이후 힙합 음악과 영상콘텐츠로 전이된 매커니즘의 변화에 따라 'Social Entertainment' 의 역할을 감당한 흑인 저항음악의 전환성은 팝 음악 시장에서 뿐 아니라 국내 음원시장에서 스테디셀러를 창출 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문화적 특수성을 기반으로 형성된 흑인음악의 특징들을 할렘 르네상스의 연속성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서 학문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