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Ⅰ. 서론 12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4
Ⅱ. 이론적 배경 15
1. 난청 15
2. 이상지질혈증 16
3. 선행연구 17
Ⅲ. 연구방법 18
1. 연구 설계 18
2. 연구대상 및 자료 18
3. 변수 설명 21
1) 종속변수 21
2-1)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독립변수 21
2-2) 임상적 특성을 나타내는 독립변수 22
4. 통계 분석방법 29
Ⅳ. 연구결과 30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정상군과 이상지질혈증군의 비교 30
2. 정상군과 비교한 이상지질혈증군에서 난청의 발생률 35
3.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난청의 위험도 분석 39
(1) 이상지질혈증군 및 기타 지질검사를 이용한 분석 39
(2) 이상지질혈증군의 하위요인 분석 41
4. 도달연령(Attained age) 보정을 시행한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위험도 분석 43
(1) 이상지질혈증군 및 기타 지질검사를 이용한 분석 43
(2) 이상지질혈증군의 하위요인 분석 45
Ⅴ. 고찰 47
1. 연구 자료 및 방법에 대한 고찰 47
2.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49
Ⅵ. 결론 50
참고문헌 51
ABSTRACT 54
Figure 1. Flow chart of study population selection 20
Figure 2. Kaplan-Maier curve of hearing loss incidence stratified by dyslipidemia 36
Figure 3. Kaplan-Maier curve of hearing loss incidence stratified by Lipoprotein A 37
Figure 4. Kaplan-Maier curve of hearing loss incidence stratified by Apolipoprotein B/A ratio 38
연구 배경 및 목적: 난청은 일상에서 흔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만성질환의 하나로서 그 원인은 다양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8 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난청 환자 수는 2012 년 27 만 7000 명에서 2017 년 34 만 9000 명으로 5 년사이 25%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4.8%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후향적 코호트연구를 통하여 이상지질혈증이 난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성인에서의 혈중 지질수치의 조절을 통해 난청의 발생률을 낮추고 난청으로 인한 사회경제학적 비용 절감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건강검진센터(서울, 수원)에서 2002 년 1 월부터 2018 년 12 월까지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검사결과를 분석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첫 회 내원 시 청력이 정상인 피검자에 한하여 마지막 방문 시 청력을 기준으로 정상군과 난청군으로 나누어 카플란-마이어 생존분석을 통한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또한 콕스비례위험모형을 통하여 당뇨병, 고혈압, 등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요인이 되는 요소들을 통제 후 이상지질혈증이 난청의 발생에 미치는 위험도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으로 인한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첫 내원시의 연령을 고려하여 도달연령보정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한 결과 LDL-콜레스테롤(HR 1.003, 95% C.I. 1.001-1.004, p=0.001), 중성지방(HR 1.002, 95% C.I. 1.000-1.003, p=0.0230)에서는 난청의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통제변수인 중등도의 음주(HR 1.174, 95% C.I. 1.089-1.266, p<0.0001), 고도의 음주(HR 1.123, 95% C.I. 1.078-1.238, p<0.0202), 에서도 난청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주 3 회 이상의 격렬한 운동군(HR 0.824, 95% C.I. 0.753-0.902, p<0.0001)에서는 난청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행한 지질검사 항목중 LDL-콜레스테롤과 아포지단백 A 의 수치가 높을 경우 난청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