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서론 8

본론 10

I. 전제와 전제유발자 10

1.1. 전제의 정의 10

1.2. 전제의 속성 11

1.2.1. 부정 하에서의 일관성 12

1.2.2. 취소 가능성 13

1.3. 전제 연구의 흐름 15

1.3.1. 의미론적 관점의 연구 16

1.3.2. 화용론적 관점의 연구 19

1.3.3. 전제 유발 요인 개념 도입의 필요성 23

1.4. 전제유발자 24

1.4.1. 정의와 선행연구 24

1.4.2. 전제 유발 요소의 다양성 28

II. 전제유발자의 유형과 강도 30

2.1. 전제 유발자의 유형 30

2.1.1. 의미 속성 전제유발자 30

2.1.2. 통사 구문 전제유발자 38

2.2. 전제유발자의 강도 44

2.2.1. 전제유발자의 강도 44

2.2.2. 강한 전제유발자 47

2.2.3. 약한 전제유발자 58

2.3. 교차적 분석 : 전제유발자의 유형과 강도 63

III. 전제유발자 강도에 따른 담화 효과 67

3.1. 광고 텍스트에서의 전제유발자와 담화 효과 67

3.1.1. 강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68

3.1.2. 약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75

3.1.3. 다양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79

3.2. 강한 전제유발자와 약한 전제유발자의 담화효과 84

IV. 결론 86

참고문헌 88

Résumé 92

표목차

〈표 1〉 전제 유발자와 전제의 유형 26

〈표 2〉 의미 속성 전제유발자 유형 38

〈표 3〉 통사 구문 전제유발자 유형 43

〈표 4〉 전제유발자 유형과 강도 64

〈표 5〉 전제유발자 유형과 강도의 교차 분석 65

〈표 6〉 [사진 1] 광고 문구 정리 68

〈표 7〉 [사진 2] 광고 문구 정리 70

〈표 8〉 [사진 3] 광고 문구 정리 73

〈표 9〉 [사진 4] 광고 문구 정리 76

〈표 10〉 [사진 5] [사진 6] 광고 문구 정리 78

〈표 11〉 [사진 7] 광고 문구 정리 79

〈표 12〉 [사진 8] 광고 문구 정리 82

〈표 13〉 전제유발자 담화효과 분석 84

사진목차

[사진 1] 강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1 68

[사진 2] 강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2 70

[사진 3] 강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3 73

[사진 4] 약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1 75

[사진 5] 약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2 77

[사진 6] 약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3 77

[사진 7] 다양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1 79

[사진 8] 다양한 전제유발자가 사용된 광고 2 81

초록보기

 이 논문은 전제유발자(déclencheur de la présupposition)유형 분류를 바탕으로 전제유발자의 강도에 따라 강한 전제유발자(déclencheur fort de la présupposition)와 약한 전제유발자(déclencheur faible de la présupposition)로 분류하고 각각의 차별화된 담화 효과를 광고 문구 분석을 통해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제와 전제유발자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전제유발자의 강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리고 전제유발자의 유발 요소에 따라 의미 속성 전제유발자와 통사 구문 전제유발자로 분류하고, 이 분류를 바탕으로 전제유발자의 강도에 따른 분류를 시행한다. '전제 미지 문맥(Explicit Ignorant Context)'을 분류 기준으로 각각의 전제유발자를 분석한 후, 강한 전제유발자와 약한 전제유발자로 분류한다. 그리고 통사 기제에 의해 유발된 전제는 주로 강한 전제유발자로부터 유발됨을 보이고 전제유발자의 유형과 강도의 상관관계를 밝힌다.

마지막으로 광고 문구에 사용된 전제유발자를 분석함으로써 전제유발자의 강도 차이로부터의 차별화된 담화 효과 가정한 후, 이들이 어떻게 상호 보완적으로 하나의 광고 메시지를 구성하는지 살펴본다. 강한 전제유발자는 확정적 전제를 유발하여 광고주의 책임 하에 객관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주는 반면, 약한 전제유발자는 선택적 전제를 유발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존중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담화 효과를 나타냄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