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10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문제 19

3. 용어의 정의 20

II. 이론적 배경 21

1. 우리나라 방과후학교의 의의 및 정책 21

가. 방과후학교의 개념 및 목표 21

나. 우리나라 방과후학교의 정책변천 과정 24

2.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29

가.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개념 및 목적 29

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현황 32

3.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42

가. 지역사회 연계 및 기반의 의미 42

나.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방과후학교의 가능성과 중요성 43

다.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방과후학교 자원의 종류와 내용 46

라.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의의 50

4. 선행연구 고찰 53

가. 일반 학교 방과후학교 선행연구 고찰 53

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선행연구 고찰 67

다. 외국의 방과후 교육 활동 고찰 70

III. 연구방법 85

1. 지역사회 방과후 교육기관 사례조사 87

가. 조사 대상 87

나. 조사 방법 88

다. 조사 도구 89

라. 자료 분석방법 89

2. 교사 설문조사 90

가. 설문 대상 90

나. 설문 절차 91

다. 설문 도구 91

라. 자료 분석방법 94

3. 학부모 심층면담 95

가. 면담 대상 95

나. 면담 절차 96

다. 면담 도구 97

라. 자료 분석방법 98

IV. 분석 및 논의 101

1. 지역사회 방과후 교육기관의 운영 실태 및 요구분석 101

가. 학교중심 방과후학교 사례분석(○○○○학교) 101

나. 시·도교육청 중심 방과후 교육 사례분석(○○○발달장애인 꿈의학교) 106

다-1. 지자체 중심 방과후 교육 사례분석(○○○○○체육센터) 108

다-2. 지자체 중심 방과후 교육 사례분석(○○○○장애인복지관) 110

라. 협동조합 중심 방과후 교육 사례분석(○○ 방과후협동조합) 115

2.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 및 요구분석 120

가. 인구·사회학적 특성 120

나.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 실태 122

다.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 126

3.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의 활성화에 대한 학부모 요구분석 138

가. 방과후 교육의 참여경험 140

나.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의 활성화에 대한 요구사항 153

4. 종합논의 162

V.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방안 167

1.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운영형태 제안 167

2.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방안 177

VI. 결론 및 제언 191

1. 요약 191

2. 결론 196

3. 제언 198

참고문헌 199

부록 210

[부록 1] 사례조사 면담지 211

[부록 2] 설문조사 설문지 213

[부록 3] 심층면담 질문지 222

ABSTRACT 224

표목차

〈표 II-1〉 특수교육 장애 유형별 방과후 활동 및 돌봄 활동 참여 학생현황 34

〈표 II-2〉 연도별 전국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현황 35

〈표 II-3〉 특수학교 방과후 영역별 프로그램 참여 현황 36

〈표 II-4〉 경기도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운영형태 37

〈표 II-5〉 2019년 경기도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현황 40

〈표 II-6〉 경기도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운영계획서 분석결과 40

〈표 II-7〉 지역사회 인적자원의 종류 및 구체적인 활동 내용 46

〈표 II-8〉 지역사회 물적 자원의 종류 및 내용 47

〈표 II-9〉 지역사회 프로그램 자원의 종류 및 내용 48

〈표 II-10〉 2016년 시·도별 방과후학교 교부액, 편성액, 예산 편성율 49

〈표 II-11〉 도봉구 마을방과후활동 운영형태 59

〈표 II-12〉 2018년 팔봉중학교 주제 중심의 방과후 행복학교 강좌 운영현황 61

〈표 II-13〉 2018년 팔봉중학교 주제 중심의 방과후 행복학교 프로그램 운영현황 61

〈표 II-14〉 의정부 꿈이룸학교 프로젝트 세부내용 65

〈표 III-1〉 사례조사 대상 및 일정 88

〈표 III-2〉 사례조사 질문지 문항의 구성 89

〈표 III-3〉 설문조사 일정 91

〈표 III-4〉 설문 문항의 구성 92

〈표 III-5〉 심층면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6

〈표 III-6〉 심층면담의 문항 내용 97

〈표 IV-1〉 ○○○○학교 볼링부 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계획 103

〈표 IV-2〉 ○○○○학교 승마부 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계획 103

〈표 IV-3〉 ○○영아카데미 프로그램 운영내용 112

〈표 IV-4〉 지역사회 방과후 교육기관의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 및 시사점 118

〈표 IV-5〉 설문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21

〈표 IV-6〉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 여부 123

〈표 IV-7〉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활성화 정도 123

〈표 IV-8〉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비활성화 이유 124

〈표 IV-9〉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 126

〈표 IV-10〉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 운영의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 인식 127

〈표 IV-11〉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 운영의 활성화가 필요한 이유 128

〈표 IV-12〉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의 활성화가 필요하지 않는 이유 129

〈표 IV-13〉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의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 130

〈표 IV-14〉 협력 가능한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선호도 131

〈표 IV-15〉 학교지역규모에 따른 방과후학교 운영형태 희망도 132

〈표 IV-16〉 소속과정에 따른 방과후학교 운영형태 희망도 132

〈표 IV-17〉 가장 희망하는 방과후학교 운영형태 133

〈표 IV-18〉 가장 희망하는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 운영형태와 이유 133

〈표 IV-19〉 학교가 중심이 된 방과후학교 운영 시 요구사항 135

〈표 IV-20〉 지역사회가 중심이 된 방과후학교 운영 시 요구사항 136

〈표 IV-21〉 방과후 교육의 참여경험 분석 138

〈표 IV-22〉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의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요구분석 139

그림목차

[그림 II-1] 방과후학교 운영 비전 및 목표 22

[그림 III-1] 연구체계도 86

[그림 IV-1] ○○아동청소년 발달센터 시설현황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