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8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8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10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4
제2장 디지털 아카이브 전시의 필요성과 실현 방법 및 이론 16
제1절 디지털 아카이브 전시의 역할과 필요성 16
1. 웹 교육 자료 및 개방적 교육 현장 16
2. 자유로운 상호소통 교육 공간 19
3. 웹 관람객의 공감과 향유를 위한 기록 스토리텔링 매체 21
제2절 실현 방법 및 이론 24
1. 하인(George E. Hein)의 구성주의 박물관 이론 25
2.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 공론장 이론 30
3. 에코(Umberto Eco)의 기호학 이론 34
제3장 기록 스토리텔링 구현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 전시 38
제1절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 전시 구축의 필요성 38
제2절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 전시의 국내외 사례 연구 41
1. 국내 사례 42
2. 국외 사례 50
제3절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 전시의 기능 63
1. 보편적 교육 현장 63
2. 이용자의 자유로운 참여와 새로운 기록 생성의 공간 65
3. 스토리텔링을 통한 이용자의 감흥과 이야기 창작을 실현하는 동기 67
제4장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 전시의 방향 69
제1절 시민 문화 교육을 위한 개방적 웹 공간 69
제2절 예술 문화 자원의 활용 활성화 71
제3절 디지털 전시물 콘텐츠 개발과 한국문화예술의 세계화 72
제5장 결론 74
참고문헌 76
Abstracts 80
〈그림 1〉 하인(George E. Hein)의 교육 이론 27
〈그림 2〉 이용자가 참여한 오픈아카이브의 트랜스크립션 43
〈그림 3〉 '사료로 배우는 민주화운동' 웹 사이트의 교육 컨텐츠 45
〈그림 4〉 e뮤지엄의 나도 큐레이터 48
〈그림 5〉 e뮤지엄의 오늘의 추천소장품 49
〈그림 6〉 TNA가 게시한 사진 전시에 대한 이용자의 댓글 51
〈그림 7〉 TNA의 Blog에 대한 이용자와 게시자의 댓글 52
〈그림 8〉 The National Archives의 Education sessions and resources 53
〈그림 9〉 이용자가 게시하는 Google의 콘텐츠 56
〈그림 10〉 Arts & Culture의 전시를 공유한 Google의 클래스룸 5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