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의 목적 13
3. 용어의 정의 13
4. 연구문제 15
5. 연구의 제한점 16
II. 이론적 배경 및 근거 17
1. 역할놀이 17
1) 역할놀이의 개념과 성격 17
2) 역할놀이의 교육방법 19
3) 역할놀이의 교육적 효과 23
2. 자기결정기술 26
1) 자기결정의 개념 26
2)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특성 28
3) 자기결정이론 30
4) 자기결정모델 34
5)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 41
III. 연구방법 및 절차 45
1. 연구모형 45
2. 연구대상 46
3. 측정 도구 47
1) 자기결정기술척도검사 47
4. 연구 도구 52
1) 역할놀이 활동 프로그램 52
5. 연구 진행 절차 66
1) 문헌고찰 66
2) 연구 참여 교사 교육 66
3) 연구대상자 선정 및 사전조사 66
4) 프로그램 실시 66
5) 사후조사 67
6) 자료 분석 67
7) 연구 대상자를 위한 윤리적 고려 68
IV. 연구 결과 및 분석 69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포 69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70
3. 역할놀이 활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검증 71
V. 연구 결론 및 제언 77
1. 결론 77
2. 제언 80
참고문헌 82
부록 92
〈부록-1〉 설문지 92
〈부록-2〉 자기결정기술척도 검사지 93
〈부록-3〉 진로교과 중심 역할놀이 활동프로그램 102
국문초록 131
Abstract 133
〈그림 2-1〉 자기 결정의 기능적 모델 35
〈그림 3-1〉 연구 설계 모형 45
〈그림 3-2〉 역할놀이 활동 프로그램 구성 단계 52
본 연구는 중학교 진로와 직업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역할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자기결정기술과 9가지 하위 영역인 자기인식기술, 자기관리기술, 선택기술, 자기옹호기술, 지원망구성기술, 지역사회활용기술, 사회성기술, 협력기술, 스트레스관리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K도에 소재한 특수학교(학급)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 지적장애학생 14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7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자가 구안한 진로 교과 중심 역할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주1회 90분씩 블록타임으로 12회기에 걸쳐 적용하고, 다른 7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사전-사후 검사 비교집단 설계(Pro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인 역할놀이 프로그램은 특수교육 2015 진로와 직업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과서 및 지도서 내용을 분석하고 역할놀이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상황 장면으로 재구성한 활동 프로그램(부록3 참조)이며, 방명애(2006b)의 자기결정기술척도(부록2 참조)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고, 통계처리 및 결과 분석은 SPSS WIN version 18.0 program을 활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각각의 사전-사후 검사 간의 차이 검증은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과 사전-사후 검사 변화량의 차이 검증은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진로와 직업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역할놀이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프로그램 실시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역할놀이 활동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이는 지적장애학생들이 평소 학교교육활동 중 자기결정기술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던 것에 비해 자기결정기술을 증진하는 역할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중재하는 기간 동안은 실험집단이 다양한 상황들을 재현하고 반복할 수 있는 활동의 기회를 제공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중학교 진로와 직업 기본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역할놀이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프로그램 실시 후에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기술의 하위영역인 자기관리, 자기인식, 자기옹호, 지원망구성, 사회성, 스트레스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선택기술, 지역사회활용, 협력기술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진로교과 중심 역할놀이 활동프로그램이 교실환경에서 여러 상황 장면을 재현하는 활동이 주가 되었기 때문에 학교 밖 환경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술의 향상은 긍정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지적장애학생의 학교교육현장에서 자기결정기술을 실천할 수 있는 학교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역할놀이와 같은 활동중심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