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제1장 서론 12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1.2. 연구 문제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1

2.1. 유아의 자아탄력성 21

2.1.1. 자아탄력성의 개념 21

2.1.2.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소 23

2.1.3.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2.2. 부모의 놀이신념 27

2.2.1. 부모 놀이신념의 개념 27

2.2.2. 부모 놀이신념의 연구동향 29

2.2.3.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31

2.3. 유아의 놀이성 33

2.3.1. 놀이성의 개념 33

2.3.2.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36

제3장 연구 방법 37

3.1. 연구 대상 37

3.2. 연구 도구 41

3.2.1. 부모의 놀이신념 척도 41

3.2.2. 유아의 놀이성 척도 43

3.3.3. 유아의 자아탄력성 척도 46

3.3. 연구 절차 48

3.3.1. 예비 조사 48

3.3.2. 본 조사 49

3.4. 자료 분석 50

제4장 연구 결과 51

4.1.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및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 51

4.2.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53

4.2.1.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관계 53

4.2.2.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56

제5장 논의 및 결론 59

5.1. 논의 59

5.1.1.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및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 59

5.1.2.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63

5.2. 결론 69

참고문헌 70

부록 85

〈부록 1〉 부모의 놀이신념 척도 (아버지와 어머니 놀이신념 척도 문항 동일) 86

〈부록 2〉 유아의 자아탄력성 척도 89

〈부록 3〉 유아의 놀이성 척도 92

〈부록 4〉 인구학적 변인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부분상관계수 95

ABSTRACT 96

〈표 1〉 연구 대상 유아의 일반적 특성 38

〈표 2〉 연구 대상 부모의 인구학적 배경 40

〈표 3〉 부모의 놀이신념 척도의 하위범주별 문항예시, 문항번호, Cronbach's α 43

〈표 4〉 유아의 놀이성 척도의 하위범주별 조작적 정의, 문항예시, 문항번호, Cronbach's α 45

〈표 5〉 유아의 자아탄력성 척도의 하위범주별 조작적 정의, 문항예시, 문항번호, Cronbach's α 47

〈표 6〉 측정변인들의 문항 평균, 표준편차 및 유아의 성에 따른 t 검증 결과 51

〈표 7〉 부모의 놀이신념,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계수 55

〈표 8〉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57

초록보기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19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236명과 그들의 부모였다.

부모의 놀이신념은 Fogle과 Mendez (2006)가 제작한 부모의 놀이신념 척도를 이한별(2008)이 번안 및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놀이성은 김명순, 김길숙과 박찬화(2012)가 개발한 유아용 놀이성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LeBuff와 Naglieri (1999)가 개발한 탄력성 검사를 전은희(2008)가 번안 및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t 검증, 부분상관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유아의 성과 연령을 통제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만 3~5세 유아의 아버지, 어머니는 놀이신념에서 학습중심신념보다 놀이중심신념이 더 높았으며, 놀이중심신념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은 남아, 여아 모두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놀이성 하위범주 중에서는 주도적 참여, 인지적 융통성, 자발적 몰입에서 유의하게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범주 중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하게 문제행동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특히, 부모 놀이신념의 하위범주 중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 놀이성의 하위범주 중 주도적 참여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놀이신념 중 어머니의 놀이중심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중 주도적 참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어머니가 놀이를 즐거운 것으로 여기고 놀이가 자녀의 발달에 유익하다고 믿을수록, 그리고 유아가 놀이하면서 또래와 협력하고 놀잇감을 나누며 친밀한 관계를 맺을수록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 상황을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인 자아탄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