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5

2. 연구문제 22

II. 이론적 배경 23

1. 제도적 동형화와 디커플링 이론 23

가. 제도적 압력과 조직의 정당성 23

나. 제도적 동형화 29

다. 디커플링 35

2. 교원성과급제도의 디커플링 46

가. 교원성과급제의 개념 46

나. 교원성과급제도 추진 과정 51

다. 교원성과급 제도 운영 현황 56

라. 교원성과급제도의 디커플링 58

3. 학교조직 개방성 61

가. 학교조직풍토의 개념 61

나. 학교조직풍토의 개방성의 구성요인 64

4. 학교조직 효과성 71

가. 학교조직 효과성의 개념 71

나. 학교조직 효과성의 구성요소 74

5. 제도적 동형화,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 학교조직 효과성, 학교조직 개방성의 관계 82

가. 제도적 동형화와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의 관계 82

나. 제도적 동형화와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84

다.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과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87

라. 제도적 동형화와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원성과급 제도 디커플링의 매개역할 89

마. 제도적 동형화,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에서 학교조직 개방성의 조절 역할 93

III. 연구방법 97

1. 연구모형 97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의 타당성·신뢰도 분석 98

가. 종속변수 : 학교조직 효과성 99

나. 독립변수 : 제도적 동형화 104

다. 매개변수 :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 107

라. 조절변수 : 학교조직 개방성 110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15

가. 자료수집 115

나. 분석방법 116

IV. 연구결과 117

1. 조사 대상의 특성 117

2. 주요 변수의 기술 통계 119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122

4. 제도적 동형화,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 학교조직 효과성, 학교조직 개방성의 관계 124

가. 구조모형 분석결과: 변수 간 직접경로 124

나. 효과분해: 제도적 동형화와 학교조직 효과성 관계에서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의 매개효과 130

다. 학교조직 개방성 정도에 따른 다집단 분석 133

V. 결론 141

1. 연구결과 및 논의 141

2. 연구의 시사점 153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59

참고문헌 161

부록 178

ABSTRACT 186

〈표 II-1〉 제도적 동형화의 구성차원 33

〈표 II-2〉 2019년도 교사 성과상여금의 1인당 지급기준액 56

〈표 II-3〉 OCDQ-RE의 개방성 지수 산출 방법 67

〈표 II-4〉 OCDQ-RS의 개방성 지수 산출 방법 68

〈표 II-5〉 국내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구성요소 76

〈표 III-1〉 학교조직 효과성에 대한 설문 문항 100

〈표 III-2〉 학교조직 효과성의 측정 도구의 요인 분석 결과 102

〈표 III-3〉 학교조직 효과성의 측정 문항 구성 및 신뢰도 분석 103

〈표 III-4〉 제도적 동형화에 대한 설문 문항 104

〈표 III-5〉 제도적 동형화 측정 도구의 요인 분석 결과 105

〈표 III-6〉 제도적 동형화 측정 문항 구성 및 신뢰도 분석 106

〈표 III-7〉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에 대한 설문 문항 108

〈표 III-8〉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의 측정 도구의 요인 분석 결과 109

〈표 III-9〉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 측정 문항 구성 및 신뢰도 분석 110

〈표 III-10〉 학교조직 개방성에 대한 설문 문항 111

〈표 III-11〉 학교조직 개방성의 측정 도구의 요인 분석 결과 113

〈표 III-12〉 학교조직 개방성의 측정 문항 구성 및 신뢰도 분석 114

〈표 IV-1〉 분석대상의 일반적 특성 118

〈표 IV-2〉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120

〈표 IV-3〉 교원성과급제도 디커플링 평균 및 표준편차 121

〈표 IV-4〉 요인 간의 상관관계 123

〈표 IV-5〉 확인적 요인 모델(측정모델) 적합도 124

〈표 IV-6〉 구조모형 분석 결과: 변수 간 직접경로 128

〈표 IV-7〉 구조모형 분석결과: 효과분해 및 유의도 검증 130

〈표 IV-8〉 개방성 지수에 따른 모형 검증 133

〈표 IV-9〉 구조모형에 대한 학교조직 개방성 정도에 따른 다집단 분석 134

〈표 IV-10〉 학교조직 개방성 정도에 따른 디커플링의 매개효과 138

〈그림 IV-1〉 구조모형 분석결과: 변수 간 직접경로 129

〈그림 III-1〉 연구모형 97

〈그림 IV-2〉 주요변수 간 구조적 관계의 학교조직 개방성 정도의 차이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