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6

I. 서론 7

1.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 7

2. 선행 연구 검토 8

3. 연구 대상, 방법 및 구성 13

II. 동대문 러시아 거리 구성의 역사적·사회적 배경 23

1. 보따리 상인들의 등장 23

2. 동대문 광희동 러시아어권 노동자의 '작은 고향' 36

III. 동대문 러시아 거리의 형성과 변화 44

1. 1992~1998년: 러시아 보따리장수들의 쇼핑메카인 서울 중구 을지로6가 45

2. 1998~2003년: 도매 시장에서 서비스 거리로 51

3. 2003년~현재: 현재 러시아 거리의 형성 59

4. 소결 64

IV. 동대문 러시아 거리의 공간적 특성 65

1. 동대문 러시아 거리의 위치 및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 65

2. 주요 업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 68

1) 도매업 69

2) 화물운송업 75

3) 러시아어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80

3. 러시아어권 이주민의 영향 95

4. 소결 96

V. 종족 엔클레이브로서 동대문 러시아 거리 98

1. 종족 엔클레이브 (ethnic enclave)의 정의 98

2. 경제적 활동의 중심지 동대문 러시아 거리 100

3. 거주지와 종족 엔클레이브의 차이: 안산 "땟골 마을"과 비교하여 107

4. 소결 110

VI. 맺음말 112

참고문헌 115

ABSTRACT 121

표목차

〈표 1〉 인터뷰 대상자의 현황 15

〈표 2〉 동대문 러시아 거리 내 러시아어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업체의 현황 67

〈표 3〉 동대문 러시아 거리 내 정보센터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 93

그림목차

〈그림 1〉 "이즈베스티야(Izvestiya)"라는 신문에 실린 여행사의 광고 27

〈그림 2〉 "이즈베스티야(Izvestiya)"라는 신문에 난 한국 제품 광고와 삼성에 관한 기사 29

〈그림 3〉 동대문 러시아 타운 50

〈그림 4〉 2004년 러시아 거리 61

〈그림 5〉 러시아 거리(2018.11.20.) 66

〈그림 6〉 모스크바 "유즈느예 보로타" 시장에서 "한국산 큰 사이즈 여성 의류"를 판매하는... 72

〈그림 7〉 공방에서 국내 거주 중인 러시아어권 여자들을 위해 만든 의류 73

〈그림 8〉 가게 주인 뒤에 도매 제품; 샘플 또는 소매 제품 74

〈그림 9〉 화장품 도매/소매 판매점; 장사가 잘 될수록 정리가 안 되어 있다 74

〈그림 10〉 화물운송업체; 화물 운송 준비 중 76

〈그림 11〉 우즈베키스탄 전통 빵 "삼사" 조리 과정; 탄드르(가마)에서 구운 삼사 81

〈그림 12〉 "파르투나" 광고 84

〈그림 13〉 식품을 판매하면서 빵집을 운영하는 "메도빅" 식품점 87

〈그림 14〉 길거리에서의 러시아 식품 판매 87

〈그림 15〉 모바일 판매점: "수출 위한 도매 및 소매 휴대폰 판매"; 밑에 MTC, "메가폰" 러시아 통신사 광고 88

〈그림 16〉 모바일 판매점: 앞에 중고 휴대폰, 뒤에 새로운 휴대폰, 벽에다가 선물 예시 88

〈그림 17〉 한 건물에: 항공권 판매소, "Fusion" 러시아 식당, 러시아 노래방/물 담배, 법률 정보센터 92

〈그림 18〉 "Ohana" 가족 센터 94

〈그림 19〉 한국어와 러시아어로 된 경고문 95

〈그림 20〉 러시아어로 된 간판 95

〈그림 21〉 러시아 거리에 위치를 잡은 약국 96

초록보기

 지구화 현상으로 대량 이주를 둘러싼 다양한 문제는 모든 국가들이 고민해야 하는 의제가 되고 있다. 이민자들이 주류사회로부터 차별을 받지 않고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하도록 하는 것, 이주자들을 받아들이는 지역사회가 사회문화적 충격 받지 않고 두려움 및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 이주민들과 원주민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 등 이 주요 의제이다.

이주자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징소에서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장소들은 "외국인 밀집지역"이라고 알려져 있다. 연구기관 또는 연구자들이 이주 현상을 주로 특정 외국인 밀집지역 사례로 분석하고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그러나 외국인 밀집 지역들은 해당 공간 형성의 사회문화적 배경, 구성 과정 등에 따라 지역만의 특수성을 갖고 있다. 이에 적절한 정책을 실시하려면 지역의 특징부터 알아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는 서울 및 서울 주변에서 형성된 첫 러시아어권 이주자 밀집지역 중구 광희1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지역의 형성 과정 및 변화를 살펴보았고 공간의 구성, 기능 및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러시아어권 이주자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주로 고려인들이 집중해 거주하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들이고 대부분은 고려인의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 과정, 지역사회와 갈등, 지역 내 네트워크 등 생활 문제점을 다루는 연구들이다. 이와 달리 본 논문은 러시아어권 이주자들을 고려인만으로 한정 짓지 않고 국내 종족 경제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짧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밀집지역의 성격은 지역 구성원에 달려 있다. 둘째, 동대문 러시아 거리는 경제적 종족 엔클레이브의 성격을 갖추었다. 셋째, 경제적 엔클레이브로서 동대문 러시아 거리는 국내 거주하는 러시아어권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 넷째, 경제적 역할에만 집중한 동대문 서비스거리는 구성원들의 한국 사회 통합에 방해가 된다고 볼 수 있다. 30년간 경제적 역할을 담당해온 동대문 러시아 거리는 구성원의 경제적 발전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