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國文抄錄 6
I. 머리말 9
II. 송대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과 도시문화 12
1. 송대 도시문화의 성격과 특징 12
2. 송대 화훼문의 유행 18
1) 공예품에 보이는 화훼문 18
2) 화훼문의 특징 26
3. 송대 금은기 제작과 도안 30
1) 중앙공방과 지방공방의 관계 30
2) 제작자와 주문자의 관계 32
III. 송대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의 종류와 의미 36
1. 송대의 금은기 사용과 화훼문 36
2. 송대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의 구성 39
1) 기물 39
2) 문양 71
3. 송대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의 의미 112
IV. 송대 화훼문화의 확산과 수용 115
1. 遼 115
1) 화훼문의 유행배경 115
2) 요대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 118
2. 高麗 125
1) 화훼문의 유행배경 125
2) 고려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 131
V. 맺음말 140
參考文獻 143
圖版 159
ABSTRACT 209
삽도 1. 彩冠(복원도) 17
삽도 2. 沽酒圖朱漆戧金長方盒(모란, 동백),... 20
삽도 3. 沽酒圖朱漆戧金長方盒(작약, 치자),... 21
삽도 4. 戧金蓮瓣式朱漆奩, 南宋, 江蘇省 常州市... 21
삽도 5. 漆器粉盒, 南宋, 福建省 黃昇墓,... 22
삽도 6. 인장을 매는 끈(綬帶) 도안, 南宋,... 23
삽도 7. 花卉紋銀碟, 南宋, 높이1.2㎝, 구경8.3㎝, 저경6㎝, 191.5g,... 25
삽도 8. 六曲葵形銀盞(一年景 도안), 南宋, 四川省 成都市 彭州窖藏.... 25
삽도 9. 花卉紋銀盤, 南宋, 구경15.3㎝, 높이1㎝, 73g,... 42
삽도 10. 鳳首形銀執壺, 鳳鳥紋銀溫碗(도안), 南宋,... 54
삽도 11. 銀制六曲承盤, 南宋, 구경18.2㎝, 저경13.8㎝,... 55
삽도 12. 空心釵, 南宋, 길이17㎝, 23g, 四... 59
삽도 13. 鍌金團花八棱銀盒 92
삽도 14. 鍌金五曲葵口銀盤 97
삽도 15. 銀製八稜形鏨化主子, 遼, 주자 둘레15㎝, 굽... 119
삽도 16. 碑陵石刻牡丹紋 120
삽도 17. 白瓷執壺, 遼, 敖漢旗 洋山遼墓, 內蒙古博物館. 121
삽도 18. 高體球型冠, 遼, 관 높이31.5㎝, 관 둘레19.5㎝, 587g,... 123
삽도 19. 卷雲鍌金銀冠, 遼, 관 높이32㎝, 관... 123
도 1. 無款, 〈文人圖〉, 北宋 12세기 전반, 비단채색, 臺灣故宮博物院. 159
도 2. 〈宋 仁宗后座像〉의 시종(左, 右), 宋, 國立故宮博物院. 159
도 3. 〈商山四皓會 昌九老圖〉, 宋. 159
도 4. 〈田畯醉歸 圖〉, 宋. 159
도 5. 묘주 머리, 南宋, 福建省 福州 黃昇墓出土. 159
도 6. 沽酒圖朱漆戧金長方盒, 南宋, 江蘇省 常州市 武進墓, 常州市 博物館. 160
도 7. 戧金朱色斑紋黑漆長方盒, 南宋, 江蘇省 常州市 武進墓, 常州市 博物館. 160
도 8. 戧金朱色斑紋黑漆長方盒, 南宋, 江蘇省 常州市 武... 160
도 8-1. 戧金朱色斑紋黑漆長方盒 화훼문 중 연화문. 160
도 9. 漆器粉盒, 南宋, 福建省 黃昇墓, 福建省 博物館. 161
도 10. 煙色梅花羅繡彩花邊單衣, 南宋, 福建省 黃昇墓 出土 161
도 11. 牡丹蓮花紋羅, 南宋, 福建省 福州 黃昇墓 出土. 161
도 12. 花卉紋紗, 南宋, 福建省 福州 黃昇墓出土. 161
