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8
제1장 서론 10
제2장 반인의 개념과 분석 모델 17
1. 반인의 기준 17
2. 반인의 유형분류 19
(1) 유형의 분류 19
(2) 동물성 추구 21
(3) 신성 추구 21
(4) 인간성 추구 22
3. 행동자 모델의 적용 23
제3장 행동자 모델을 통한 반인설화의 분석 26
1. 동물성 추구 26
(1) 유극신 설화 26
(2) 김현설화 28
(3) 인어 설화 31
2. 신성 추구 33
(1) 비형랑 설화 33
(2) 거타지 설화 36
3. 인간성 추구 39
(1) 단군왕검 설화 39
(2) 동명제 설화 41
(3) 알영 설화 43
(4) 무왕 설화 45
(5) 견훤 설화 48
(6) 이여송 설화 50
(7) 녹족부인 설화 53
4. 분석 결과의 가치 해명 56
(1) 공포심 극복 56
(2) 영웅적 행동 57
(3) 명예 추구 59
제4장 반인설화의 활용 가치와 방향 60
1. 반인설화의 존재 의의 60
2. 현대 콘텐츠에서 활용 사례 60
(1) 〈푸른 바다의 전설〉 : 영웅적 행동의 가치 60
(2)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 명예 추구의 가치 68
(3) 〈늑대소년〉 : 공포심 극복의 가치 73
3. 가치 구현의 공통적 목표 79
제5장 결론 82
참고문헌 85
ABSTRACT 88
[그림 1] 〈푸른 바다의 전설〉에서 심청이 《인어공주》를 읽는 장면 64
[그림 2] 〈푸른 바다의 전설〉에서 인어와 김담령의 만남 65
[그림 3] 〈푸른 바다의 전설〉에서 심청이 허준재를 지키는 장면 65
[그림 4] 〈푸른 바다의 전설〉에서 가방을 되찾아준 심청 66
[그림 5] 〈푸른 바다의 전설〉에서 위장한 연쇄살인범 마대영 67
[그림 6]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에서 《인어공주》를 읽는 구미호 70
[그림 7]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에서 비형랑에게 죽는 길달 71
[그림 8]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에서 대웅에게 고백하는 미호 71
[그림 9]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에서 의미심장한 박동주 72
[그림 10]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에서 늑대인간 75
[그림 11] 〈늑대소년〉에서 《눈사람》을 읽는 늑대소년 75
[그림 12] 〈늑대소년〉에서 늑대소년 뒤로 보이는 옹기 76
[그림 13] 〈늑대소년〉에서 늑대소년을 교육하는 순이 76
[그림 14] 〈늑대소년〉에서 순이와 동생을 구하는 늑대소년 77
[그림 15] 〈늑대소년〉에서 늑대로 변한 늑대소년 78
[그림 16] 〈인어공주〉에서 포크로 머리를 빗는 에리얼 81
'반인'은 콘텐츠 창작에 있어 많이 활용되는 캐릭터 중 하나이다. 인어, 늑대인간, 켄타우로스 등 수많은 콘텐츠에서 이와 같은 캐릭터들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설화에서는 이와 같은 반인 캐릭터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활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한국설화에서 반인캐릭터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가치와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반인은 고대부터 등장하는 아주 익숙한 캐릭터이다. 반인은 사람이 해결할 수 없거나 이해하지 못했던 힘을 이겨내기 위해 탄생한다. 사람은 자신의 무력함 또는 결핍을 느끼고 점차 자신보다 힘을 가진 존재에 대해 인식한다. 그 과정에서 동물 또는 신과의 결합이 이루어져 반인이 나타난다. 그러나 그것은 불완전한 존재이다. 반인은 인간의 결핍된 자아, 욕망을 상징하는 캐릭터이다.
반인은 콘텐츠 창작을 할 때 활용되기 용이하다.
먼저, 반인 캐릭터가 등장하는 한국 설화를 선정했다. 총 12개의 반인설화를 찾을 수 있었다. 유극신 설화, 김현 설화, 인어 설화, 비형랑 설화, 거타지 설화, 단군왕검 설화, 동명제 설화, 알영 설화, 무왕 설화, 견훤 설화, 이여송 설화, 녹족부인 설화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한국 설화에서 반인들이 추구하는 성질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인이 추구하는 성질에는 인간성, 신성, 동물성이 있다. 반인은 불완전한 존재로 완전함에 가까워지기 위해 각자 추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들을 성질에 따라 분류한 뒤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을 통해 분석했다.
그레마스 분석을 통해 나타난 가치는 공포심 극복, 영웅적 행동, 명예 추구가 있다. 이런 가치들은 우리가 반인설화를 통해 해소하고자 했던 욕망을 잘 보여준다. 반인설화 속 가치들이 현대에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보기 위해 한국의 반인 콘텐츠를 분석해보았다.
〈푸른 바다의 전설〉,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늑대소년〉은 반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콘텐츠이다. 〈푸른 바다의 전설〉은 한국의 인어 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드라마이다.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는 여우구슬, 비형랑 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드라마이다. 〈늑대소년〉은 한국 영화로 크게 흥행 했지만 외국의 늑대인간을 모티브로 했다.
〈푸른 바다의 전설〉,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늑대소년〉의 경우 그레마스 분석을 통해 추출한 가치들이 콘텐츠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향유자에게 콘텐츠를 소비하는 데 재미를 느끼게 해준다. 이처럼 '반인'은 앞으로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 있어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욕망을 충족하고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현대 콘텐츠에서 반인은 인간성을 추구한다. 불완전한 존재가 온전한 인간이 되기 위한 과정을 통해 진정한 인간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 콘텐츠 전반에서 나타난다. 인간성 회복이라는 인류 궁극적 가치에 맞닿아 있는 '반인' 캐릭터는 창작소재로서 높은 잠재 가치를 지니고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