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II. 이론적 배경 13

1. 조선시대 풍속화의 이해 13

1) 조선시대 풍속화의 성격과 전개과정 13

2) 조선시대 대표 풍속화가 17

3) 조선시대 풍속화의 교육적 가치 35

2. 펠드먼의 비평 방법을 적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교육 38

1) 미술 감상 및 비평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38

2) 펠드먼의 미술 비평 단계에 기초한 감상 및 비평 지도 방법 42

3. 2015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46

1)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미술 감상과 비평 영역 47

2)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조선시대 풍속화 작품 분포 현황 50

III. 연구방법 63

1. 미술 감상 및 비평 지도계획 63

1) 교수·학습 계획 63

2. 펠드먼 미술 비평 방법을 활용한 조선시대 풍속화 감상 및 비평 지도안 65

1) 1차시 65

2) 2차시 67

3) 3차시 71

IV. 결론 75

참고문헌 78

부록 81

〈부록1〉 1차시 프레젠테이션 81

〈부록2〉 2차시 프레젠테이션 82

〈부록3〉 3차시 프레젠테이션 83

〈부록4〉 1차시 감상 및 비평 활동지 84

〈부록5〉 2차시 감상 및 비평 활동지 85

〈부록6〉 3차시 감상 및 비평 활동지 86

〈부록7〉 2차시 학생 활동지-1 87

〈부록8〉 2차시 학생 활동지-2 88

〈부록9〉 2차시 학생 활동지-3 89

국문초록 90

ABSTRACT 92

표목차

[표 1] 조선의 국가 주도와 개인의 대표적 풍속도 14

[표 2] 정병모의 시대별 풍속화 유형의 전개 15

[표 3] 연구별 조선 후기 풍속화 분류 16

[표 4] 풍속도 제재 분류 18

[표 5] 풍속도 주제 분류 19

[표 6] 신윤복 『혜원전신첩』의 주제 분류 20

[표 7] 김홍도 『행려풍속도』의 각 작품에 대한 강세황의 제발 26

[표 8] 펠드먼 비평적 감상 단계에 따른 발문 45

[표 9] 미술 교과 다섯 가지 역량 46

[표 10] 미술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반선택 내용체계 48

[표 11] 2015개정 미술과 고등학교 일반선택 '감상' 영역의 성취기준 49

[표 12]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50

[표 13] 천재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51

[표 14] 해냄에듀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52

[표 15] 금성출판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53

[표 16] 미진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54

[표 17] YBM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56

[표 18] (주)교학도서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57

[표 19] (주)미래엔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58

[표 20] 비상교육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도판 분포 60

[표 21] 지학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풍속화 작품 분포 현황 61

[표 22]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풍속화 도판 분포 분석 결과 62

[표 23] 차시별 교수·학습 흐름 63

[표 24] 영역별 교수·학습 목표 64

[표 25] 1차시 교수·학습 지도안 65

[표 26] 교수·학습지도안 1차시 학습목표 66

[표 27] 2차시 교수·학습 지도안 67

[표 28] 교수·학습지도안 2차시 학습목표 68

[표 29] 교수·학습지도안 2차시 [활동 1] 활동 내용 69

[표 30] 교수·학습지도안 2차시 [활동 2] 활동 내용 70

[표 31] 3차시 교수·학습 지도안 71

[표 32] 교수·학습지도안 3차시 학습목표 71

[표 33] 교수·학습지도안 3차시 [활동 1] 활동 내용 72

[표 34] 교수·학습지도안 3차시 [활동 2] 활동 내용 73

그림목차

〈그림 1〉 윤두서, 「나물 캐는 두 여인」, 모시에 먹, 30.2x25.0㎝ 21

〈그림 2〉 윤두서, 「목기 깎기」, 모시에 먹, 32.4x20㎝ 22

〈그림 3〉 조영석, 「절구질」, 종이에 담채, 23.5x24.4㎝ 23

〈그림 4〉 김홍도, 「무동」, 종이에 채색, 26.8x26.7㎝, 『단원풍속도첩』 25

〈그림 5〉 김홍도, 「벼타작」, 『행려풍속도』, 1778년, 비단에 옅은 채색, 90.9x42.9㎝ 28

〈그림 6〉 김홍도, 「태수의 행차」, 『행려풍속도』, 1778년, 비단에 옅은 채색, 90.9x42.7㎝ 28

〈그림 7〉 김홍도, 「소를 탄 시골아낙」, 『행려풍속도』, 비단에 옅은 채색, 90.9x42.9㎝ 30

〈그림 8〉 김홍도, 「목화 따는 시골아낙」, 『행려풍속도』, 비단에 옅은 채색, 90.9x42.9㎝ 30

〈그림 9〉 신윤복, 「단오풍정」, 『혜원전신첩』, 종이에 채색, 28.2x35.6㎝ 33

〈그림 10〉 김득신, 「파적도」, 『긍재전신화첩』, 종이에 채색, 22.5x27.1㎝ 35

〈그림 11〉 김홍도, 「마상청앵」, 한지에 수묵담채, 117.2x52㎝ 51

〈그림 12〉 신윤복, 「쌍검대무」, 종이에 채색, 28.2x35.6㎝ 51

〈그림 13〉 김홍도, 『화성능행도병』 중 「시흥환어행렬도」, 비단에 채색, 151.5x66.4㎝ 51

〈그림 14〉 김홍도, 「월하청송」, 종이에 수묵담채, 29.2x34.7㎝ 52

〈그림 15〉 김홍도, 「씨름」, 종이에 수묵담채, 27x22.7㎝ 52

〈그림 16〉 김홍도, 「마상청앵」, 한지에 수묵담채, 117.2x52㎝ 53

〈그림 17〉 김득신, 「야묘도추」, 종이에 수묵담채, 22.5x27.2㎝ 53

〈그림 18〉 『화성능행도병』 중 「봉수당진찬도」, 비단에 채색, 156.2x65㎝ 54

〈그림 19〉 김홍도, 「활쏘기」, 종이에 담채, 28x23.7㎝ 54

〈그림 20〉 김득신, 「야묘도추」, 종이에 수묵담채, 22.5x27.2㎝ 54

