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ABSTRACT 12

제1장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14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1.3. 연구의 구성 체계 17

제2장 관련 기술 고찰 19

2.1. HPC 19

2.1.1. HPC의 개요 19

2.1.2. HPC의 발전 과정 21

2.1.3. HPC의 구성 21

2.1.4. HPC의 성능 요소 23

2.1.5. HPC의 최근 동향 25

2.2. GPU Cluster 25

2.2.1. GPU 클러스터 개요 26

2.2.2. GPU 클러스터의 기술적 구성 30

2.3. Cloud 36

2.3.1.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시장 현황 38

2.3.2. 클라우드 사용량 확대의 의미 40

제3장 중소·벤처기업의 IT자원 현황 및 애로점 43

3.1. 판교 지역 기업 조사 내용 43

3.1.1. 판교 기업의 하드웨어 자원 보유 현황 44

3.1.2. 판교 기업의 어플리케이션 보유 현황 45

3.2. 판교 지역 기업들의 컴퓨팅 자원 활용 시 애로점 47

제4장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운용 사례 연구 49

4.1. KISTI HEMOS Cloud 플랫폼 분석 49

4.1.1. KISTI HEMOS Cloud 개요 49

4.1.2. KISTI HEMOS Cloud Architecture 50

4.1.3. KISTI HEMOS Cloud 서비스 흐름 51

4.1.4. KISTI HEMOS Cloud 장단점 분석 51

4.2. 판교 HPC 이노베이션 허브 플랫폼 분석 52

4.2.1. 판교 HPC 이노베이션 개요 52

4.2.2. 판교 HPC 이노베이션 Architecture 52

4.2.3. 판교 HPC 이노베이션 서비스 흐름 53

4.2.4. 판교 HPC 이노베이션 허브 장단점 분석 53

4.3.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개선 방안 54

4.3.1. 서비스 이용자 관점 54

4.3.2. 플랫폼 운영자 관점 56

제5장 결론 57

참고문헌 59

[표 2-1] HPC 소프트웨어 구성 23

[표 2-2] 클라우드 배포 모델에 따른 비교 37

[표 2-3]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특징 및 비교 39

[표 3-1] 판교지역 주요 공급 산업군 44

[표 3-2]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종류(복수응답) 44

[표 3-3]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현황 45

[표 3-4] 패키지 SW 중 상용 SW 사용 업체 현황(복수응답) 46

[표 3-5] 보유하고 있는 컴퓨팅 자원(HW/SW)을 활용하여... 47

[표 3-6] 컴퓨터 자원 활용 시 주된 애로사항 48

[그림 1-1] 연구의 구성 체계 17

[그림 2-1] HPC 동작 개념 20

[그림 2-2] MPT(Many-Task Computing) 동작 개념 20

[그림 2-3] HPC 기술 발전 21

[그림 2-4] HPC 하드웨어 구성도 22

[그림 2-5] CPU vs. GPU 27

[그림 2-6] OpenCL 성능 29

[그림 2-7] GPU 클러스터 기본 HW 구조 31

[그림 2-8] GPU 클러스터 구성도 32

[그림 2-9] GPU 스케줄링 기술 36

[그림 2-10] 주요 클라우드의 엔터프라이즈 고객 수 증가율 38

[그림 4-1] KISTI HEMOS Cloud 개요 50

[그림 4-2] HEMOS Cloud Architecture 50

[그림 4-3] 판교 HPC 이노베이션 허브 Architecture 52

[그림 4-4] ISV 매개 구조 업무 흐름도 55

초록보기

 기업의 R&D 역량이 기업의 운명을 좌우하는 시대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렇게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기업의 R&D는 최근 IT분야의 기술들이 접합되면서 여러 분야의 공학적 요인들의 총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중소·벤처기업 입장에서는 유수의 대기업, 외국계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부분은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이를 현실화시켜 줄 수 있는 R&D에서 나온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중소·벤처기업은 R&D에서도 자본과 인력의 차이에 의한 IT 자원의 부족 때문에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 부분이 정부 예산 투입으로 인해 보전되어야 할 필요가 상당하며, 한정된 정부 예산인 만큼 사용하고자 하는 중소·벤처기업의 필요성에 의해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어떤 구조가 과연 중소·벤처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겠느냐가 본 논문 구상의 시작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베이스의 HPC와 GPU Cluster에 대한 기술들에 대해 살펴보고, 중소·벤처기업의 IT 자원 현황과 애로점에 대해 조사였다. 그리고 현재 정부 예산으로 운용되는 플랫폼을 분석하여 기업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플랫폼에 제대로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더욱 효율적인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래 공학 연구자들은 공학적 실험과 데이터로 각 개별 공학 분야를 연구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기술들은 여러 분야의 지식과 데이터가 융합되어 발전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미시적 관점에서의 공학보다는 거시적 관점에서의 공학 융합적인 방법으로 사고하고, 관련 기술들을 고찰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담보하여 융합적으로 서비스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서비스 보완 방안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개별 중소·벤처기업에게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클라우드 관리자 입장에서는 플랫폼 관리에만 매진할 수 있도록 하며, 정부에서는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기틀을 다지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