도 13. 金帔墜, 南宋, 浙江省 龍遊出土, 浙江省 博物館. 162
도 14. 牡丹紋羅, 福建省 黃昇墓, 南宋, 福建省 博物館. 162
도 15. 褐色羅地金彩紙貼繡纏枝花紋花邊, 南宋,... 162
도 16. 貼繡牡丹素羅褡褳, 南宋, 江蘇省 鎭江金壇市 周瑀墓, 鎭江市 博物館. 163
도 17. 古銅色羅花佩綬, 南宋, 福建省 黃昇墓, 福建省 博物館. 163
도 18. 花間行龍緙絲絲織, 宋, 台北故宮博物院. 163
도 19. 緙絲紫鸞鵲譜, 北宋, 遼寧省 博物館. 163
도 20. 印金敷彩菊花紋花邊, 南宋, 福建省 黃昇墓, 福建省 博物館. 164
도 21. 紫褐色羅印金彩繪花邊單衣 (局部), 南宋, 福建省 黃昇墓, 福... 164
도 22. 銀牡丹鸞風紋項牌, 宋, 직경 16.5㎝, 높이4㎝, 40g, 江西省 星子縣... 164
도 23. 銀鍌金花卉紋鉗濁, 南宋, 직경 6㎝, 福建省 紹武窖藏, 紹武市 博物館. 164
도 24. 嬰戲牡丹紋綾, 宋,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65
도 25. 牡丹童子紋綾, 北宋, 湖南衡陽西 渡區何家皁一號墓, 湖南省 博物館. 165
도 26. 剔黑赤壁賦圖盤, 南宋, 둘레 29.4㎝, 日本 政秀寺소장. 165
도 27. 張擇端, 〈淸明上河圖〉 부분, 北宋. 絹本彩色, 24.8㎝... 165
도 28. 花卉紋銀碟, 南宋, 높이1.2㎝, 구경8.3㎝,... 166
도 28-1. 花卉紋銀碟 중 모란(좌측), 동백(우측) 166
도 28-2. 花卉紋銀碟(연꽃) 166
도 28-3. 花卉紋銀碟 부용(좌), 추규(우) 167
도 29. 花卉紋銀盤(모란), 南宋, 구경15.3㎝, 높이1㎝, 73g, 湖南省... 167
도 29-1. 花卉紋銀盤(연꽃), 南宋, 구경15.5㎝, 높이1㎝, 73g,... 167
도 29-2. 花卉紋銀盤(동백), 南宋, 구경15.4㎝, 높이1㎝, 73g,... 168
도 30. 八棱盤, 南宋, 구경12.9㎝, 높이 0.9㎝, 福建省 邵武窖藏, 邵武市 博物館. 168
도 30-1. 八棱盤(모란), 南宋, 구경12.9㎝, 높이 0.9㎝,... 168
도 31. 鍌金凸花瑞瓜紋銀盤, 南宋, 높이1.4㎝, 구경16.5㎝,... 169
도 32. 銀鍌金瑞果紋盤, 南宋, 福建省 秦宁窖藏, 福建省 博物館. 169
도 33. 銀鍌金瓜杯, 南宋, 높이 3.8㎝, 구경11.3㎝, 76.14g, 江蘇... 169
도 34. 金瓜杯, 南宋, 높이4.3㎝, 구경9.5㎝, 四川省... 169
도 35. 四川省 華鎣安內南宋墓 墓室 石雕(모란, 연꽃, 여지, 참외), 宋. 170
도 36. 六曲葵形銀盞, 南宋, 구경12.3㎝, 저경4.4㎝, 굽... 170
도 36-1. 六曲葵形銀盞 외면 170
도 37. 金葵花盞, 南宋, 구경 15~15.7㎝, 저경7.6~7.7㎝, 높이... 171
도 37-1. 金葵花盞 내벽에 음각으로 새겨진 화훼문. 171
도 38. 金葵花盞, 南宋, 높이4.8㎝, 굽 높이 4.2㎝, 安徽省 休寧朱晞顔... 171
도 39. 銀花形盞, 南宋, 높이3.5㎝,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71
도 39-1. 銀花形盞의 화훼문. 172
도 40. 鍌金六曲荷花銀盞, 金, 哈尔濱新香坊金墓, 黑龍江省 博物館. 172
도 41. 鍌金花式銀盞, 南宋, 구경 8.5㎝, 높이... 172
도 42. 鍌金花式銀盞세트 중 치자 잔 172
도 43. 銀扣金梅紋花口盞, 南宋, 南京 秦淮區寶塔 頂宋長幹寺 地宮, 南... 173
도 44. 五曲梅花鍌金銀盞, 南宋, 구경9.1㎝, 높이4㎝, 江蘇省 溧陽平... 173
도 45. 鍌金凸花牡丹紋夾層銀盞, 南宋. 173
도 46. 銀鍌金梅梢月紋盤盞, 南宋, 盤둘레15.8㎝, 높이1.2㎝, 盞 구경... 173
도 47. 銀梅花盤盂 一副, 南宋, 반 구경15.3㎝, 반 높이1.9㎝,... 173
도 48. 銀鍌金芙蓉花盤盞, 南宋, 구경22.8㎝,... 174
