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초록
Abstract
목차
제1장 머리말 9
1.1. 연구 배경 9
1.2. 연구 동향 12
1.3. 논문의 구성 14
제2장 안테나 설계 15
2.1. 기존 차량용 단거리 레이더용 안테나: linear series-fed patch antenna array 15
2.2. 제안하는 배열 안테나의 방사 소자 17
2.3. 제안하는 안테나 배열 21
2.3.1. Type A 배열 안테나 24
2.3.2. Type B 배열 안테나 27
2.3.3. Type C 배열 안테나 32
2.3.4. Type D 배열 안테나 35
제3장 안테나 제작 및 결과 41
3.1. 안테나 배열 Type A 41
3.2. 안테나 배열 Type B 43
3.3. 안테나 배열 Type C 45
3.4. 안테나 배열 Type D 47
제4장 맺음말 49
참고문헌 50
약력 52
그림 1.1. 테슬라와 구글의 자율 주행차 9
그림 1.2. 자율 주행 차량 간 통신 9
그림 1.3. 자율 주행 차량에 쓰이는 다양한 센서 및 역할 9
그림 1.4. RTCA: rear cross traffic alert 개념도 10
그림 1.5. BSD: blind spot detection 개념도 10
그림 1.6. road clutter로 인한 차량용 레이더의 성능 열화 개념도 11
그림 1.7. 제안하는 차량용 단거리 레이더용 안테나의 목표 및 구조 13
그림 2.1. 기존 레이더 모듈에 적용되는 linear series-fed patch antenna array와 단일 패치 안테나의 cavity model을 도시한 그림 15
그림 2.2. 단일 패치 안테나의 이론적인 빔 패턴 15
그림 2.3. linear series-fed patch antenna array의 예시와 특징 16
그림 2.4. 그림 2.3 안테나의 빔 패턴 시뮬레이션 결과 16
그림 2.5. 제안하는 coupled slit ring resonator의 위상에 따른 전기장 세기 17
그림 2.6. 제안하는 coupled slit ring resonator의 구조 및 방사 원리 17
그림 2.7. 이론적인 slit ring resonator의 방사 패턴 18
그림 2.8. (a) 제안하는 안테나 구조 (b) Lx값에 따른 impedance parameter (c) Ls값에 따른 impedance parameter[이미지참조] 18
그림 2.9. (a) 제안하는 안테나 구조 (b) Lcoup값에 따른 안테나 소자의 방사 전기장 세기[이미지참조] 19
그림 2.10. Lgap이 0일 때, open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자기 전류의 방향[이미지참조] 19
그림 2.11. Lgap이 0㎜일 때와 0.1㎜일 때의 Lfed값의 변화에 따른 안테나 directivity of far-field pattern의 변화[이미지참조] 20
그림 2.12. 제작된 안테나의 배열 안테나의 구조 및 수치 21
그림 2.13. (a) 기존 사용되는 linear series-fed patch antenna array 구조 (b) 제안하는 배열 안테나 구조 21
그림 2.14. 그림 2.13 (a)의 기존 linear series-fed patch antenna array의 수평 방향 빔 패턴(patch antenna)과 그림 2.13 (b)의 제안하는 배열 안테나의 수평 방향 빔 패턴(proposed antenna) 22
그림 2.15. 배열 안테나 Type A의 구조 24
그림 2.16. 배열 안테나 Type A의 S11 결과 25
그림 2.17. 배열 안테나 Type A의 수직 방향 평면의 normalized 된 빔 패턴 25
그림 2.18. 배열 안테나 Type A의 수평 방향 평면의 normalized 된 빔 패턴 25
그림 2.19. 20개의 point를 가지고 -30㏈의 side lobe level을 갖는 chebyshev window의 time domain 결과 27
그림 2.20. 그림 2.19의 time domain으로 표기된 chebyshev window의 discrete fourier tansform을 취한 결과 28
그림 2.21. 배열 안테나 Type B의 구조 29
그림 2.22. 배열 안테나 Type B의 방사 전기장 세기 29
그림 2.23. 배열 안테나 Type B의 S11결과 30
그림 2.24. 배열 안테나 Type B의 수직 방향 평면의 normalized 된 빔 패턴 30
그림 2.25. 배열 안테나 Type B의 수평 방향 평면의 normalized 된 빔 패턴 31
그림 2.26. 배열 안테나 Type C의 구조 32
그림 2.27. 배열 안테나 Type B와 배열 안테나 Type C의 구조 비교 32
그림 2.28. 배열 안테나 Type B와 배열 안테나 Type C의 수직 방향 패턴 33
그림 2.29. 배열 안테나 Type C의 S11결과 33
그림 2.30. 배열 안테나 Type C의 수직 방향 평면의 normalized 된 빔 패턴 34
그림 2.31. 배열 안테나 Type C의 수평 방향 평면의 normalized 된 빔 패턴 34
그림 2.32. 배열 안테나 Type D의 구조 35
그림 2.33. EBG가 없는 배열 안테나 Type C와 EBG가 있는 배열 안테나 Type D의 수평 방향 빔 패턴 변화 35
그림 2.34. EBG가 없는 배열 안테나 Type C의 수평 방향 평면의 위상에 따른 E-field 세기 36
그림 2.35. EBG가 있는 배열 안테나 Type D의 수평 방향 평면의 위상에 따른 E-field 세기 37
그림 2.36. 배열 안테나 Type D의 S11 결과 38
그림 2.37. 배열 안테나 Type D의 수직 방향 평면의 normalized 된 빔 패턴 38
그림 2.38. 배열 안테나 Type D의 수평 방향 평면의 normalized 된 빔 패턴 39
그림 3.1. 제작된 배열 안테나 Type A 41
그림 3.2. 배열 안테나 Type A의 시뮬레이션과 측정 S11 결과 41
그림 3.3. 배열 안테나 Type A의 수직, 수평 평면의 시뮬레이션과 측정된 normalized 된 빔 패턴 42
그림 3.4. 제작된 배열 안테나 Type B 43
그림 3.5. 배열 안테나 Type B의 시뮬레이션과 측정 S11 결과 43
그림 3.6. 배열 안테나 Type B의 수직, 수평 평면의 시뮬레이션과 측정된 normalized 된 빔 패턴 44
그림 3.7. 제작된 배열 안테나 Type C 45
그림 3.8. 배열 안테나 Type C의 시뮬레이션과 측정 S11 결과 45
그림 3.9. 배열 안테나 Type C의 수직, 수평 평면의 시뮬레이션과 측정된 normalized 된 빔 패턴 46
그림 3.10. 제작된 배열 안테나 Type D 47
그림 3.11. 배열 안테나 Type D의 시뮬레이션과 측정 S11 결과 47
그림 3.12. 배열 안테나 Type D의 수직, 수평 평면의 시뮬레이션과 측정된 normalized 된 빔 패턴 4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