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제1장 서론 10
1. 연구목적과 문제제기 10
2. 연구사 검토 12
3. 연구방법 및 구성 16
제2장 일본 역사 속의 '황후'와 근대일본의 대중매체 '니시키에' 18
1. 일본 역사 안에서 부각되지 못했던 '황후(皇後)' 18
2. 메이지기 일본의 대중 저널리즘 '니시키에(錦繪)' 26
제3장 메이지 황후의 부각과 이미지화 : 1869~1894년 황후의 표상과 니시키에 33
1. 황실의 근대화와 황후의 가시화: 1869~1876년 33
1) 여관의 총지휘자 34
2) 천황의 아내 39
3) 황실외교 41
4) 흥업 42
5) 여성교육 44
2. 공무의 주체로 거듭나는 황후: 1877~1894년 45
1) 아내(妻), 어머니(母) 46
2) 여관의 총지휘자 60
3) 황실외교 61
4) 흥업 63
5) 여성교육 64
6) 군사·병원사업 66
7) 정치적 주체화 69
3. 메이지 황후의 근대 '입헌황후'로서의 표상 72
제4장 메이지 황후와 여성 역할 모델 : 1894~1914년 전시기 총후로서의 황후와 여성 75
1. 청일전쟁기 전장의 여성상과 황후: 1894~1903년 76
1) 붕대제작 76
2) 위문 79
3) 여성 '동원' : 청일전쟁 이후 84
2. 러일전쟁기 천황의 파트너로서의 황후: 1904~1912년 87
1) 정치·군사 88
2) 무녀(巫女) 92
3) 시대가 요청하는 황후의 표상 : 러일전쟁 이후 92
3. 메이지 황후와 여성 역할의 형상화 96
1) 정리 96
2) 메이지 황후와 상징천황제 97
제5장 메이지 황후와 여성교육 : 『부녀감(婦女鑑)』 속 이상적 여성상과 황후 100
1. 자선사업가 안나·프랑스 왕비 그리고 황후: 공익활동·자선사업의 표본 102
2. 벤자민 프랭클린의 딸 사라 바체와 황후: 애국하는 여성의 표본 107
3. 미국 영부인 돌리 메디슨과 황후: 여성 권력자로서의 표본 113
4. 여성교육의 본보기 메이지 황후상 120
제6장 결론 123
참고문헌 127
부록 136
ABSTRACT 138
[그림 1] 禦世の華墨田の眺, 楊洲周延, 1881 36
[그림 2] 上野公園博覽會場美術館猩猩噴水器之圖, 季光, 1881 37
[그림 3] 東京名所從上野公園不忍池中嶋弁天之景, 廣童三代, 1881 38
[그림 4] 富岡製糸場行啓, 荒井寬方, 1927 43
[그림 5] 女子師範學校行啓, 矢澤弦月, 1927 45
[그림 6] 上野公園不忍池弁天競馬之圖, 梅盛香得, 1885 47
[그림 7] 上野不忍共同競馬會社開業式之圖, 楊洲周延, 1884 48
[그림 8] チャリネ大曲馬禦遊覽ノ圖, 橋本周延, 1886 49
[그림 9] 高貴演劇遊覽之圖, 楊洲周延, 1887 50
[그림 10] 新皇居紅葉之圖, 作者不詳, 1888 50
[그림 11] 憲法發布禦通輦之圖, 井上探量, 1889 51
[그림 12] 禦鳳輦之圖, 梅壽國利, 1889 52
[그림 13] 新皇居禦出門之圖, 飛磯亭幾英, 1889 53
[그림 14] 奉視大典日本橋之圖, 飛磯亭幾英, 1889 53
[그림 15] 銀婚大典之禦儀式, 渡邊延一, 1894 54
[그림 16] 九段阪上靖國神社境內眞圖, 井上探景, 1888 56
[그림 17] 梅園唱歌圖, 楊洲周延, 1887 57
[그림 18] 皇後宮禦製唱歌, 豊原國周, 1887 58
[그림 19] 雪中梅莊群兒遊戱圖, 楊洲周延, 1887 58
[그림 20] 上野公園地第三內國勸業博覽會之圖, 東州勝月, 1890 59
[그림 21] 新聞錦撤糸製造の圖, 孟齋, 1877 60
[그림 22] 女官養香之圖, 三代廣重, 1884 63
[그림 23] 華族女學校行啓, 跡見泰, 1927 64
[그림 24] 東京慈惠醫院行啓, 滿穀國四郞, 1927 68
[그림 25] 憲法發布式之圖, 楊洲周延, 1889 70
[그림 26] 憲法發布式之圖, 井上探景, 1889 70
[그림 27] 帝國議會議事堂之圖, 楊齋延一, 1890 71
[그림 28] 裏後踏下の禦仁慈, 小林淸親, 1895 78
[그림 29] 野戰病院行啓之圖, 小林淸親, 1895 80
[그림 30] 廣島豫備病院行啓, 滿穀國四郞, 1927 82