도 49. 銀鍌金菊花盤盞, 南宋, 盤 저경16.5㎝, 높이2.5㎝,... 174
도 50. 〈叢菊飛蝶圖〉, 宋, 24㎝x25.1㎝, 故宮博物館. 174
도 51. 四川省瀘縣 宋墓 石刻(부분), 宋. 174
도 52. 蓮蓋折肩銀執壺, 南宋, 壺 높이32㎝, 구... 175
도 53. 銀執壺, 銀遵, 南宋, 執壺 높이21㎝, 구경6.2㎝, 저경11㎝, 銀遵 높이15.8㎝, 구경... 175
도 54. 鳳首形銀執壺, 鳳鳥紋銀溫碗, 南宋, 둘레... 175
도 55. 銀制六曲承盤, 南宋, 구경 18.2㎝, 저경13.8㎝, 높이... 175
도 56. 銀茶匙, 南宋, 길이26㎝, 폭3.8㎝, 江蘇省 金壇堯塘西榭村銀... 176
도 56-1. 銀茶匙, 南宋, 江蘇省 金壇堯塘西榭村銀... 176
도 57. 銀匙, 南宋, 길이 12㎝, 폭 2.6㎝, 福建省 邵武窖藏, 邵武市 博物館 176
도 57-1. 銀茶匙(연화문), 南宋, 福建省 邵武窖藏,... 176
도 58. 空心釵, 南宋, 길이17㎝, 23g, 四川省 成都市 彭州窖藏, 四川省 博物館. 177
도 59. 金花筒釵, 南宋, 길이12.5㎝, 14.6g, 江蘇省 鎭江市... 177
도 60. 金花筒橋梁釵, 南宋, 江蘇省, 南京 太平門外 王家灣宋... 177
도 61. 銀鍌金花筒橋梁釵, 南宋, 江蘇省 江陰梁 武堰宋墓. 177
도 62. 銀鍌金並頭樓閣簪, 南宋, 길이... 178
도 62-1. 簪의 장식부의 국화조형. 178
도 63. 金花頭橋梁簪, 南宋, 江蘇省 江陰夏港宋墓 出土 178
도 63-1. 簪의 측면에 장식된 모란 절지문. 178
도 64. 銀鍌金花頭橋梁簪, 南宋, 浙江省 永嘉窖藏 出土. 179
도 64-1. 簪 상단의 치자문. 179
도 65. 花田式銀簪, 南宋, 浙江省 永嘉窖藏出土. 179
도 66. 花田式銀簪, 南宋, 浙江省 永嘉窖藏 出土. 179
도 67. 〈搜山圖〉, 宋, 가로53.3㎝x 세로53.3㎝, 故宮博物院. 180
도 68. 〈仕女圖〉 부분, 宋, 登封唐莊宋壁畵墓. 180
도 69. 金簪首, 北宋, 직경 2.2㎝, 무게 6.13g, 江蘇省... 180
도 70. 金裹頭銀脚簪, 宋, 陝西省 西安 長安... 180
도 71. 金裹頭銀脚簪, 宋, 江蘇省 常州 北環工地... 180
도 72. 金步搖, 南宋, 長16㎝, 重19.7g, 湖南省... 181
도 72-1. 金步搖 상단의 연꽃. 181
도 73. 金步搖, 宋, 길이22.2㎝, 31g, 四川省... 181
도 73-1. 金步搖에 장식된 卷草紋과 함께 장식된 모란, 연... 181
도 74. 金菊花耳環, 南宋, 길이 2.1㎝, 폭1.7㎝, 浙江省 健德... 181
도 75. 金瓜果紋耳杯, 宋, 江蘇省 鎭江何家門 出土. 181
도 76. 金石榴耳杯, 宋, 江西省 南城縣劑城崗宋墓 出土. 182
도 77. 金梅花帶墜耳環, 宋, 湖北省 湖北... 182
도 78. 金蜂趕花耳環, 宋, 1.9g, 湖北省 蘄春羅州城遺址, 蘄春縣 博物館. 182
도 79. 〈雜劇圖〉, 南宋, 비단에 채색, 24x24.3㎝, 故宮博物院. 182
도 80. 金累絲甁蓮耳環, 宋, 1.5g, 湖北省 蘄春羅州城遺... 183
도 81. 金帔墜, 南宋, 길이 9.2㎝, 폭6.4㎝, 浙江省... 183
도 82. 金帔墜, 南宋, 浙江省 湖州 三天門南宋墓, 浙江省 博物館. 183
도 83. 鸞鳳穿花金帔墜, 北宋, 높이8.5㎝, 폭5.7㎝, 南京市... 184
도 83-1. 金帔墜에 장식된 국화, 치자, 모란과 봉황. 184
도 84. 花卉紋鉗鐲, 南宋, 직경2.2㎝, 1.87g, 浙... 184
도 85. 金四季花卉紋鉗鐲, 南宋, 浙江省 建德大洋鎭下... 185
도 86. 金指鐲, 南宋, 浙江省 建德大洋鎭下王村宋墓出土. 185
도 87. 劉松年, 〈中興四將圖〉, 南宋. 비단에 채색,... 185
도 88. 銀花卉紋巾環, 南宋, 직경3.5㎝, 3g, 湖南... 186
