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0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배경 14

제2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6

2.1. 문제제기 16

2.2. 연구목적 20

제3절 연구방법 및 구성 22

제2장 이론적 배경 24

제1절 잡 크래프팅(Job Crafting) 24

1.1. 잡 크래프팅의 개념 24

1.2. 잡 크래프팅의 동기와 결과 27

1.3. 잡 크래프팅의 직무요구-자원 모델(JD-R Model) 31

제2절 문화지능 36

2.1. 문화지능의 개념 36

2.2. 문화지능의 구성요소 36

2.3. 선행연구 37

제3절 직무배태성(Job Embeddedness) 38

3.1. 직무배태성의 개념 39

3.2. 직무배태성의 구성요소 39

3.3. 선행연구 41

제4절 지각된 과잉자격(Perceived Overqualification) 42

4.1. 지각된 과잉자격의 개념 42

4.2. 지각된 과잉자격 모델 43

4.3. 선행연구 44

제5절 조절 초점(Regulatory Focus: 향상초점, 유지초점) 46

5.1. 조절 초점의 개념 47

5.2. 조절초점의 범주: 향상초점(Promotion Focus)와 유지초점(Prevention Focus) 48

5.3. 선행연구 49

제3장 연구 질문 및 가설 53

제1절 연구 질문 및 가설 53

1.1. 문화지능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 54

1.2. 문화지능과 직무배태성, 잡 크래프팅의 관계 57

1.3. 문화지능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조절효과 60

1.4. 문화지능과 직무배태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조절효과 63

1.5. 직무배태성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과 유지초점의 조절효과 64

제4장 연구방법 67

제1절 데이터 획득 67

제2절 조사대상자 68

제3절 측정도구 70

3.1. 잡 크래프팅 71

3.2. 문화지능 71

3.3. 직무배태성 72

3.4. 지각된 과잉자격 72

3.5. 조절초점(향상초점, 유지초점) 72

제5장 분석결과 74

제1절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74

1.1. 신뢰성 검증 74

1.2. 타당성 검증 75

제2절 상관관계 분석 80

제3절 구조모델과 가설검증 82

3.1.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 가설검증 82

3.2. 조절효과의 검증 83

제6장 종합논의 89

제1절 요약 및 결론 89

제2절 시사점 및 한계 93

참고문헌 98

부록[원문불량;p.131] 120

Abstract 145

표목차

〈표 2-1〉 잡 크래프팅 선행연구 결과 28

〈표 2-2〉 JD-R 모델 연구 35

〈표 2-3〉 문화지능 선행연구 38

〈표 2-4〉 직무배태성의 선행연구 42

〈표 2-5〉 지각된 과잉자격 선행연구 45

〈표 2-6〉 조절효과의 선행연구 51

〈표 4-1〉 조사대상자 일반적 특성 68

〈표 5-1〉 변수들의 신뢰성 계수 74

〈표 5-2〉 요인분석 결과 76

〈표 5-3〉 KMO와 Bartlett의 검정결과 78

〈표 5-4〉 확인요인분석 결과 79

〈표 5-5〉 상관관계분석결과 81

〈표 5-6〉 적합도 지수의 모델 비교 83

〈표 5-7〉 다중조절회귀분석결과(지각된 과잉자격) 84

〈표 5-8〉 다중조절회귀분석 결과(향상초점) 85

〈표 5-9〉 다중조절회귀분석 결과(유지초점) 85

그림목차

〈그림 1〉 JD-R의 상호작용 32

〈그림 2〉 가설모형 54

〈그림 3〉 구조방정식 모델의 결과 83

〈그림 4〉 문화지능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자격과잉의 조절효과 86

〈그림 5〉 문화지능과 직무요구 도전하기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조절효과 86

〈그림 6〉 문화지능과 직무요구 방해요인 감소하기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조절효과 87

〈그림 7〉 문화지능과 직무배태성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자격과잉의 조절효과 87

〈그림 8〉 직무배태성과 사회적 자원증가하기 간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의 조절효과 88

〈그림 9〉 직무배태성과 직무요구 방해요인 감소하기 간의 관계에서 유지초점의 조절효과 88

초록보기

 최근 평생 일할 수 있는 직무안정이나 고전적인 직무설계는 급속한 경제변화와 인구통계학적 변화로 인해 점점 더 일반화되지 않는 추세에 있다.

이 같이 변화하는 직무환경은 개인에게 직업 자체에 대한 자기만의 의미부여 뿐만 아니라 일하는 방식에 대한 고려도 요구된다. 이러한 직무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자신의 발전 기회를 적극적으로 찾는 조직구성원에게 나타나는 직무 변화 행동으로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 있다. 잡 크래프팅은 외국인근로자들이 그들의 직장에서 안정적인 삶도 누리게 함과 동시에 업무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그들이 속한 조직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일종의 직무역량이다. 그러므로 근무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가운데 단순 업무를 주로 취급하는 중소 영세기업에서 이러한 직무역량을 가진 외국인근로자를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외국인근로자의 적극적 직무변화 행동인 잡 크래프팅을 가능케 하는 개인의 특성은 무엇일까?

