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6

1. 서론 8

1.1. 믿음의 정당화 8

1.2. 셀라스의 딜레마와 전통적 토대론의 부활 13

1.3. 논문의 목적 및 논의 방향 17

2. 직접대면 토대론의 이론적 동기들 19

2.1. 진리 실재론과 진리 대응론의 옹호 19

2.1.1. 퍼머튼의 진리론 20

2.1.2. 대응 관계에 대한 마법적인 견해 24

2.2. 외재주의에 대한 거부 29

2.2.1. 골드먼의 신빙론 29

2.2.2. 외재주의의 근본적인 문제 33

2.3. 정합론에 대한 비판 39

2.3.1. 정합성에 대한 문제 39

2.3.2. 정합론과 정당화의 무한 퇴행 문제 41

3. 직접대면 토대론 45

3.1. 내재주의에 대한 퍼머튼의 견해 45

3.1.1. 접근 내재주의 46

3.1.2. 자연주의적 인식론에 대한 거부와 추론적 내재주의 50

3.2. 직접대면을 중심으로 한 토대론 53

3.2.1. 오류불가능한 믿음과 오류불가능한 정당화 54

3.2.2. 직접대면과 비추론적 정당화 57

3.3. 직접대면 토대론과 내재주의 그리고 두 가지 퇴행 문제 63

3.3.1. 직접대면 토대론은 내재주의인가? 64

3.3.2. 인식적 퇴행 그리고 개념적 퇴행 67

4. 직접대면 토대론에 대한 내재주의적 비판 70

4.1. 진리 대응론에 대한 비판 71

4.2. 직접대면 토대론에 대한 버그만의 비판 77

4.2.1. 직접대면 토대론과 접근 내재주의 77

4.2.2. 주체 관점 반론과 버그만의 딜레마 80

4.2.3. 직접대면 토대론에 대한 옹호 85

4.2.4. 직접대면 토대론을 옹호하려는 시도들은 성공적인가? 95

4.3. 내재주의와 이유의 두 가지 요건 103

4.3.1. 옳음 조건 요건과 승인 요건 103

4.3.2. 옳음 조건 요건의 딜레마 106

4.3.3. 승인 요건의 딜레마 109

5. 결론 116

참고문헌 121

ABSTRACT 125

그림목차

그림 1. 이유의 두 가지 요건에 대한 퍼머튼의 수용 여부에 따른 결과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