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의 목적 17
3. 연구의 문제 18
4. 용어의 정의 19
1) 축구산업 19
2) 중국 국가 지식 인프라(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20
3) 학교 축구(Football on School) 21
4) 축구 복권(Football lottery ticket) 22
II. 이론적 배경 23
1. 중국 축구산업 현황 23
1) 중국 스포츠 산업 발전 현황 및 전망 23
2) 중국 스포츠 산업 이론 연구 현황 25
3) 중국 축구 산업 시스템 관리 체제 30
4) 중국 축구산업 발전 역사와 현황 31
2. 중국 축구산업과 용복합 34
1) 축구산업 34
2) 축구 과학기술 37
3) 축구와 다른 산업이 융합 37
4) 축구복권, 창업투자 38
3. 중국 축구산업의 개혁 39
1) 중국 축구의 개혁 과정 39
2) 중국 프로축구 발전 현황 42
III. 연구방법 44
1. 연구방법과 자료수집 44
2. 자료의 분석과 이해 48
IV. 연구 결과 49
1. 중국 축구산업 현황 49
1) 중국 축구산업 전체의 발전 현황 50
2) 중국 축구 프로리그의 관리체계 분석 51
3) 중국 프로리그의 기반과 인프라 구축 60
4) 중국 프로리그의 경제적 효과 71
5) 중국 프로축구산업 발전 현황 92
2. 중국 축구산업과 타분야의 융복합 현황 99
1) 과학기술 99
2) E-스포츠(E-Sports) 107
3) 관광 여행 산업 112
4) 축구 용품 산업 115
5) 스포츠 복권과 창업 118
6)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 현황 121
3. 중국 축구 청소년 육성 현황 128
1) 중국 축구 청소년 육성과 발전의 관한 정책 128
2) 프로클럽 및 훈련기관(청소년 축구훈련산업) 131
3) 학교 축구 산업의 발전분석 135
4) 중국 축구 청소년 육성 현황 139
V. 논의 145
1. 중국 축구산업과 프로리그 145
2. 축구산업과 타분야의 융복합 153
1) 과학기술분야 153
2) VR 및 VAR 분야 154
3) 여행 관광 분야 155
4) 뉴미디어 분야 156
5) 스포츠 복권 분야 157
3. 중국 축구 청소년 육성 158
VI. 결론 및 제언 164
1. 결론 164
2. 제언 167
참고문헌 168
ABSTRACT 177
〈표 1〉 중국 축구 리그 구성 52
〈표 2〉 중국 축구 관련 정책(2011-2016) 55
〈표 3〉 2015-16시즌 중초 클럽 현황 58
〈표 4〉 중초 클럽 관련 상장 회사 59
〈표 5〉 3대 클럽 투자 상황 60
〈표 6〉 신축 경기장 수량 및 면적 현황 63
〈표 7〉 2019 중국 슈퍼리그 이적료 순위 64
〈표 8〉 중초 역사 10대 외국인 선수 이적 랭킹(2019년 2월 28일) 65
〈표 9〉 2018년 중초 중국 선수 연봉 톱5 69
〈표 10〉 2018 상반기 광저우 헝다 항상 영업 소득 87
〈표 11〉 2018시즌 홈그라운드 관객 동원율 순위 89
〈표 12〉 2017 중초 클럽 입장관 가격 순위(위안) 91
〈표 13〉 올림픽 개최 도시 올림픽 기간 중 입국 관광객 상황 113
〈표 14〉 2009년 이후 중국 청소년 축구 발전에 관한 주요 정책 128
〈표 15〉 해외 주요 청훈기구 현황(2019년 표준) 134
〈그림 1〉 논문 작성 절차 46
〈그림 2〉 2019시즌 중초 클럽 분포도 62
〈그림 3〉 2011시즌 후 리그 선수 몸값 상승세 66
〈그림 4〉 중국 축구산업 소비 집단 구분도 72
〈그림 5〉 2018시즌 중국 슈퍼리그 스폰서 73
〈그림 6〉 2006-2018 중초 리그 총 후원 금액(억 위안) 74
〈그림 7〉 스폰서에 대한 중초 팬들의 관심도 75
〈그림 8〉 스폰서 노출에 대한 팬들의 지지도 76
〈그림 9〉 슈퍼리그 후원과 브랜드 인지도 상관관계 76
〈그림 10〉 리그 스폰서의 이미지 77
〈그림 11〉 중계방송 배당 현황(만 위안) 78
〈그림 12〉 중초 리그 구단 매출 구조 82
〈그림 13〉 2014-2017 광저우 헝다 운영원가 85
〈그림 14〉 바르셀로나 선수들의 EPTS 데이터 수집기 활용 102
〈그림 15〉 축구장 전용 VR 카메라 103
〈그림 16〉 2018 월드컵 VAR 센터 105
〈그림 17〉 라이브 스크린 디스플레이 VAR 판정 106
현재 축구산업은 스포츠 종목 중 생산액이 가장 높고 대중적으로 영향력있는 스포츠로 자리 잡아 국제축구연맹(FIFA)은 매년 전 세계 생산액이 5000억 달러에 육박해 모든 스포츠 종목 생산액의 40%를 차지한다. 중국 축구 산업은 1994년 프로리그(Professional league) 출범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전개해 2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기간 중국 축구 산업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어 성장했지만 아직 완벽하지 못한 시장경제 체제 속에서 발전이 더디고 어려운 상황으로 유럽의 축구 산업 선진국과 비교하면 산업화를 위한 도입기 단계이다.