도 89. 金帽頂飾, 金代, 黑龍江省 哈爾濱市 新香坊... 186
도 90. 金花帽, 宋, 湖北省 蘄春羅州城窖藏, 蘄春縣 博物館. 186
도 91. 牡丹花紋六曲花口銀盞, 宋, 浙江省 臨安原高虹中學小學,... 186
도 92. 鍌金折枝牧丹紋盤, 宋, 江夏區(原武昌縣) 出土. 187
도 93. 銀鍌金花頭釵, 宋, 길이 19.5㎝, 重14.8g, 浙江省 德淸... 187
도 94. 金櫛, 南宋, 江蘇省 武進 禮河鄕, 江蘇省博物館. 187
도 95. 盒式銀熏爐蓋, 南宋, 四川省 成都市彭州窖藏, 四川省 博物館. 187
도 96. 金帶狀飾品(부분), 北宋, 길이 20.6㎝, 19.2g, 江西省 永新縣北宋劉杭... 187
도 97. 銀鍌金項牌, 南宋, 직경 16㎝, 江西省 天封塔 地宮, 寧波博物館. 188
도 97-1. 銀鍌金項牌의 모란문. 188
도 98. 金簪, 南宋, 길이19.2㎝, 폭2.4㎝, 24g, 四川省 成都市彭州窖藏,... 188
도 98-1. 金簪 상단의 모란문. 188
도 99. 鳳穿牡丹紋銀鍌金搔頭式簪, 南宋, 길이... 188
도 99-1. 簪에 장식된 봉황과 모란문. 188
도 100. 銀熏爐圈足, 南宋, 四川省 成都市 彭州窖藏, 四川省 博物館. 189
도 100-1. 熏爐에 장식된 국화문(좌), 모란문(우). 189
도 101. 盒式銀熏爐蓋, 南宋, 四川省 成都市 彭州窖藏, 四川省 博物館. 189
도 102. 牡丹芙蓉紋羅, 南宋, 福建省 黃昇墓, 南宋, 福建省 博物館. 189
도 103. 黃色 직물 편, 南宋, 江西省 德安 周氏墓, 江西省 博物館. 189
도 104. 堆朱花鳥文長箱, 南宋, 높이 9.5㎝, 19.7x12.6㎝, 東京國立博物館. 189
도 105. 剔黑樓閣人物圖盤, 南宋, 둘레31.2㎝, 높이4.5㎝, 東京國立博物館. 190
도 106. 緙絲富貴長春軸, 宋, 길이... 190
도 107. 刺繡羅佩綬,南宋, 福建省 黃昇墓, 福建博物館. 190
도 108. 堆黑花鳥文長盆, 南宋, 높이2.7㎝, 17.9㎝x34.5㎝, 東京國立博物館소장. 190
도 109. 花鳥紋銀盤, 南宋, 구경 14.2㎝, 높이1.2㎝, 江西省 星... 191
도 110. 盒式銀熏爐身, 南宋, 둘레 18.7㎝, 높이13.4㎝, 四川省 成都市... 191
도 111. 銀熏爐承盤, 南宋, 盤둘레 46.3㎝, 높이 6.2㎝, 650g, 四川... 191
도 112. 銀幷頭式花頭簪, 南宋, 江西省 德安, 江西省 博物館. 191
도 113. 三花頭鍌金銀橋梁簪, 宋, 길이 11.5㎝, 興縣博物館. 192
도 114. 印花四季花紋模, 北宋, 河北省 曲陽縣 北鎭村窖藏 192
도 115. 印花博古葵瓣文盤, 金, 12~13世紀, 國立古宮博物院. 192
도 116. 紫絳絹地繡寶相睡蓮經帙, 北宋, 江蘇省 蘇州市 雲岩寺塔, 蘇州市 博物館. 192
도 117. 褐色羅繡彩荷包, 南宋, 길이 16㎝, 폭12㎝, 福建省 黃昇墓, 福建... 193
도 118. 刺繡佛說圖袈裟, 南宋, 日本知恩院. 193
도 119. 銀鍌金壓花銀杯, 南宋, 福建省 邵武銀器窖藏, 南京市 博物館. 193
도 120. 花卉文六曲銀盤, 南宋, 구경 17.5㎝, 높이1.5㎝, 安徽省 休宁朱... 193
도 121. 纏枝花紋金鉗鐲, 南宋, 길이17.3㎝, 19.1g, 湖北... 194
도 122. 〈秋葵圖〉局部, 宋, 上海博物館. 194
도 123. 〈百花圖卷-蜀葵〉, 南宋, 견본묵필, 1679.5㎝ x... 194
도 124. 〈百花圖卷-黃蜀葵〉, 南宋, 견본묵필, 1679.5㎝ x... 194
도 125. 〈刺繡秋葵蚲蝶圖〉, 南宋, 23.5㎝ x 25.2㎝, 臺灣故宮博物院. 195
도 126. 六曲秋葵鍌金銀盞, 南宋, 구경9.8㎝, 높이 4.5㎝, 江... 195
도 126-1. 六曲秋葵鍌金銀盞내벽의 치자문. 195
도 127. 花紋六曲花口銀盞, 宋, 浙江省 臨安原高虹中學小學, 浙江省 博物館. 195
도 128. 〈南詔畫傳〉, 唐 昭宗 光化二年 (公元899年). 196
