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 배경 11
제2절 연구 범위와 목적 18
제3절 연구 구성과 방법 21
제2장 이론적 논의 23
제1절 이미지의 개념 25
1. 이미지에 대한 전통적 견해들 25
2. 이미지에 대한 근대적 견해들 29
3. 이미지에 대한 후(post)근대적 견해들 33
4. 이미지에 대한 현재적 견해: 이미지의 이데올로기 38
제2절 이데올로기의 개념 43
1. 이데올로기의 기원 43
2. 이데올로기의 근대적 논의: 마르크스-앵겔스의 카메라 옵스큐라 46
제3절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의 개념 52
제3장 조지 오웰의 『1984』와 백남준의 〈GMO〉 60
제1절 조지 오웰의 『1984』 60
1. 『1984』의 시대적 배경 60
2. 냉전 이후의 『1984』 69
제2절 백남준의 〈GMO〉 74
1. 1984년의 〈GMO〉 74
2. 〈GMO〉에 표현된 『1984』 비판 82
제4장 『1984』와〈GMO〉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연구방법 95
제1절 연구문제 정의 99
제2절 표집자료 선정 101
제3절 분류변수 설정 103
제4절 원시자료 분석방법 108
제5장 『1984』와 〈GMO〉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분석결과 109
제1절 『1984』와 〈GMO〉의 연도별 추이와 상관성 분석 109
제2절 『1984』와 〈GMO〉의 연도별 개체명 분석 113
1) 『1984』의 개체명 분석: 1990년대 116
2) 『1984』의 개체명 분석: 2000년대 118
3) 『1984』의 개체명 분석: 2010년대 120
4) 〈GMO〉의 개체명 분석: 1990년대 122
5) 〈GMO〉의 개체명 분석: 2000년대 124
6) 〈GMO〉의 개체명 분석: 2010년대 126
제3절 『1984』와 〈GMO〉의 연도별 연관어 분석 129
1) 『1984』의 연관어 분석: 1990년대 132
2) 『1984』의 연관어 분석: 2000년대 135
3) 『1984』의 연관어 분석: 2010년대 138
4) 〈GMO〉의 연관어 분석: 1990년대 141
5) 〈GMO〉의 연관어 분석: 2000년대 144
6) 〈GMO〉의 연관어 분석: 2010년대 146
제4절 분석결과 요약 및 함의 148
제6장 결론 151
제1절 연구 요약 151
제2절 〈1984〉와 〈GMO〉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연구의 의의 153
1. 〈1984〉와 〈GMO〉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연구의 함의 153
2. 〈1984〉와 〈GMO〉 사이의 새로운 융기, 기술적 헤테로토피아 155
제3절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 161
부록: 『1984』와 〈GMO〉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작품표현 163
참고문헌 209
일러두기 215
영문 요약(Abstract) 216
[표 1] 『1984』와 〈GM0〉의 공통된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와 이후의 필요성 19
[표 2]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그림 이미지 개념과 현대 사상가들의 연결성 28
[표 3] 파노프스키의 아이코놀로지 3단계 해석 31
[표 4] 주요 사상가들의 이미지 해석에 관한 입장과 개념적 차이 41
[표 5] 다변수함수(Multivariate function)를 통한 시각경험 공식 48
[표 6] 마르크스주의적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의 차이 55
[표 7] 냉전 이후 『1984』의 변화된 사회적 이미지 73
[표 8] 〈GMO〉 WNET(N.Y) Live version의 Sequence 7 가운데 11'24"~13'20"사이의 Scene 83
[표 9] 〈GMO〉 WNET Live version의 Sequence 13가운데 27'46"~28'01"사이의 Scene 85
[표 10] 〈GMO〉 WNET Live version의 Sequence 19 가운데 46'54"~47'24"사이의 Scene 88
[표 11] 시간적 상태의 숭고 비틀기와 시각적 상태의 숭고 비틀기 이미지 연출 표 90
[표 12] 『1984』와 〈GMO〉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에 관한 표 99
[표 13] 『1984』와 〈GMO〉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에 관한 표 99
[표 14] 표집자료의 데이터 세트 및 정형화 방법 101
[표 15] 데이터 세트 및 정형화 방법과 구분(밝은 파란색-데이터 있음 / 밝은 빨간색-데이터 부분 손실) 102
[표 16] 분류변수(classification variables) 설정 103
[표 17] 분류변수(classification variables) 설정을 통한 데이터 세트(Data Set)와 조사 사례 107
