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자기침묵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김다은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루터대학교 루터대학원, 2020.2
청구기호
TM 158.3 -20-204
형태사항
5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204039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루터대학교 루터대학원, 상담심리학과, 2020.2. 지도교수: 김형수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6

I.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II. 이론적 배경 11

1. 대학생활 적응 11

2. 거부민감성 13

3. 자기침묵 16

4. 자기침묵과 대학생활 적응 18

5. 거부민감성, 자기 침묵,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19

III.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1

1. 연구문제 21

2. 연구모형 22

IV. 연구방법 23

1. 연구 대상 23

2. 측정 도구 25

1) 대학생활 적응(The Student Adq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25

2) 거부민감성(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26

3) 자기침묵(Silencing The Self Scale: STSS) 27

3. 연구 절차 및 분석방법 29

V. 연구결과 32

1.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및 기술통계 32

2. 대학생활 적응, 거부민감성, 자기침묵의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34

3. 거부민감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34

4. 자기침묵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36

5. 거부민감성, 자기침묵,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37

V. 결론 40

1. 논의 40

2. 연구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4

참고문헌 45

ABSTRACT 51

부록 54

〈표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4

〈표 2〉 대학생활 적응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26

〈표 3〉 거부민감성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27

〈표 4〉 자기침묵 측정도구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28

〈표 5〉 변인들의 상관 33

〈표 6〉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33

〈표 7〉 변인들 간 남녀 집단의 비교 34

〈표 8〉 거부민감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분석 35

〈표 9〉 자기 침묵을 경유하는 간접효과에 대한 Bootstrapping 35

〈표 10〉 자기침묵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36

〈표 11〉 성별에 따른 자기침묵의 회귀계수 37

〈표 12〉 성별과 자기침묵의 상호작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38

〈표 13〉 성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즉, 조건부 간접효과)의 크기 39

[그림 1] 매개모형 22

[그림 2] 조절모형 22

[그림 3] 조절된 매개모형 22

[그림 4] 조절된 매개모형의 통계모형 39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거부민감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에서 자기침묵을 낮추게 하는 개입이 성별에 따라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거부민감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해보았다. 연구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39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 관계가 유의하였다. 먼저 대학생활 적응은 거부민감성, 자기침묵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거부민감성은 자기침묵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주요 변인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활적응만 유의하였고, 남성이 여성보다 점수가 높았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침묵은 부분매개 하였다. 넷째, 자기침묵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침묵과 성별의 상호작용 항이 대학생활 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여 모두 20% 설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거부민감성이 자기침묵을 매개로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거부민감성이 자기침묵을 통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성별 수준에 따라 조건적으로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거부민감성이 자기침묵을 경유해서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여성일 때는 실재하고 남성일 때는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서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