도 129. 山茶花羅上衣, 南宋. 福建省 福州 黃升墓, 福建省 博物館. 196
도 130. 李崇, 〈花籃圖〉, 南宋, 19.㎝ x 26.5㎝, 故宮博物院. 196
도 131. 〈雀山茶圖〉, 南宋, 絹本設色, 23.5㎝ x 26.7㎝,... 196
도 132. 銀製八稜形鏨化主子, 遼 , 주자 둘레15㎝, 굽 지름... 197
도 132-1. 주자에 장식된 모란문. 197
도 133. 白釉雕牡丹花紋鷄冠壺, 遼, 『中國陶... 197
도 134. 彩繪木板畵, 遼, 內蒙古 林西縣 出土. 197
도 135. 三彩听琴圖枕, 遼, 河南省 濟源市 勛掌... 197
도 136. 牡丹紋刺繡枕頂, 遼, 山西省 遼墓, 北京 故宮博物院. 198
도 137. 白釉剔粉塡黑牡丹花紋罐, 遼, 『中國陶瓷... 198
도 138. 五曲荷形銀杯, 遼, 구경 8.7㎝, 굽지름4.5㎝, 높이5㎝, 內蒙... 198
도 139. 荷葉形銀杯, 遼, 구경10㎝, 저경4.6 ㎝, 높이3.8㎝, 內蒙古 赤峰市... 198
도 140. 高体球型冠, 遼, 관 높이 31.5㎝, 관 상단직경19.5㎝,... 199
도 141. 卷云鍌金銀冠, 遼, 관 직경 20.6㎝, 높이32㎝, 赤峰 溫多敖瑞山遼墓出土. 199
도 142. 纏枝花紋金鐲, 遼, 陳國公主墓出土. 199
도 142-1. 모란문 세부. 199
도 143. 鍌花銀鐲, 遼代, 遼寧省 博物館. 199
도 144. 金鳳耳環, 南宋,... 200
도 145. 〈雅集圖 對聯〉부분, 고려, 139㎝ x 78㎝, 호암미술... 200
도 145-1. 〈雅集圖 對聯〉부분, 고려, 139㎝ x 78㎝,... 200
도 145-2. 〈雅集圖 對聯〉부분, 고려, 139㎝ x... 200
도 146. 銀製鍍金六花形碗, 고려, 구경11.5㎝, 높이2.4㎝, 국립중앙박물... 201
도 147. 銀製花形碗, 고려, 구경 10.6㎝, 높이2.4㎝, 보스턴박물... 201
도 148. 銀製碗, 고려, 구경 10.5㎝, 높이3.4㎝, 국립중앙... 201
도 149. 靑磁陰刻蓮花紋花形盞, 고려, 구경9.2㎝, 높이4.8㎝, 보스턴박물관 소장. 201
도 150. 靑磁陽刻黃蜀葵形碗, 고려, 구경19㎝, 높이7.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1
도 151. 청자초벌편, 고려, 강진 사당리 출토. 201
도 152. 靑磁陰刻菊花紋碗, 고려, 구경11.7㎝, 높이4.9㎝, 오사카... 202
도 153. 靑磁象嵌牧丹紋碗, 고려, 구경12.3㎝, 높이5㎝, 오사카동양... 202
도 154. 은제도금주자와 승반, 고려 12세기, 높이... 202
도 154-1. 주자 상단(봉황) 세부. 203
도 154-2. 주자 뚜껑세부. 203
도 154-3. 주자에 장식된 연화당초문. 203
도 154-4. 주자상단의 연화절지문. 203
도 154-5. 승반하단에 장식된 연화절지문. 203
도 155. 동제화형장신구, 고려, 높이8.4~9.0㎝, 국립중앙박... 204
도 155-1. 동제화형장신구, 고려, 8.4㎝~9㎝,... 204
도 156. 금속장신구(모란), 고려, 높이... 205
도 157. 금속장신구(연 꽃), 고려,... 205
도 158. 청동장신구(연잎), 고려, 지름... 205
도 159. 금속장신구(국화), 고려, 높이1.6~3.6㎝, 폭... 205
도 160. 금속장신구(황촉규), 고려, 높이 1.6~3.6㎝, 폭2.2㎝(평균), 두께0.2㎝(평... 205
도 161. 금속장신구(원추리), 고려, 지름 2.2㎝, 두께 0.3㎝,... 205
도 162. 금속장신구(여지), 고려, 높이1.6~3.6㎝, 폭2.2㎝(평균),... 205
도 163. 금속장신구(나비), 고려, 높이 1.6~3.6㎝, 폭2.2㎝(평균), 두께... 206
도 164. 옥제장식, 고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신수118890. 206
