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17

3. 연구 내용과 범위 18

4. 연구의 제한점 21

II. 이론적 배경 22

1. 학교생활기록부의 개념 22

2.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능과 활용 24

가. 교수·학습 및 생활 지도로서의 활용 24

나. 학생·학부모를 위한 정보 제공 25

다. 진로 및 진학을 위한 증빙자료 27

3. 학교생활기록부의 작성 기준 28

4. 학교생활기록부의 교육적 의미 29

5. 교사의 직무와 학교생활기록부 33

6. 학교생활기록부 정책의 변천 과정 및 함의 39

가. 학교생활기록부 정책의 변천 과정 39

나. 학교생활기록부 정책 변천의 함의 55

7. 학교생활기록부의 선행 연구 분석 60

가. 학교생활기록부의 선행 연구 60

나. 주요 선행 연구의 시사점 70

III. 연구 방법 72

1. 문헌 분석 72

2.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 73

가. 심층면담 대상 선정 75

나. 심층면담 과정 76

다. 심층면담 분석 78

IV. 연구 분석 및 논의 82

1. 인적사항 및 학적사항 항목 82

가. 현황 82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84

다. 개선과제 85

2. 출결상황 항목 88

가. 현황 88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89

다. 개선과제 92

3. 수상경력 항목 95

가. 현황 95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96

다. 개선과제 99

4.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항목 103

가. 현황 103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104

다. 개선과제 106

5. 진로희망사항 항목 108

가. 현황 108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109

다. 개선과제 112

6. 독서활동상황 항목 114

가. 현황 114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115

다. 개선과제 117

7. 교과학습 발달상황 항목 120

가. 현황 120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126

다. 개선과제 137

8.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항목 143

가. 현황 143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147

다. 개선과제 157

9.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항목 165

가. 현황 165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166

다. 개선과제 170

10. 학교생활기록부의 관리 175

가. 현황 175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178

다. 개선과제 182

11.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능과 활용 189

가. 현황 189

나. 운영 실제 및 문제점 189

다. 개선과제 191

V. 결론 및 제언 194

1. 요약 194

2. 결론 199

3. 제언 202

가. 학교생활기록부 정책 개선을 위한 제언 202

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03

참고문헌 205

부록 217

〈부록1〉 심층면담 질문지 217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 224

ABSTRACT 225

표목차

〈표 II-1〉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항목 및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항목 32

〈표 II-2〉 학교생활기록부 정책의 변천 과정 39

〈표 II-3〉 학교생활기록부 정책 변천 과정의 시기별 주요 특징 42

〈표 II-4〉 학교폭력 관련 조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사항 53

〈표 II-5〉 학교폭력 조치사항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영역·삭제 시기 59

〈표 II-6〉 주요 선행 연구의 연구 결과 67

〈표 III-1〉 심층면담 대상자 현황 76

〈표 III-2〉 학교생활기록부 면담지 주요 내용 77

〈표 III-3〉 심층면담 결과 분석 80

〈표 IV-1〉 2017, 2018학년도 입학생 인적사항 항목 83

〈표 IV-2〉 2017, 2018학년도 입학생 학적사항 항목 83

〈표 IV-3〉 2019학년도 입학생 인적·학적사항 항목 83

〈표 IV-4〉 출결상황 항목 89

〈표 IV-5〉 2017, 2018학년도 입학생 수상경력 항목 95

〈표 IV-6〉 2019학년도 입학생 수상경력 항목 96

〈표 IV-7〉 사교육 유발 가능 학교생활기록부 항목 101

〈표 IV-8〉 기재 불필요 학교생활기록부 항목 102

〈표 IV-9〉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항목 103

〈표 IV-10〉 국가직무능력표준 이수상황 104

〈표 IV-11〉 2017, 2018학년도 입학생 진로희망사항 항목 108

〈표 IV-12〉 독서활동상황 항목 114

〈표 IV-13〉 국어교과 독서활동상황 예시 115

〈표 IV-14〉 교과학습 발달상황 일반과목 항목 120

〈표 IV-15〉 교과학습 발달상황 진로선택과목 121

〈표 IV-16〉 교과학습 발달상황 체육·예술 과목 121

〈표 IV-17〉 교과학습 발달상황 5단계 성취도 122

〈표 IV-18〉 교과학습 발달상황 3단계 성취도 123

〈표 IV-19〉 교과학습 발달상황 석차등급 123

〈표 IV-20〉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항목 143

〈표 IV-21〉 동아리활동 입력 예시 145

〈표 IV-22〉 자율활동 영역의 활동별 목표와 내용 148

〈표 IV-23〉 동아리활동 영역의 활동별 목표와 내용 150

〈표 IV-24〉 봉사활동 영역의 활동별 목표와 내용 152

〈표 IV-25〉 진로활동 영역의 활동별 목표와 내용 154

〈표 IV-26〉 2019학년도 학교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할 필수 교육 및 시수 159

