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7

1. 서론 9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9

1.2. 연구 방법 및 대상 10

1.3. 선행 연구 검토 12

2. 한국과 중국의 인사말의 정의 및 하위분류 18

2.1. 한국과 중국의 인사말의 정의 18

2.1.1. 사전에 따른 정의 18

2.1.2. 학자에 따른 정의 20

2.2. 한국과 중국 인사말의 하위분류 24

2.2.1. 한국어 인사말의 하위분류 24

2.2.2. 중국어 인사말의 하위분류 27

3. 한국어 인사말과 중국어 인사말 비교 30

3.1. 일상 인사말 30

3.1.1. 만남인사 30

3.1.2. 이별인사 49

3.1.3. 식사 인사 61

3.1.4. 감사 인사 64

3.1.5. 사과 인사 65

3.1.6. 환영 인사 69

3.2. 위로 인사말 72

3.2.1. 문병인사 72

3.2.2. 문상 인사 75

3.3. 축하 인사말 78

3.3.1. 기념일 인사 78

3.3.2. 명절 인사 88

3.4. 전화 인사말 95

3.4.1. 개인 전화 인사 95

3.4.2. 직장 전화 인사 96

4. 한국어와 중국어 인사말의 언어적 특징 비교 99

4.1. 어휘적 특징 99

4.2. 문법적 특징 105

4.3. 의미적 특징 108

5. 결론 112

참고문헌 116

Abstract 120

표목차

〈표 1〉 한국 드라마, 예능, 인터뷰 등 제목 11

〈표 2〉 중국 드라마, 예능, 인터뷰 등 제목 11

〈표 3〉 한국어 인사말 구체적 상황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학자들 24

〈표 4〉 한국어 인사말 일상과 특수 상황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학자들 26

〈표 5〉 중국어 인사말 내용과 언어 기능 기준으로 분류하는 학자들 27

〈표 6〉 본 논문에서 인사말에 대한 하위분류 28

〈표 7〉 한국과 중국 처음 만나는 경우의 인사말 34

〈표 8〉 한국과 중국 자주 만나는 경우의 인사말 43

〈표 9〉 한국과 중국 오랜만에 만나는 경우의 인사말 48

〈표 10〉 한국과 중국 일반 이별할 때 사용하는 인사말 57

〈표 11〉 한국과 중국의 잠깐 이별인사말 59

〈표 12〉 한국과 중국의 저녁 이별 인사말 61

〈표 13〉 한국과 중국의 식사 인사말 63

〈표 14〉 한국과 중국 감사 인사말 65

〈표 15〉 한국과 중국의 감사 인사말 69

〈표 16〉 한국과 중국 환영 인사말 72

〈표 17〉 한국과 중국의 문병 인사말 75

〈표 18〉 한국과 중국의 문상 인사말 78

〈표 19〉 한국과 중국 결혼 인사말 79

〈표 20〉 한국과 중국 생일 인사말 81

〈표 21〉 한국과 중국 출산 인사말 84

〈표 22〉 한국과 중국 졸업 인사말 85

〈표 23〉 한국과 중국의 개업 및 창립 인사말 87

〈표 24〉 중국의 전통 설날 인사말 91

〈표 25〉 한국과 중국의 추석 인사말 94

〈표 26〉 한국과 중국의 단오, 대보름, 어버이날, 스승의 날과 크리스마스 인사말 94

〈표 27〉 한국과 중국의 전화 인사말 98

〈표 28〉 중국어에서 인사말로 사용할 수 있는 호칭어 유형 104

〈표 29〉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각 특유한 인사말 110

초록보기

인사말은 삶의 구석구석에 존재하며, 우리 곁에 수반된다. 인사말은 언어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언어이며,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인사말은 매일 반복되는데 번거로움이나 불필요함을 느끼는 사람은 없다. 많은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인사말의 학습은 그들의 첫 번째 수업이다. 인사말이 언어에서 지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는 인사말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수가 많지만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이론적인 연구로 실제 생활하는 광경을 근거로 삼지 않았다. 그러나 인사말은 사람들이 복잡한 삶에서 언제든지 필요할 수 있는 예의 바른 용어이다. 같은 인사말을 다른 경우에 사용하면 다른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사는 언어표현(인사말), 비언어표현(표정, 제스처, 동작 등) 및 복합표현(언어표현, 비언어표현)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는 언어 표현, 즉 인사말만을 검토 대상으로 하며, 비언어적 표현과 종합적 표현에 관한 내용을 다루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에 인기 드라마, 예능, 인터뷰 등 기타 TV프로그램, 총30편을 선택해서 그 대화에서 나오는 대표적인 인사말 예문을 정리하여 연구 대상으로서 진행되었다. 한국과 중국의 실생활의 인사말 대화를 분석하고, 한국어 『표준 언어 예절』과 비교함으로써 실생활에서의 인사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고 또 앞으로 『표준 언어 예절』의 개선과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고에서 논의했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 목적을 완성하기 위해 연구방법 및 대상을 제시하며 또 한국과 중국의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인사말의 정의 및 하위분류를 제시하였다. 한국과 중국 인사말의 사전적 정의와 학자들의 정의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황병순(1999)의 정의를 바탕으로 부족한 점을 수정하고 본 논문에서의 인사말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를 좁혀주는 말로 화자가 다른 사람에게 존중을 표시하는 말."로 정의하기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인사말의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같은 경우에서의 예문을 비교함으로써 결과를 살펴보기 때문에 인사말을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2장의 분류에 따라 한국과 중국 인사말 예문을 상황별로 나눠서 구체적으로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예문을 통해 『표준 언어 예절』에서 제시하지 않은 인사말은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에 근거를 제공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의 어휘, 문법과 의미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하여 한국과 중국 인사말의 언어 특징을 분석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5장에서는 결론 부분으로 앞에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 한계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