도 165. 荔枝紋飾, 宋, 높이2.5㎝, 너비3.6㎝, 中國國家博物館. 206
도 166. 청자상감국화여지문대접(부분), 고... 206
도 167. 여지문과대 띠끝장식판, 고려, 5㎝ x 3.5㎝, 삼성 리움미술관 소장. 206
도 168. 여지문과대(일부), 고려, 5.46㎝ x 5.27㎝, 상명대학교박물관 소장. 206
도 169. 鍌金荔枝紋帶具, 南宋, 安徽省 休寧南宋... 207
도 170. 銀製鍍金牧丹紋腰帶飾, 고려11~12세기, 길이... 207
도 171. 금동제 띠고리, 고려, 11.5㎝x4.65㎝, 보스... 207
도 172. 모란문 띠고리, 고려, 9.0㎝x5.4㎝, 상... 208
도 173. 국화문 금동교구, 고려, 10㎝x4.2㎝, 독일... 208
도 174. 국화형 동곳, 고려,... 208
도 175. 국화형 동곳, 고려, 3.4㎝~9.1㎝,... 208
본 논문은 宋代(960~1279) 金銀器의 조형과 문양에 화훼가 적극 반영되는 점에 주목하여, 사회전반에서 유행한 화훼문화와 결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처럼 금은기로 화훼문화를 조명하려는 것은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송대 금은기의 특징과 성격을 밝힐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中國 金銀器史에서 이후 전개될 元, 明代 금은기 연구의 초석이 될 뿐만 아니라, 이미 연구된 唐代 금은기를 바탕으로 송대 도시문화의 특징이 어떻게 금은기에 반영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간 송대에 화훼문이 유행한 것은 회화와 도자에서 주로 연구되었고 南宋 窖藏 및 무덤에서 출토된 견직물과 칠기를 정리한 연구는 비록 고고학적 발굴에 집중하고 있지만 공예품에 나타난 화훼문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기초가 되었다. 또한 송대 금은기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보고서가 대부분이고 송대 금은기의 사용양상, 사회적 의미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몇 차례 발표되었으나, 대부분 酒. 茶문화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어 화훼가 금은기에 장식되는 것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이 글에서는 송대 금은기에 화훼문이 유행하게 되는 원인을 황실과 문인층에서 발달한 감상문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이에 구체적으로 검토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II장에서는 송대 도시문화 중 화훼 감상문화를 살펴보고 공예품에 보이는 화훼문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중앙공방과 지방공방, 제작자와 주문자의 관계를 통해 취향에 따른 금은기 제작과 동일한 화훼문이 전 지역에서 공유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후 III장에서는 南宋代 窖藏 및 무덤 출토품을 중심으로 금은기의 조형과 문양에 화훼가 사용된 사례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특정 기물에 화훼문이 장식되는 이유와 함께 화훼문 유형을 분류하여 동시대 공예품의 문양과 비교하는 것은 도안이 공유된 