[그림 31] 飢旋新橋ステ一ション禦著之圖, 小林淸親, 1895 83
본 논문은 1869년부터 1914년까지 메이지 황후에게 부여된 역할과 지위가 어떻게 대중적으로 표상되었는지 니시키에와 여성교육을 통해 살펴본다. 과거 일본에서 여성천황이 갖던 역사성은 사라지고, 그 대신 황후가 일본의 국가 권력의 상징으로 출현했다. 메이지 황후의 표상체계와 거기에 함축되어 있는 이데올로기는 일본의 문명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기제였으며, 메이지 정부가 지향하는 이상적인 여성상은 황후라는 실제 모델을 통해 이미지화되었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본고는 메이지 황후가 등장하기 이전인 과거 일본의 황실에서 천황의 정실이 가졌던 위상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비교·분석한다. 과거 일본에서는 명확하지 않았던 천황의 정실이 메이지 시대에 와서는 한 사람으로 특정되어 지면서 황후로서 선포된다. 그리고 그녀에게 다양한 역할과 위상이 부여되면서 그 존재가 부각됨을 지적하고자 한다. 특히 황후의 존재는 당시 국민 일반에게 통용되고 있던 니시키에(錦繪)에 인쇄되어 널리 확산되어 갔다. 따라서 메이지 일본의 대중 저널리즘의 성격을 지닌 니시키에를 개괄하고, 그 특징을 소개한다.
1869년부터 청일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인 1894년 초까지, 황후는 서구 왕비의 역할과 모습을 본받아 이상적인 '근대적 입헌황후'의 표상을 창출한다. 그 과정에서 황후는 일본이 문명국가임을 증명하는 중요한 표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여성들의 사회진출과도 관련해 다양한 영역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마침내 황후는 공무의 주체로서 활약하고, 니시키에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된다. 이것은 황후의 존재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기회가 되었으며, 동시에 황후의 표상체계가 확립되어 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청일전쟁이 발발한 1894년부터 황후가 사망하는 1914년까지, 두 번의 전쟁을 거치면서 황후는 전시에 여성들이 지녀야 할 역할을 몸소 실천하였다. 이로써 황후는 이상적인 '전시(戰時)의 여성상'으로 등장하며, 여성들의 전쟁 참여에 있어서 적합한 본보기로 거듭난다. 심지어 러일전쟁에 이르면, 황후는 정치적으로 천황에 버금가는 적극성을 보이며, 그만큼 상징적인 권력 개체로 표상된다.
이러한 황후에 대한 표상체계는 니시키에 뿐 아니라, 여성교육에서도 나타난다. 황후가 직접 편찬토록 명령하여 화족여학교의 수신교과서로 하사된 『부녀감(婦女鑑)』에는 다양한 여성인물들이 등장하는데, 그 가운데 황후의 표상과 겹치는 이미지를 가진 여성인물이 곳곳에 나타난다. 특히 서구 여성의 활동과 중첩되는 부분이 인상적인데, 여성교육에 있어서 황후 이미지의 투영은 메이지기 일본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여성상과 관련해 중요하다. 수신교과서를 학습하는 여학생들의 인식 속에 당시 활발하게 모습을 드러낸 황후의 이미지가 『부녀감』의 여성인물과 교차되면서 교육적 효과가 컸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메이지기 일본의 황후는 대중 매체를 통해 그 존재가 부각되며 근대화된 문명의 표상체계 속에서 거듭났다. 또한 전시의 시국 속에서 총후로서의 여성 국민의 역할을 대표하는 상징체로 기능하였다. 여성교육 현장에서도 당시 여학생들이 본받아야 할 위인들과 중첩되면서 이상적인 여성상의 본보기로 표상되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