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목차

I.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3

1.3. 선행연구 현황 14

1.4. 용어정리 17

II. 타이포그래피에서의 분절 20

2.1. 구조주의(structuralism)적 사고방식 20

2.2. 분절(分節, articulation) 22

2.3. 타이포그래피에서의 분절 23

1) 타이포그래피 작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분절의 양상 23

2) 타이포그래피의 분절에 나타나는 기능성 및 예술성 26

2.4. 소결 33

III. 언어·건축·음악에서의 분절 34

3.1. 언어적 속성에 의한 분절 34

1) 언어학에서의 분절 34

2) 언어학의 분절과 타이포그래피 35

3) 시에서의 분절 41

4) 시의 분절과 타이포그래피 47

3.2. 건축에서의 분절 51

1) 건축에서의 분절 51

2) 건축의 분절과 타이포그래피 57

3.3. 음악에서의 분절 61

1) 음악에서의 분절 61

2) 음악의 분절과 타이포그래피 63

3.4. 소결 71

IV. 언어·건축·음악의 특징으로 분석한 타이포그래피의 분절 유형 73

4.1. 언어: 발화단위 및 의미에 따른 분절 73

1) 정보 및 텍스트의 구조 강조 73

2) 단어의 의미 강조 76

3) 낯설게하기를 통한 예술성 증진 79

4) 의미에 상응하는 조형적 텍스트 82

4.2. 건축: 공간적인 분절 85

1) 유기적인 공간 구획 85

2) 건축적 공간감 형성 87

4.3. 음악: 표현방식으로의 분절 90

1) 텍스트의 표현 및 변형 90

2) 반복을 통한 율동 및 리듬 형성 93

4.4. 소결 96

V. 결론 98

참고문헌 100

Abstract 105

〈그림 1〉 언어·건축·음악의 특징을 적용한 타이포그래피 분절의 유형별 분류 4

〈그림 2〉 논문 진행 순서 6

〈그림 3〉 에밀 루더, 『타이포그래피』, 다양한 변이에 관한 예시 24

〈그림 4〉 타이포그래피를 하는 일련의 과정 및 세 가지 분절의 층위 25

〈그림 5〉 롤프 뮐러, 뮌헨올림픽 팸플릿 28

〈그림 6〉 볼프강 바인가르트, 「타입케이스 19」 29

〈그림 7〉 헬무트 슈미트, 탄생 알림 카드 30

〈그림 8〉 배열과 시각표현의 그래프 31

〈그림 9〉 롤프 뮐러, 뮌헨의 시민대학 야간 수업 신학기를 알리는 포스터 37

〈그림 10〉 볼프강 바인가르트, 「타입케이스 1」 38

〈그림 11〉 로베르트 뷔흘러, 바젤 식자공 조합 50주년을 기념하는 〈TM〉특별호 표지 39

〈그림 12〉 헬무트 슈미트, 오스트리아 잡지... 40

〈그림 13〉 좌: 김소월, 「산유화」 중 일부, 우: 음보 및 분절의 효과 분석 42

〈그림 14〉 좌: 박목월, 「청노루」 전문, 우: 음보 및 분절의 효과 분석 43

〈그림 15〉 좌: 김수영,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중 일부, 우: 시행 엇붙임의 효과 분석 44

〈그림 16〉 좌: 스테판 말라르메, 「주사위 던지기」, 중: 기욤 이폴리네르, 「비가 온다」,... 46

〈그림 17〉 황지우, 「무등」 전문 (필자: 화살표와 분절 위치 강조점) 47

〈그림 18〉 랄프 코번, MIT 여름 프로그램 48

〈그림 19〉 에밀 루더, 『타이포그래피』, 본문과 형태의 통일성에 관한 예시 49

〈그림 20〉 좌: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중 일부... 50

〈그림 21〉 좌: 심보선, 「둘」 중 일부 우: 박준, 강경탁의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영상 중 일부(도판) 50

