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목적 12

제2절 연구방법과 논문의 구성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7

제1절 성격과 행동 17

1. 성격의 개념과 영향요소 17

2. 성격이론과 성격유형 18

3. Big 5 성격유형과 조직행동 21

4. Big 5 성격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22

제2절 고객-종업원 교환관계 24

1. 개인과 조직의 교환관계 24

2. 고객-종업원 교환관계 26

3.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28

제3절 CSR 인식 35

1.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과 정의 35

2. 사회적 책임에 관한 실증연구 38

제4절 조직성과 46

1. 조직의 성과변수 46

2. 선행연구의 성과변수 검토 46

3.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48

4. 역할행동 53

제3장 연구의 설계 55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55

1. 연구모형 55

2. 가설설정 55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58

1. Big 5 성격유형 59

2. 고객-종업원 교환관계 59

3. CSR 인식 60

4. 조직성과 변수 60

제4장 실증분석 62

제1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62

1.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62

2. 표본의 특성 62

제2절 분석결과 65

1.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65

2. 상관관계분석 69

3. 확인적 요인분석 72

4.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75

제5장 결론 80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80

제2절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82

참고문헌 83

Abstract 93

설문지 96

표목차

〈표 2-1〉 성격유형 19

〈표 2-2〉 MBTI와 Big 5 모델 20

〈표 2-3〉 Big 5 성격특성이 조직행동 준거에 미치는 영향 분석모델 22

〈표 2-4〉 Big 5 성격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23

〈표 2-5〉 서비스종업원의 인적교환관계 27

〈표 2-6〉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33

〈표 2-7〉 사회적 책임의 여러정의 37

〈표 2-8〉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관한 연구(1) 38

〈표 2-9〉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관한 연구(2) 45

〈표 2-10〉 협동조합연구의 성과변수 47

〈표 3-1〉 설문지 구성과 측정척도 58

〈표 4-1〉 표본의 특성 64

〈표 4-2〉 외생변수(Big5 성격유형)의 요인분석 결과 66

〈표 4-3〉 내생변수의 요인분석 결과 67

〈표 4-4〉 신뢰도 분석 결과 69

〈표 4-5〉 상관관계분석 결과 70

〈표 4-6〉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 71

〈표 4-7〉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73

〈표 4-8〉 가설검증 결과 79

그림목차

〈그림 3-1〉 연구모형 55

〈그림 4-1〉 연구모형검증 결과 75

초록보기

 본 연구는 농업협동조합 조직구성원들이 지닌 Big 5 성격유형이 고객-종업원 교환관계, CSR(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인식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실증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Big 5 성격유형 중 성실성과 개방성은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는 성실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조직구성원들은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도 더욱 좋다는 의미이다. 둘째, Big 5 성격유형 중 신경증 성향은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신경증 성향이 높을수록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는 나빠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Big 5 성격특성의 모든 하위구성요인들은 CSR 인식에는 통계적인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CSR 인식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이 지닌 성격특성이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는 CSR 인식과 관련한 연구들이 성격이나 가치관 같은 개인정체성 보다는 조직동일시나 공정성 같은 사회정체성과 연관하여 연구되고 있다는(최병권, 문형구, 주영란, 2017) 현실과도 무관하지 않다. 다만 성격특성과 CSR 인식 간의 영향관계를 고찰한 선행연구(Mudrack, 2007)가 부족한 현실을 고려해 본다면 차후 재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는 CSR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고객-종업원 교환관계가 좋은 조직구성원들일수록 CSR 인식 수준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는 조직성과 변수인 직무만족, 역할행동, 조직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CSR 인식도 조직성과 변수인 직무만족, 역할행동,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조직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조직구성원들일수록 직무만족, 역할행동, 조직몰입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결과를 토대로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첫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성으로는 성실성이 재차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서비스 산업의 성장으로 고객과의 접촉이 일상화된 직무에서는 성실성을 지닌 종업원을 배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는 조직성과 변수인 직무만족, 역할행동, 조직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라는 사실이 검증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CSR 인식도 조직성과 변수인 직무만족, 역할행동, 조직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점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시사점에 근거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협의 신용사업이나 경제사업 부문에서 고객과의 접촉이 빈번한 업무를 수행하는 종업원의 선발, 배치에는 성격특성 중 성실성과 정서적 안정성이 높은 조직구성원을 활용하여야 효과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의 중요성을 경영자가 절실히 인식하여 조직구성원의 교육, 평가 등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는 조직성과 변수인 직무만족, 역할행동,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