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Ⅰ. 서론 12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4

Ⅱ. 이론적 배경 15

1. 난청 15

2. 이상지질혈증 16

3. 선행연구 17

Ⅲ. 연구방법 18

1. 연구 설계 18

2. 연구대상 및 자료 18

3. 변수 설명 21

1) 종속변수 21

2-1)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독립변수 21

2-2) 임상적 특성을 나타내는 독립변수 22

4. 통계 분석방법 29

Ⅳ. 연구결과 30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정상군과 이상지질혈증군의 비교 30

2. 정상군과 비교한 이상지질혈증군에서 난청의 발생률 35

3.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난청의 위험도 분석 39

(1) 이상지질혈증군 및 기타 지질검사를 이용한 분석 39

(2) 이상지질혈증군의 하위요인 분석 41

4. 도달연령(Attained age) 보정을 시행한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위험도 분석 43

(1) 이상지질혈증군 및 기타 지질검사를 이용한 분석 43

(2) 이상지질혈증군의 하위요인 분석 45

Ⅴ. 고찰 47

1. 연구 자료 및 방법에 대한 고찰 47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49

Ⅵ. 결론 50

참고문헌 51

ABSTRACT 54

표목차

Table 1.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27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s by normal and dyslipidemia group 32

Table 3. Incidence rate on normal group and dyslipidemia group 34

Table 4. Cox proportional analysis for prediction of hearing loss incidence by dyslipidemia. 40

Table 5. Sub-factor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 analysis for prediction of hearing loss incidence by full-lipid profile 42

Table 6. Age-attained Cox proportional analysis for prediction of hearing loss incidence by full lipid profile 44

Table 7. Sub-factor analysis using age-attained Cox proportional analysis for prediction of hearing loss incidence by full-lipid profile 46

그림목차

Figure 1. Flow chart of study population selection 20

Figure 2. Kaplan-Maier curve of hearing loss incidence stratified by dyslipidemia 36

Figure 3. Kaplan-Maier curve of hearing loss incidence stratified by Lipoprotein A 37

Figure 4. Kaplan-Maier curve of hearing loss incidence stratified by Apolipoprotein B/A ratio 38

초록보기

연구 배경 및 목적: 난청은 일상에서 흔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만성질환의 하나로서 그 원인은 다양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8 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난청 환자 수는 2012 년 27 만 7000 명에서 2017 년 34 만 9000 명으로 5 년사이 25%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4.8%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연구를 통하여 이상지질혈증이 난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성인에서의 혈중 지질수치의 조절을 통해 난청의 발생률을 낮추고 난청으로 인한 사회경제학적 비용 절감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건강검진센터(서울, 수원)에서 2002 년 1 월부터 2018 년 12 월까지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검사결과를 분석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첫 회 내원 시 청력이 정상인 피검자에 한하여 마지막 방문 시 청력을 기준으로 정상군과 난청군으로 나누어 카플란-마이어 생존분석을 통한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또한 콕스비례위험모형을 통하여 당뇨병, 고혈압, 등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요인이 되는 요소들을 통제 후 이상지질혈증이 난청의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으로 인한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첫 내원시의 연령을 고려하여 도달연령보정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한 결과 LDL-콜레스테롤(HR 1.003, 95% C.I. 1.001-1.004, p=0.001), 중성지방(HR 1.002, 95% C.I. 1.000-1.003, p=0.0230)에서는 난청의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통제변수인 중등도의 음주(HR 1.174, 95% C.I. 1.089-1.266, p<0.0001), 고도의 음주(HR 1.123, 95% C.I. 1.078-1.238, p<0.0202), 에서도 난청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주 3 회 이상의 격렬한 운동군(HR 0.824, 95% C.I. 0.753-0.902, p<0.0001)에서는 난청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행한 지질검사 항목중 LDL-콜레스테롤과 아포지단백 A 의 수치가 높을 경우 난청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