〈표 IV-27〉 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164

〈표 IV-28〉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항목 165

〈표 IV-29〉 학생 및 학부모의 열람 금지 또는 제한 필요성 173

〈표 IV-30〉 학교생활기록부 정정대장 176

〈표 IV-31〉 가해학생 조치사항 제1·2·3호에 대한 학생부 기재 완화 184

〈표 IV-32〉 가해학생 조치사항에 대한 학생부 미기재 찬성 이유 184

〈표 IV-33〉 가해학생 조치사항에 대한 학생부 미기재 반대 이유 184

그림목차

[그림 I-1] 연구 과정 흐름 20

[그림 II-1] 2014 학교생활기록부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기재 예시 58

[그림 III-1] 심층면담 과정 78

[그림 III-2] 연구 체계 81

[그림 IV-1] 학교생활기록부 진로희망사항 기재 예시 109

[그림 IV-2]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상황 기재 예시 115

[그림 IV-3]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2017학년도 신입생 성적 처리 124

[그림 IV-4]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018학년도 신입생 성적 처리 124

[그림 IV-5]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019학년도 신입생 성적 처리 125

[그림 IV-6] 2019학년도 고등학교 학기말 성적통지표 129

[그림 IV-7] 2017 학교생활기록부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131

[그림 IV-8] 2019 학교생활기록부 봉사활동 실적 기재 예시 153

[그림 IV-9] 2017 학교생활기록부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기재 예시 167

[그림 IV-10] 2019 학교생활기록부 정정대장 기재 예시 177

초록보기

 현행 학교생활기록부의 기재 항목과 기재 요소, 내용이 과도하고 복잡하다. 복잡한 학교생활기록부는 사교육이 개입될 여지가 크다. 학생의 배움과 성장에 대한 기록으로서의 학교생활기록부 본래의 교육적 의미를 되찾고 1996년 현행 학교생활기록부 도입 이후 20년이 훌쩍 넘은 학교생활기록부의 전반을 되돌아보고 불필요한 기재 항목과 내용은 없는지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고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운영 실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항목의 바람직한 개선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항목의 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생활기록부의 바람직한 기재 항목과 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학교생활기록부의 바람직한 기능과 활용은 무엇인가?

연구에 앞서 우선 학교생활기록부의 개념과 도입 배경, 기능과 활용, 작성 기준, 교육적 의미, 교사의 직무와 학교생활기록부를 고찰하였다. 학교생활기록부 정책 변천 과정, 학교생활기록부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분석과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운영 실제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기도 일반 고등학교로 한정하여 교사 13명과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한 다른 시각을 담으려고 대학 입학사정관 1명과 2~3회 심층면담을 하고 관찰하였다. 학교생활기록부의 기재 항목, 학교생활기록부 관리, 학교생활기록부 기능과 활용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각 개선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학교생활기록부의 바람직한 항목과 내용, 기능과 활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기록부에서 인적·학적사항, 출결상황, 교과학습 발달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이외의 항목은 반드시 필요한 항목은 아니므로 과감한 삭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만,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동아리활동은 학생이 관심과 진로에 따라 활동한 개별 특성이 두드러지는 항목이므로 존치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생활기록부는 정규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생활만을 기록해야 한다. 따라서 독서활동상황,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봉사활동 항목은 학교 밖 활동이고, 과도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한 것이므로 삭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봉사활동은 자원봉사포털, 독서활동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하다. 셋째, 선택과 집중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항목의 개선이 필요하다. 봉사활동과 학교 단체 활동 위주로 운영되는 자율·진로활동은 삭제하고, 동아리활동 영역은 활성화하되,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자율동아리, 청소년단체, 방과후스포츠클럽활동 기재는 삭제해야 한다. 넷째, 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 향상을 위해 학생의 성장 과정을 사실 위주로 기재할 수 있도록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항목을 최소한 졸업 전까지 학생 및 학부모 열람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다. 인적·학적사항의 주소 삭제, 출결상황 항목의 인정결석횟수 기재, 지각·조퇴·결과의 기준 통일, 질병·기타의 통합·삭제하고 미인정만 기재, 고교학점제 시행과 더불어 교과별 출결상황으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수상경력을 유지한다면 상급학교 제공 수상경력 개수 제한 정책은 폐기하고, 시상 계획이 있는 각종 교내 대회와 행사의 준비과정 및 참가 사실을 기재해야 한다. 더 나아가 수상경력은 교사도 학생도 대회를 통한 수상보다 수업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점차 삭제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이 중심이 되고 가능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는 교수·학습 및 생활 지도로서의 활용을 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정책 개선에 시사점을 주고 학생과 교사가 진정한 학교생활에 집중하는데 기여하고자 학교생활기록부 정책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에게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진정한 평가권을 보장하고,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내용의 세밀한 지침과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또한, 누가기록은 학교생활기록부에서 가장 불필요한 항목으로 내용도 방법도 교사가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교생활기록부는 준영구 보존되는 법정 문서이므로 사회적 이슈와 여론을 반영하는 등으로 학교생활기록부가 개정되는 사항에 대해 엄중하게 재고해 보아야 한다. 따라서 학교폭력 조치사항 학교생활기록부 기재는 조속히 폐기해야 한다. 셋째, 교사가 수업과 평가, 기록에 집중할 수 있도록 원클릭시스템과 연계하고 확장한 시스템을 운영하여 행정과 교무 업무를 분리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