〈그림 22〉 다양한 그리드의 예시 53

〈그림 23〉 좌: field theory 우: field theory 그리드를 활용해서 설계한 미국 아이오와 대학의... 53

〈그림 24〉 아른하임 파빌리온(Arnheim pavilion)의 전시공간 (좌: 평면, 우: 모형) 54

〈그림 25〉 성(聖) 골 사원(The Abbey of St. Gall) 55

〈그림 26〉 르 코르뷔지에, 「모뒬로르」 56

〈그림 27〉 미술관 공간에서의 동선 및 전시물의 관계 (연구자: 재정리) 57

〈그림 28〉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 전시회 포스터 58

〈그림 29〉 윌리 쿤츠, 콜롬비아 대학교 건축, 설계 및 보존 대학원의 강연 및 전시 포스터들 59

〈그림 30〉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 전시공간에 사용된 3차원의 그리드 60

〈그림 31〉 메조 스타카토, 스타카토, 스타카티시모 기보법과 주법 (연구자: 재정리) 62

〈그림 32〉 프랭크 암스트롱, 작곡된 음악을 타이포그래피로 표현한 아이디어 64

〈그림 33〉 로베르 마생이 디자인 한 이오네스코의 희곡집 『대머리 여가수』 중 일부 65

〈그림 34〉 허브 루발린, 표현적인 타이포그래피 66

〈그림 35〉 연하장 67

〈그림 36〉 볼프강 슈미트, 리드미컬 타이포그래피 68

〈그림 37〉 리드미컬 타이포그래피 69

〈그림 38〉 안상수, 음악적인 타이포그래피 70

〈그림 39〉 언어·건축·음악의 특징을 적용한 타이포그래피 분절의 유형별 분류 72

〈그림 40〉 진달래&박우혁, 「고산금. 만해 한용운 연구」 74

〈그림 41〉 워크룸, 「소비하고 남겨진 물건들」 75

〈그림 42〉 김가든, 「Take me home」 Photo wall 76

〈그림 43〉 오진경, 국제 명저 소설 표지 시리즈 77

〈그림 44〉 사월의눈,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 78

〈그림 45〉 워크룸, 「기억의 미래를 쫓는 사람들」 도록 79

〈그림 46〉 박노해,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 중 일부 79

〈그림 47〉 진달래&박우혁, 좌: 「아카이브 안녕 vol.2」,... 80

〈그림 48〉 일상의실천, 「바다는 가라앉지 않는다」 81

〈그림 49〉 박연주, 「서울 미디어시티 비엔날레 2018」 82

〈그림 50〉 오디너리피플, 「DIMENSION」 83

〈그림 51〉 워크룸, 「아뜰리에 보고전 - 천송이 꽃을 피우자」 84

〈그림 52〉 워크룸, 「encounter II」 85

〈그림 53〉 studo fnt, 「Architect & Architect」 86

〈그림 54〉 슬기와민, 「(불)가능한 풍경」 87

〈그림 55〉 오디너리피플, 「Beyond Imagination」 88

〈그림 56〉 일상의실천, 「김중업, 르 코르뷔지에를 만나다 89

〈그림 57〉 오디너리피플, 「한국의 정원: 소쇄원, 낯설게 산책하기」 전시 그래픽 90

〈그림 58〉 슬기와민,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그래픽 아이덴티티」 91

〈그림 59〉 유윤석, 「구민의노래」 92

〈그림 60〉 studio fnt, 「kams connection」 92

〈그림 61〉 진달래&박우혁, 「SAVINA MUSEUM」 MI 93

〈그림 62〉 박연주, 「머무르지 않는 사람의 노래」 94

〈그림 63〉 일상의실천, 리얼-리얼시티 전시 중 「남겨진 언어」 95

〈그림 64〉 타이포그래피의 분절을 유형별로 분류한 예시 작품들 96

〈그림 65〉 언어·건축·음악의 특징을 적용한 타이포그래피 분절의 유형별 분류 98

〈그림 66〉 A classification for the types of articulations in typography...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