외국인근로자들에게는 서로 다른 문화적 환경에서 이루는 직무성과와 함께 안정된 삶을 누리기 위해 새로운 문화적 상황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인 문화지능이 요구된다. 문화지능이 외국인근로자로 하여금 일상적 생활과 조직에서의 적응을 도울 뿐만 아니라 업무 성과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만큼 외국인근로자가 숙련노동자로 발전하기 위해서 이는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 점을 고려하면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적 역량을 잡 크래프팅의 선행요인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환경에서 성과를 위해 필요한 개인의 역량이 무엇인지에 관한 연구가 있었지만, 정작 다문화적 특성으로 대표되는 글로벌 환경에서 꼭 필요한 요인인 문화지능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 대한 직접적 연구는 없었다.

또한 외국인근로자가 잡 크래프팅 행동에 관여하기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환경 즉, 직무요구 완성을 위해 필요한 물리적 사회적 자원이 존재하여야 하고 또 그들을 동원할 수 있는 상황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문화지능이 과연 어떤 과정을 통해 업무관련 영역을 변화하는 숙련된 행동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는 이제까지 거의 없었으며, 특히 외국인근로자의 업무능력 향상과 관련 되는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는 간과되어왔다.

문화지능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직무관련 능력 요인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객관적인 직무능력보다 스스로 지각하는 개인의 자격이 직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므로 개인이 직무관련 자격이 다른 동료들에 비해 과잉자격이라고 느끼는 것이 그들의 직무행동과 그 성과를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또한 문화지능, 직무배태성, 그리고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그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외국인근로자들의 직무태도를 예측해 볼 수 있는 요인인 향상 초점과 유지초점을 상정할 수 있다. 향상초점과 유지초점은 잡 크래프팅의 직무요구-자원('JD-R')모델에서 직무요구와 자원 불균형의 상태에서 향상초점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하기 그리고 직무요구 도전하기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유지초점은 직무요구 방해요인 감소하기와의 관계를 강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러나 직무, 조직 적합성을 이룬 상황에서 잡 크래프팅의 각각의 형태에 향상초점과 유지초점이 그 효과를 조절한다는 연구는 없다. 특히 블루칼라 업종에서 구성원들의 직무배태성의 상황과 잡 크래프팅과의 관계에서 각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연구한 결과는 없다.

이에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과제는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지능이 그들의 자발적 직무변화 행동인 잡 크래프팅과 실제로 관련이 있는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외국인근로자의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지능과 직무배태성, 또 직무배태성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탐구하고 문화지능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직무배태성이 매개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지능, 직무배태성, 그리고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그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외국인근로자의 직무태도를 예측해 볼 수 있는 지각된 과잉자격, 향상초점과 유지초점을 상정하고 그 조절효과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을 통해 각 요인들의 개념 정리를 하였고 그 선행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고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각 변수의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측정 데이터는 국내 제조업에 종사하는 외국인근로자로부터 수집되었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SPSS-AMOS 23.0 통합 통계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고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의 통계분석을 통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문화지능이 잡 크래프팅의 세 가지 형태-사회적 자원 증가하기, 직무요구 도전하기, 직무요구 방해요인 감소하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지능이 높으면 그들의 잡 크래프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문화지능이 특별히 다양한 문화적 환경으로 특징지어진 작업환경에서 잡 크래프팅 실행을 담보할 수 있는 실증적 선행요인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둘째로, 문화지능은 직무배태성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문화지능이 외국인근로자들이 조직 내· 외의 커뮤니티에 잘 적응하여 조직과 직무 적합성을 높이고 또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킹을 맺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얻게 된 심리적 안정감으로 그들이 조직을 떠나지 않고 오히려 뿌리를 내리게 하는 요인이라는 의미다.

셋째로, 직무배태성을 이룬 외국인근로자는 잡 크래프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배태성을 이룬 외국인근로자는 다양한 사회적, 물리적 자원의 축적하여 사회적 자원 증가하기에 관여하고, 또 새로운 업무에도 도전적으로 응하며 직무 안전성을 이룸으로써 그 안전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하는 등의 행동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문화지능은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배태성은 또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므로 직무배태성이 문화지능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외국인근로자의 지각된 과잉자격은 문화지능이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칠 때 그 효과가 있었으나 예측과 달리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지능이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과잉자격을 지각할수록 그 효과는 오히려 약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각된 과잉자격의 조절효과는 문화지능과 직무배태성 간의 관계에서도 그 효과를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외국인근로자가 자신의 과잉자격을 느낄수록 문화지능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효과를 완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외국인근로자의 향상초점은 직무배태성과 사회적 자원증가하기 간의 관계에서 그 효과를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근로자가 발전과 성장 지향적일수록 그들의 직무배태성이 사회적 자원증가하기의 활동을 약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외국인근로자

의 향상초점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태성이 직무요구 도전하기에 미치는 효과는 없었다. 이는 외국인근로자의 향상초점이 그들의 직무배태성과 직무요구 도전하기와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외국인근로자의 유지초점이 높을 때, 그들의 직무배태성과 직무요구 방해요인 감소하기와의 관계에서 그 효과를 완화했다. 이는 외국인근로자의 유지초점 수준이 높을수록 그들의 직무배태성이 직무요구 방해요인 감소하기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학술적인 시사점과 더불어 실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또 향후 연구과제에 관해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