〈그림 21〉 김홍도, 「기와이기」, 종이에 수묵담채, 27x22.7㎝ 54

〈그림 22〉 김홍도, 「마상청앵」, 한지에 수묵담채, 117.2x52㎝ 56

〈그림 23〉 신윤복, 「연소답청」, 종이에 채색, 28.2x35.6㎝ 56

〈그림 24〉 김홍도, 「우물가」, 종이에 수묵담채, 27x22.7㎝ 56

〈그림 25〉 김홍도, 「무동」, 종이에 담채, 27x22.7㎝ 57

〈그림 26〉 김득신, 『화성능행도』 8곡 병풍 중 7곡 「환어행렬도」, 비단에 채색, 156.5x65.3㎝ 58

〈그림 27〉 김홍도, 「주상관매도」, 종이에 수묵담채, 165x76㎝ 58

〈그림 28〉 김득신, 「야묘도추」, 종이에 수묵담채, 22.5x27.2㎝ 58

〈그림 29〉 작자 미상, 「호조낭관 계회도」, 비단에 채색, 121x59㎝ 58

〈그림 30〉 윤두서, 「채애도」, 비단에 수묵담채, 30.2x25㎝ 58

〈그림 31〉 조영석, 「새참」, 종이에 수묵담채, 20x24.5㎝ 58

〈그림 32〉 김홍도, 「우물가」, 종이에 수묵담채, 27x22.7㎝ 58

〈그림 33〉 신윤복, 「주유청강」, 종이에 수묵담채, 28.3x35.4㎝ 58

〈그림 34〉 권용정, 「보부상」, 비단에 수묵담채, 16.5x13.3㎝ 58

〈그림 35〉 김홍도, 「서당」, 종이에 담채, 26.9x22.2㎝ 60

〈그림 36〉 김홍도, 「그림 감상」, 종이에 담채, 27x22.7㎝ 60

〈그림 37〉 신윤복, 「월하정인」, 종이에 채색, 28.2x35.6㎝ 60

〈그림 38〉 김득신, 「송하기승」, 종이에 담채, 22.4x27㎝ 61

〈그림 39〉 김홍도, 「자리 짜기」, 종이에 수묵담채, 27x22.7㎝ 61

〈그림 40〉 김득신, 「환어행렬도」, 비단에 채색, 151.5x66.4㎝ 61

초록보기

 본 연구는 펠드먼(F. B. Feldman) 비평적 감상 단계를 활용한 조선시대 풍속화 감상 및 비평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대다수의 학생들은 제작 활동 중심의 미술 교육에 익숙해져 미술 작품을 대면하고 감상 및 비평하는 활동에 어려움을 느낀다. 또한 근대부터 외래문화를 일방적으로 수용하여 타 문화를 우리의 문화로 올바르게 승화하지 못해 학생들의 문화 정체성의 기준점이 흔들리고 있다.

따라서 동서양의 작품을 구분 없이 산발적으로 감상하기에 앞서 우리 고유의 작품과 문화를 이해하고 탐구할 필요가 있기에 우리 고유의 미술인 조선시대 풍속화를 주제로 정하였다. 또한 체계적인 감상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펠드먼의 비평적 감상 단계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하여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선시대 풍속화 감상 및 비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펠드먼의 비평적 감상 단계는 기술, 분석, 해석, 판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미술 감상 및 비평에 생소하거나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방법이다.

제 I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내용 및 방법을 밝힌다. 조선시대 풍속화는 삶의 장면을 담고 있으며, 시대의식을 반영한 그림으로써 가치와 의의가 있다는 것을 알린다. 또한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과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함양에 목적을 두고, 체계적 감상과 학급 내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통 미술을 향유하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한다. 궁극적으로 풍속화의 장르, 주제와 소재, 사실적 표현, 화면 구성, 표현 기법, 독창성, 비평의 측면에서 조선시대 풍속화를 원활하게 읽어내며 통합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 II장에서는 조선시대 풍속화의 성격과 흐름을 알아보았으며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과 펠드먼의 비평적 감상 방법의 적용 방안을 발문 위주로 연구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일반선택 영역을 반영한 미술 교과서 9종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풍속화 작품 분포 현황을 분석하여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밝혔다.

제 III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및 내용체계와 이에 따른 지도 계획을 밝히고, 교수·학습 지도안을 총 3차시로 구성하여 미술 감상 및 비평 지도방안을 설계하였다. 제시된 2차시 교수·학습 지도안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된 것이다. 해당 수업에서 전통 미술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 태도를 발견하고 조선시대 풍속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내었으며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 간 언어를 매개로 한 작품 감상을 통해 조선시대 풍속화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알렸다.

제 IV장에서는 본 프로그램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펠드먼의 비평적 감상 단계를 활용한 조선시대 풍속화 감상교육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미술 감상 및 비평 활동을 통해 조선시대 풍속화를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탐구하여 조선시대의 삶의 양식을 관찰하고, 사회 문제를 끌어내며 이에 더 나아가 현대의 삶에 적용해 여러 사회 문제를 비판적 관점에서 바라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다양한 문화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가지며 비평적 사고의 습관화 형성의 기반을 만들어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