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I. 서론 9

II. 모차르트의 교회음악 11

III. 〈기뻐하라, 즐거워하라〉(Exsultate, Jubilate K.165)의 개관 19

IV.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K. 165〉의 제1악장 분석 22

1. 형식구조 22

2. 선율 25

1) 대위법적 대선율 관계 25

2) 상호 화답식 구조 27

3) 각 성부 결합을 통해 하나의 선율을 이루는 구조 28

4) 수직화성적(homophonic) 관계 29

2. 리듬 32

1) 연속적인 16분음표의 빠른 리듬 32

2) 당김음 35

V. 결론 38

참고문헌 40

ABSTRACT 42

표목차

[표 1] 모차르트의 미사곡 15

[표 2] 모차르트의 모테트 16

[표 3] 모차르트의 교회소나타 16

[표 4] 모차르트의 그 외 교회음악 17

[표 5] 모차르트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의 구조 23

악보목차

[악보 1]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1-10,... 24

[악보 2]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11-14,... 24

[악보 3]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21-24,... 26

[악보 4]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47-53,... 27

[악보 5]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39-46,... 28

[악보 6]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24-31,... 29

[악보 7]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24-31,... 30

[악보 8]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32-38,... 31

[악보 9]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60-65,... 31

[악보 10]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54-59,... 33

[악보 11]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97-107,... 34

[악보 12]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17-23,... 36

[악보 13]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32-38,... 36

[악보 14]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제1악장 마디 65-70,... 37

초록보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K. 165〉(Exsultate, Jubilate K. 165)는 교회음악임에도 불구하고 바로크 시대의 세속 칸타타처럼 2개의 아리아와 레치타티보 그리고 알렐루야의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페라 아리아풍의 성악선율이 특징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모테트의 제1악장 구조를 살펴보고 관현악반주와 성악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제1악장은 아리아와 소나타악장형식의 결합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이 악장은 이중제시부를 갖는 협주곡의 제1악장처럼 제1제시부와 제2제시부, 재현부 그리고 코다로 구성되어 있다. 발전부는 생략되어 있다.

오케스트라와 성악의 관계에 있어 제1악장의 전체적인 특징은 오케스트라와 성악이 만들어내는 대비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오케스트라만 연주하는 제1제시부와, 성악이 함께 연주하는 제2제시부에서 음색과 음향의 대비가 나타난다. 성악이 함께 연주하는 제2제시부부터 오케스트라와 성악간의 관계는 미시적으로도 선율·리듬에서 다양한 대비가 나타난다. 오케스트라와 성악선율은 대위법적 대선율 관계, 상호 화답식 구조, 각 성부 결합을 통해 하나의 선율을 이루는 구조 그리고 수직화성적 관계로 되어 있고, 이는 대비효과와 음악의 다양성을 담보한다. 리듬적 측면에 있어서는 연속적인 16분음표의 빠른 리듬을 사용할 때 오케스트라와 성악의 대비가 일어난다. 특히 멜리스마는 성악부를 마무리하거나 연결구 역할을 하는 등 다양하게 쓰인다. 이외에도 특징적 리듬인 당김음은 제1악장 전체에서 각 부분을 연결할 때 화성과 함께 작용하여 역동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모차르트의 모테트 〈기뻐하라, 즐거워하라 K. 165〉는 오케스트라와 성악의 관계를 통해 다양성과 대비효과를 만들어내면서 동시에 소나타악장형식이라는 틀을 사용하여 통일성과 대비, 다양성의 균형을 잘 유지하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