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배경 12
제2절 연구의 목적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7
제1절 제천국제음악영화제 17
1. 영화제 개최배경 17
2. 영화제 성격과 목적 20
3. 영화제 프로그램 21
4. 영화제 개최 장소 23
5. 영화제 네트워크 24
제2절 영화제의 매력성 26
1. 매력성 26
2. 영화제 매력성 28
3. 콘텐츠 매력성 32
4. 장소 매력성 38
제3절 지역이미지 46
1. 이미지 46
2. 지역이미지 49
3. 지역이미지의 형성 53
제4절 영화제의 지속가능성 59
1. 지속가능성 59
2. 지속가능성의 특성 61
3. 영화제의 지속가능성 65
제3장 연구 설계 70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70
1. 연구모형 70
2. 연구가설 71
3.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75
4. 조사 설계 79
제4장 실증분석 및 결과 83
제1절 표본의 일반적 특성 83
제2절 측정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 85
제3절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88
제4절 연구가설 검정 90
1. 지역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위한 모형 검정 90
2. 지역이미지의 매개효과 검정 95
제5절 연구 결과 및 해석 97
1. 연구결과 요약 97
2. 연구결과 해석 98
3. 심층 인터뷰 결과 요약 103
제5장 결론 112
제1절 연구의 시사점 112
제2절 연구의 한계 114
참고문헌 116
부록 124
Abstract 130
[그림 2-1] 콘텐츠를 통한 도시매력성 형성 과정 38
[그림 2-2] 장소이미지 및 장소성 형성 과정 39
[그림 3-1] 연구 모형 71
〈수식 1〉 Sobel Test의 계산식 95
우리는 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로카르노 영화제를 장소 없이 기억할 수 있을까? 영화만을 위한 영화제가 지속가능할까? 우리는 영화라는 콘텐츠와 칸, 베니스, 로카르노라는 지역의 결합이 매력적인 지역 이미지를 형성하고 지역이 브랜드화 되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제천시도 영화와 제천이 만나서 새로운 지역이미지를 창출하였다. 영화제 개최로 인해 형성된 지역이미지는 지속가능한 영화제와 제천을 브랜드화 할 수 있을까?
국제영화제를 개최하는 목적은 지역이미지 개선을 통한 지역 정체성 확립 및 지역브랜드화라고 할 수 있다. 영화제는 영화콘텐츠를 가지고 하는 축제로서 지역에 문화적인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다. 여기에 장소성을 적용시키면, 영화제가 이미지를 형성하고, 형성된 영화제의 이미지와 지역의 이미지를 결합시키면 고유한 지역만의 브랜드가 만들어진다. 궁극적으로 지역 활성화를 위해 개최되는 영화제는 차별화된 영화콘텐츠 프로그램 구성과 장기적인 장소 마케팅 전략으로 지역을 브랜드화 할 수 있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매력성이 지역이미지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콘텐츠매력성(주제),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과 페스티벌스케이프(festivalscape)로서의 장소매력성을 원인변수로 추출하고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영화제를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2018년 제14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 참여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06부의 유효 표본이 연구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영화제매력성과 지속가능성 간에 있어서 지역이 미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ron & Kenny가 제안한 3단계 방법과 Sobel이 제안한 Sobel Test를 이용하여 가설 검정을 실시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매력성(주제)과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 장소매력성 모두 지역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장소 매력성이 지역이미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콘텐츠매력성(주제)과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 장소매력성 모두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력성과 지속가능성의 영향관계에서는 콘텐츠매력성(주제)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콘텐츠매력성(주제)과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 장소매력성, 지역이미지 모두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콘텐츠매력성(주제)과 콘텐츠매력성(장르융합)은 지역이미지를 부분 매개하여 지속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소매력성은 지역이미지를 완전 매개하여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가들의 인터뷰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매력이 지역이미지를 제고하고, 긍정적으로 형성된 지역이미지가 영화제의 지속적 개최와 지속 발전 가능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과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방문객들이 음악영화제라는 주제(테마)의 고유한 개성과 매력이 타 영화제와 차별화된 특성을 가진 영화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콘텐츠에 대해 방문객들은 앞으로 더 큰 기대를 가지게 될 것이다. 영화제의 매력 요소들인 '음악영화'와 '영화음악' 콘텐츠에 대한 매력을 잘 관리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축제장소의 매력은 지역이미지 창출에 기여하며 지역의 장소성을 강화시켰다. 장소를 단순한 물리적 공간이 아닌,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 곳으로 인식하고, 이미지와 가치를 지닌 명소로 재탄생시켜야 한다. 영화제 이후에도 사람들이 다시 찾아올 수 있도록 문화적인 환경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지역 문화자원의 창출과 육성, 관련주체들 간의 파트너십 구축, 그리고 지속적인 방문객관리에 기초한다. 그리고 성패의 결과는 그곳이 얼마나 독창적인 문화가 자리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
셋째, 지역이미지는 관광과 방문, 재방문의사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지역의 산업 잠재력을 개발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지역이 가지는 강점과 매력 요소로 형성된 긍정적 지역이미지는 그 어떤 물리적 자원보다도 방문객을 유인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역이미지는 중요한 관리의 대상임을 인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제천의 새로운 문화도시·영상도시로서의 이미지 창출에 어느 정도 성공적인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성공적 가치를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으로 이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비전과 목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