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8
1. 연구의 범위 18
2. 연구의 방법 20
제3절 선행연구 검토 22
제2장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 33
제1절 비핵화 이론 33
1. 비핵화 개념 33
2. 비핵화 과정 38
3. 비핵화 방식 41
제2절 검증 이론 46
1. 검증 개념과 정의 46
2. 검증 구성 요소 52
3. 기술적 검증 58
제3절 분석의 틀 60
제3장 리비아 핵검증 사례분석 62
제1절 검증 과정 63
제2절 검증 대상 70
제3절 검증 수단 72
제4절 검증 방법 74
제5절 시사점 76
제4장 북핵 기술적 검증 분석 79
제1절 검증 과정 79
1. 협상 단계 79
2. 정보수집 및 분석 단계 88
3. 판단 및 대응 단계 92
제2절 검증 대상 98
1. 핵물질 98
2. 핵무기 104
3. 핵시설 108
4. 핵투발수단 117
제3절 검증 수단 122
1. 국가·국제기술수단 122
2. 국제기구 126
3. 검증기구 129
제4절 검증 방법 134
1. 감시 134
2. 사찰 139
3. 시료채취 및 분석 144
제5절 소결론 147
제5장 북한 비핵화 기술적 검증 적용방안 151
제1절 검증 과정: 상호협력적 검증 153
1. 협상 단계 153
2. 정보수집 및 분석 단계 154
3. 판단 및 대응 단계 157
제2절 검증 대상: 정밀화 검증 161
1. 핵물질 : 우라늄농축프로그램 검증 162
2. 핵무기: 연구·제조·저장 체계 검증 166
3. 핵시설: 핵심시설 검증 169
4. 핵투발수단: 탄도미사일 검증 172
제3절 검증 수단: 첨단화 검증 175
1. 영공 개방을 통한 국가·국제기술수단 175
2. 기술적 국제협력 체계 178
3. 국제공동검증단 183
제4절 검증 방법: 기술집약적 검증 187
1. 상주감시소 운영 187
2. 통합적 현장사찰 189
3. 과학적 시료채취 및 분석 193
제6장 결론 197
참고문헌 201
〈그림 2-1〉 검증 과정에서 정치적·기술적 과정의 상호 관계 53
〈그림 2-2〉 분석의 틀 61
〈그림 5-1〉 북한의 핵무기 제조 프로그램 중 신고·미신고 시설 164
〈그림 5-2〉 한국의 핵검증 가능 분야 및 검증 제한 분야 184
〈그림 5-3〉 기술집약적 검증 개념도 19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