상황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IV장에서는 宋代의 화훼문화가 동아시아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遼와 高麗 금은기에 나타난 화훼문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특히 화훼문화는 宋이 가진 통치개념과 도시 문화적 성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사계화훼를 머리에 꽂는 것은 장식의 기능뿐만 아니라 통치개념을 보여주는 것으로, 송대에 여성관식이 제도화 되면서 황실의 내외명부의 신분 표시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일년경 花冠을 비롯해 羅白花, 조화를 사용해 사회적 위치, 경제력과 미적 감각을 표출했다. 이러한 삽화풍습의 발전은 화훼에 대한 사람들의 사회, 문화적 인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였다. 또한 송대의 도시 발달 및 농업의 상품화는 화훼업의 흥성을 일으켜 도시주민 생활전반에서 화훼재배와 장식을 가능하게 했고 감상문화를 발달시켜 酒, 茶를 마시는 중에도 화훼는 감상의 대상이자 장식요소였다. 특히 문인중심으로 각종 예술품과 골동, 서적, 문구류를 수집하고 감상하는 문화에서 화훼는 차, 향 그리고 서화와 함께 문인의 예술수양의 도구였다. 이렇게 완상 취미의 대표 제재였던 화훼를 자신들이 직접 소장하고 애용했던 공예품에 넣으려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특히 칠기, 직물을 비롯한 송대 공예품에 보이는 一年景은 畵本에 의해 통용되었던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宋代에는 각 지역에서 금은기 제작이 활발해졌으며, 지방에 있는 관영공방을 비롯한 사영공방에 속해 개인 주문제작을 받는 장인들이 이미 중앙에서 제작된 금은기의 조형과 문양을 모방하고 이를 뛰어넘는 성숙된 제작기술 역량을 가졌던 것을 중앙공방과 지방공방의 관계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송대에 진상문화가 활발해지고 주문 제작이 늘어남에 따라, 독립사공방과 개인공방이 더욱 번성하여 자신의 취향대로 주문 해 사용할 수 있었다. 이때, 지리적으로 거리가 떨어져 있는 남송교장들에서 구성과 형태가 동일한 화훼문이 나타나는 것은 중앙도안의 존재와 함께 장식 도안이 전 지역에서 공유되었던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후 남송교장 및 무덤 출토 금은기 중 茶, 酒具와 장신구를 중심으로 生花式 금은기와 화훼문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사계절의 화훼가 4개, 6개, 12개 등으로 일년경을 이루며 모란, 연꽃, 치자, 국화, 동백이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해 茶, 酒具의 경우, 화훼가 상징하는 의미와 관련된 차, 술 문화 또는 풍속이 있었기 때문이고 장신구의 경우, 머리나 몸에 화훼를 지녀 신분과 계급을 나타냈던 송대 사회에서 생화는 유한했기 때문에 장신구를 이용해 드러낸 것이다. 또한 식기와 장신구에 사용된 화훼 모두 감상의 목적으로 인기 있던 종류로, 그들이 사용하던 기물을 통해 사계절의 화훼를 언제나 감상할 수 있었고 장신구를 착용했을 때 화훼를 몸에 지니는 장식효과를 일으킨 것이다. 이처럼 송대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은 사계화, 즉 일년경에 담긴 계절감각을 비롯해 사회적 계층 및 도시 문화적 성격을 드러내고 있어 중요했다.