[표 18] 원시자료 조사 및 조사방법 108
[표 19] 상관계수의 비례 값 110
[표 20] 『1984』와 〈GMO〉 키워드의 전체 사용추이 111
[표 21] 『1984』의 Structured SVM 조사를 위한 전체 컬러 인덱스 표와 가중치 113
[표 22] 『1984』의 Structured SVM 조사를 위한 컬러 인덱스 표와 가중치-1990년대 116
[표 23] 『1984』의 Structured SVM 조사를 위한 컬러 인덱스 표와 가중치-2000년대 118
[표 24] 『1984』의 Structured SVM 조사를 위한 컬러 인덱스 표와 가중치-2010년대 120
[표 25] 〈GMO〉의 Structured SVM 조사를 위한 컬러 인덱스 표와 가중치-1990년대 122
[표 26] 〈GMO〉의 Structured SVM 조사를 위한 컬러 인덱스 표와 가중치-2000년대 124
[표 27] 〈GMO〉의 Structured SVM 조사를 위한 컬러 인덱스 표와 가중치-2010년대 126
[표 28] 『1984』와 〈GMO〉의 연관어 조사 결과(연관가중치) / 회색은 데이터 클렌징을 위해 결측시킴 130
[표 29]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 조사 결과-1990년대 132
[표 30]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 조사 결과-2000년대 135
[표 31]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 조사 결과-2010년대 138
[표 32]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 조사 결과-1990년대 141
[표 33]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 조사 결과-2000년대 144
[표 34]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 조사 결과-2010년대 146
[표 35] 기술적 디스토피아와 기술적 유토피아, 그리고 기술적 헤테로토피아의 개념 155
[표 36] 백남준과 푸코를 통한 새로운 담론 156
[표 37] 〈GMO〉 WNET Live version의 Sequence 20 가운데 26'54"~29'34"사이의 Scene 158
[그림 1] 〈GMO〉, 제2 시퀀스 0'22" / WNET(NY) 생방송 버전 13
[그림 2] 1983년 11월 28일 타임지 커버 15
[그림 3] 『1984』와 〈GMO〉의 인용 추이 / 기간 : 1990.1.1.~2020.10.15. 16
[그림 4] 『1984』와 〈GMO〉의 공통점과 차이점, 이후의 방향성 23
[그림 5] 아리스토텔레스 4가지 관계와 바르트의 3가지 관계 도식 27
[그림 6] 자스트로우의 토끼-오리 그림 30
[그림 7] 파노프스키의 아이코놀로지를 통한 이미지 축출 31
[그림 8] 자크 랑시에르의 이미지, 유사성, 원-유사성에 관한 삼각형 도식 35
[그림 9] Joseph Kosuth, One and Three Chairs, 1965, MOMA 37
[그림 10] 디지털로 복원된 생명체 위에 디지털 코드가 빔으로 투영된 〈쥬라기 공원〉의 '메타 픽처' 사례 39
[그림 11] 외젠 들라크루아(Eugène Delacroix)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1830년 작 44
[그림 12] 카메라 옵스큐라와 도상이 맺히는 원리 핀홀(C)로 들어온 대상(A, B, D)이 카메라 옵스큐라의 막에 비치면서 전도됨 46
[그림 13] 매체로 인해 전도된 형상과 관찰 주체의 이데올로기적 해석 발생 도식 47
[그림 14] 매체가 만든 형상의 막(스크린)이 확대 재생산 되면서 스펙타클의 이데올로기를 만들고 그 대상을 바라볼(seeing as) 수 없게 역-전도시키는 도식 49
[그림 15] 시대변화에 따른 기술-디스토피아적 전체주의자인 빅 브라더의 '변화된 이미지' 55
[그림 16] 『1984』와 〈GMO〉의 공통점과 차이점 57
[그림 17] '이미지'와 '이데올로기'의 공통점과 차이점 59
[그림 18] 신간 『1984』출판을 알리는 New York Times 지면 기사. 1949,6.13. 63
[그림 19] 애플사의 '매킨토시 128K' 선전을 위한 "1984 Super Bowl" 광고의 한 장면 67
[그림 20] 미국의 TV 호스트 Joy Reid가 『1984』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비판한 트위터 69
[그림 21] 'YTN 언론인 해직사태' 이후 2,248일 만에 부분 복직이 이루어진 '출근길 집회 행사'에서 전국언론노동조합 YTN 지부 조합원들이 『1984』를 기반으로 한 작품설명을 하는 장면 72
[그림 22] 동아일보 "白南準씨 출연 3개국 宇宙우주쇼 내년 1월 2일 새벽 KBS서 중계". 1983.12.23. 75
[그림 23] 백남준이 아베에게 보낸 1983년 6월자 엽서 서신 76
[그림 24] 〈GMO〉의 시퀀스 9의 존 케이지 사운드 퍼포먼스 79
[그림 25] 〈GMO〉 Sequence 7. 12'20"(좌) / 12'26"(우) 82
