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연구문제 19
3. 용어의 정의 19
II. 이론적 배경 21
1. 토의의 교육적 가치와 활동방법 21
가. 토의의 개념과 특징 21
나. 토의활동의 교육적 가치 22
다. 토의활동에서의 유아의 태도와 교사의 역할 24
라. 토의의 주제선정과 토의기법 26
2. 동시개작활동 27
가. 동시의 개념과 특성 27
나. 동시의 교육적 가치 29
다. 동시의 선정기준 및 교사의 역할 31
라. 동시개작활동 32
마. 토의와 동시개작활동 관계 34
3. 유아의 사회성 발달 36
가. 사회성의 개념 및 중요성 36
나. 사회성의 하위요소 38
다.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과 사회성 41
4. 유아의 언어능력 발달 43
가. 언어능력의 개념 및 중요성 43
나. 언어능력의 하위요소 47
다.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과 언어능력 50
III. 연구방법 53
1. 연구대상 53
2. 연구설계 54
3. 연구도구 54
가. 사회성 검사 도구 54
나. 언어능력 검사 도구 55
4. 연구절차 58
가. 예비실험 59
나. 프로그램 소개 및 검사자 교육 59
다. 사전검사 60
라. 실험처치 60
마. 사후검사 71
5. 자료 처리 및 분석 72
IV. 결과 및 해석 73
1.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73
2.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82
V. 논의 및 결론 89
1. 논의 89
2. 결론 및 제언 93
참고문헌 96
ABSTRACT 102
부록 107
〈부록 1〉 유아 사회적 기술 검사도구 108
〈부록 2〉 유아 언어능력 검사도구 109
〈부록 3〉 유아 언어능력 검사 채점표 114
〈부록 4〉 동시감상 활동계획안(실험집단, 비교집단 공통) 116
〈부록 5〉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 계획안(실험집단) 126
〈부록 6〉 동시감상 후 이야기나누기 활동계획안(비교집단) 146
[그림 III-1]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 절차 65
[그림 IV-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회성 변화 비교 74
[그림 IV-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문제해결 변화 비교 76
[그림 IV-3]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표현 변화 비교 78
[그림 IV-4]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질서의식 변화 비교 80
[그림 IV-5]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신감 변화 비교 81
[그림 IV-6]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언어능력 변화 비교 83
[그림 IV-7]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어휘력 변화 비교 85
[그림 IV-8]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언어이해력 변화 비교 87
[그림 IV-9]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언어표현력 변화 비교 88
유아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지만 자기중심성으로 인하여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갈등을 겪기도 한다. 또한,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여 또래와 함께 협력하여 놀이하는 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과 생각과 느낌을 존중하며 함께 협동하는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의를 통하여 문학적 가치가 높은 동시를 함께 개작해봄으로써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기회를 갖고 다른 사람의 생각과 느낌을 존중하는 경험을 제공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사회성 및 언어능력 발달을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질서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P유치원 만 5세 유아 34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동일한 유치원 내 2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 17명은 동시감상 후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이고, 한 학급 17명은 동시감상 후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적용한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2019년 9월 9일부터 12월 13일까지 주 2회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윤치연(2008)이 개발한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영애(1981)가 개발한 언어능력 검사 도구를 최슬기(2011)가 수정 및 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이 두 도구를 모두 적용하여 실험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향상에 대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사회성 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성의 하위요소인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언어능력 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언어능력의 하위요소인 어휘력, 언어이해력, 언어표현력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이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언어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은 유아의 사회성과 언어능력 발달을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는 토의를 통한 동시개작활동을 통해 유아의 사회성 증진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