한편 송대 금은기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년경을 구성하는 6개의 화훼문을 형태에 따라 유형을 정리해보았다. 첫째,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의 유형이 칠기, 직물, 도자를 비롯한 공예품 전반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송대 화훼문이 화본 및 도안을 통해 공유된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文思院으로 대표되는 중앙도안의 존재와 함께 전역에서 공유되었던 사실을 증명했다. 둘째, 금은기를 비롯해 공예품 전반에 나타난 화훼문이 황실 畵院의 畵報集과 生色花, 문인회화를 비롯한 송대 예술전반의 흐름과도 상통함을 알 수 있었다. 송대 금은기에 나타난 화훼문은 이전의 장식문양과 확연히 구분되는데, 唐代에는 화훼가 드물고 새와 서수문이 주요 재재로 등장했던 것과 비교되며, 대칭적이던 당초문과도 달랐다. 오히려 실제 화훼의 특징을 반영한 사실적이고 우아한 특징은 송대 화원에서 제작된 화보집을 비롯해 문인회화에서 보이는 화훼의 모습과 유사했다.
다음으로 宋代의 화훼문화가 동아시아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遼와 高麗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과 유행 배경을 살펴보았다. 遼의 경우, 중기부터 금은기의 조형 및 장식으로 화훼재제가 빈번하게 등장하는데, 송대에 유행한 화훼문화와 함께 양국의 금은기 교류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화훼문의 비중이 많아졌을지라도 여전히 宋 寫生式에는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거란족 특유의 운동감이 있고 획도 굵직한 모습이 남아있으며, 종류도 모란, 연꽃, 국화 등 대부분 추운 북방지역에서 자생할 수 있는, 이전부터 그들이 즐기던 대상이 주로 사용되었다.
또한 고려에서도 왕실과 문인층을 중심으로 화훼문화가 유행했는데, 宋代의 정치제도와 문화를 선망하여 文人이 자신의 공간에 茶, 香, 花卉로 가득 채우고 감상했던 것을 비롯해 송대 화훼재배기술을 통해 사계절의 화훼를 언제나 즐기려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왕실 및 문인을 중심으로 유행한 화훼문화는 자연스레 그들이 사용했던 금은기에 화훼가 주요 장식문양으로 반영되었다. 또한 숙련된 전문장인들에 의해 관영공방 또는 민영공방에서 주문제작 된 금은기의 주요 사용계층 역시 고려 왕실 및 문인, 귀족계층이었기 때문에 이들의 취향이 적극 반영되었다. 마지막으로는 遼, 宋代 금은기의 유입이라는 직접적 배경이 있었다. 고려 금은기에 장식된 화훼문은 이전까지 보이던 보상당초문이나 3~4엽의 화문을 장식한 것과 다르게 모란, 연꽃, 국화, 매화 등 실제 화훼를 현실에 있는 그대로 표현하려 했고 황촉규, 원추리, 여지, 나비도 새로이 확인된다. 그러나 송대에 일년경이 세트기물이나 首飾의 조형으로 사용한 것은 고려에서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보스턴박물관 소장 은제도금 주자와 승반과 같이 宋, 遼代 기형을 바탕으로 고도의 숙련된 공예장식을 응용해 가장 화려하면서도 번잡스럽지 않은 고려의 미감으로 재해석했던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송대 금은기에 보이는 사실적 화훼문은 단지 장식문양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송대 금은기의 특징과 성격을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를 가진다. 특히 일년경으로 대표되는 사계절에 대한 감각을 비롯해 통치개념과 도시문화를 읽어낼 수 있었다. 또한 당대 금은기와 송대 금은기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은 송대 금은기가 실용기를 넘어서 감상기로 격상되는 점인데, 이때 금은기의 조형과 문양에 화훼가 사용되는 것은 화훼감상 취향과 연관된 감상차원의 금은기가 제작된 사실도 확인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금은기에 나타난 화훼문이 송대 예술경향과 분리되지 않으며, 도안을 통해 공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송대의 화훼문화가 동아시아에서 수용되는 과정에서 遼와 高麗의 금은기에 나타난 화훼문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