지난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중국 정부는 축구산업 진흥과 스포츠산업 발전을 위한 스포츠 강국 건설을 중요한 임무로 내걸었다. 習近平(시진핑) 주석은 공식 석상에서 중국 축구산업을 반드시 발전시키라고 여러 차례 지시하며, 李克强(리커창) 총리 주도로 축구 등 스포츠 산업 성장을 위해 각별히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국무원 주도 아래 여러 차례 연구 결과를 통해 현 시국을 중국 축구의 개혁과 발전 그리고 산업적 성장을 위한 전례 없던 좋은 기회를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축구산업 시스템의 자료를 정리하여 현 단계의 중국 축구 산업 운영과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중 직면하고 있는 당면 과제를 직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중국 축구 산업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축구의 산업화 현황과 발전 방향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산업화 전반에 따른 고찰 과정과 실천 경험을 짚어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통해 향후 중국 축구산업 고도화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 '중국 프로축구산업 발전 현황은 어떠한가?', '중국 축구산업과 타분야 산업의 융복합 현황은 어떠한가?, '중국 축구의 청소년 육성 현황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중국 축구의 프로리그 전환 후 20여 년의 발전 과정 동안 중국 축구는 상업화와 시장화를 이루어 미디어와 티켓 판매, 스폰서 유치, 파생상품 개발 등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중국 스포츠 이벤트 1위 IP로 자리 잡고 있다. 비록 중국 축구가 산업화로 가는 초기 단계에서 부패와 부정의 시대를 경험했지만 정책적 추진력을 통해 급속도로 발전했다. 그 결과 클럽팀의 수준 향상은 국내를 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현재 중국 프로리그는 20여 개의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으며 96개국의 해외 중계 플랫폼을 가지고 있다. 2019년까지 중국 프로축구 및 축구산업은 중국축구협회가 주관하여 행정적 통제가 심한 상태로 중국축구협회는 중국 스포츠 단체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있는 국가체육총국의 통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국가체육총국의 관리를 간접적으로 따르고 있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중국축구협회는 2019년 10월 중국 슈퍼리그(중초(中超))를 탈퇴하고 중초의 지분을 보유하지 않고 중대한 의사결정에 대해서만 의결권을 갖는다고 선언하여 중초는 완전히 프로연맹이 관리하게 됐다. 이는 중국 축구와 축구산업의 가장 핵심적이고 실질적인 진전으로 연결됐다. 즉, 프로축구는 산업화된 시장에서 가치가 매겨지도록 하고 축구협회는 서비스를 잘 하는 것이 중국 축구 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궤도에 오르는 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길이다.
둘째, 첨단기술의 출현은 축구를 더욱 혁신적이게 만들고 축구와 관련된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제품의 등장은 중국 축구산업의 변혁을 이끌고 있다. 현재 축구 복권과 용품 수입의 비중은 축구산업 전체 수입의 70%에 달하는 실정이다. 또한 e스포츠(e-sports)를 중국의 99번째 스포츠 항목에 포함시켜 전통 축구 클럽이 직접 참여하는 전기 경영대회가 처음 등장하기도 했다. 이는 중국의 축구와 e스포츠가 기념비적 한 걸음 내디딘 것으로 축구산업과 e스포츠산업이 깊이 융합한 산물이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스포츠 관광을 장려하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은 고객의 니즈를 더 정교하게 파악하고 맞춤화할 수 있게 만들어 중국 팬들의 소비 수요에 더 잘 맞는 축구 관광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청소년 축구산업에서는 2009년 4월 발표된 '전국 청소년 학교 축구활동 실시 방안(全國靑少年校園足球活動實施方案)'을 통해 학교 축구 발전의 서막이 열렸다. 이후 국무부 및 정부의 각 부처에서 학교 축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과 조치가 잇따르면서 축구산업에서 프로축구 예비팀으로 이어지는 성과와 청소년의 운동적량 증진 등 산업적 측면에서 실질적 진전을 보였다. 또한 청소년 축구는 주변 산업에도 새로운 기회를 창출해 취미 수업부터 엘리트 양성과 교원 훈련, 기구 관리 훈련 그리고 팀 관리 시스템 등에 이르기까지 신규 투자자들의 유치로 많은 자금이 유입되어 학교 축구가 대규모로 보급되는 데 역할을 하고 있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중앙재정 누계는 8억 9800만 위안으로 학교 축구부양기금을 조성해 각종 자금의 누계가 270억 위안을 초과하였다. 현재 전국 축구 특성화학교는 총 27,059곳으로 2000만 명에 가까운 학생들이 학교 축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중 1255만명의 학생이 4급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즉, 국가적으로 시행되는 지속적인 자금 투입과 경기장 확장, 전문인력 대량 양성과 꾸준한 대회 유치 등 모두 청소년 축구와 축구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축구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이미 좋은 정책과 경제, 문화, 기술적 여건을 형성하고 있어 산업화의 촉진이 중국 축구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