[그림 26] 〈GMO〉 Sequence 13, 27'46"~18'00" 음식을 먹고 있던 빅 브라더는 카메라가 자신을 비추자 먹고 있던 음식을 급하게 감춘다.... 86
[그림 27] 〈GMO〉 Sequence 19, 46'54"~47'24" 퇴근 시간을 기다리는 빅 브라더와 출근 하는 빅 브라더 87
[그림 28] 마이클 래드포드(Michael Radford) 감독의 영화 작품 〈1984〉 89
[그림 29] 시간적 상태의 숭고 비틀기와 시각적 상태의 숭고 비틀기 이미지 연출 그림 90
[그림 30] 백남준의 로봇 〈K-456〉과 인류 최초의 로봇 교통사고 장면 92
[그림 31] 『1984』와 〈GMO〉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 연구의 조사와 분석에 관한 구성도 97
[그림 32] 분류변수(classification variables)로 취합된 본 연구자의 엑셀(Excel) 화면 103
[그림 33] 분류변수(classification variables)로 취합된 엑셀(Excel) 화면 확대 104
[그림 34] "조지 오웰"과 『1984』의 연도별 인용빈도 추이 및 상관성 109
[그림 35] "백남준"과 〈GMO〉의 연도별 인용빈도 추이 및 상관성 111
[그림 36] 『1984』와 관계된 명사상당어구 네트워크 시각화-1990년대 116
[그림 37] 『1984』와 관계된 명사상당어구 네트워크 시각화-2000년대 118
[그림 38] 『1984』와 관계된 명사상당어구 네트워크 시각화-2010년대 120
[그림 39] 〈GMO〉와 관계된 명사상당어구 네트워크 시각화-1990년대 122
[그림 40] 〈GMO〉와 관계된 명사상당어구 네트워크 시각화-2000년대 124
[그림 41] 〈GMO〉와 관계된 명사상당어구 네트워크 시각화-2010년대 126
[그림 42]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bar chart 시각화-1990년대 133
[그림 43]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area chart 시각화-1990년대 133
[그림 44] 『1984』키워드의 월간 활용 추이-1990년대 134
[그림 45]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bar chart 시각화-2000년대 136
[그림 46]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area chart 시각화-2000년대 136
[그림 47] 『1984』 키워드의 월간 활용 추이-2000년대 137
[그림 48]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bar chart 시각화-2010년대 139
[그림 49] 『1984』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area chart 시각화-2010년대 139
[그림 50] 『1984』키워드의 월간 활용 추이-2010년대 140
[그림 51]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bar chart 시각화-1990년대 142
[그림 52]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area chart 시각화-1990년대 142
[그림 53] DMZ 2000-새천년 통일기원제, 1999, MBC 143
[그림 54]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bar chart 시각화-2000년대 145
[그림 55]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area chart 시각화-2000년대 145
[그림 56]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bar chart 시각화-2010년대 147
[그림 57] 〈GMO〉의 사회적 의미 연관어 분석에 대한 area chart 시각화-2010년대 147
[그림 58] 카메라 옵스큐라에 적용한 빅 브라더의 변화된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들 153
[그림 59] Topology의 변화과정과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의 피드백 루프 154
[그림 60] 〈GMO〉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헤테로토피아'의 가능성 157
[그림 61] 『1984』와 〈GMO〉의 차이와 〈GMO〉를 통한 내재적 초월의 가능성 158
[그림 62] 〈GMO〉를 기반한 '기술적 헤테로토피아'의 가능성 159
본 연구는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디스토피아 소설 『1984』와 그것을 비판적으로 해석한 백남준의 인공위성 작품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하 〈GMO〉로 표기)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기술 친화 대 혐오로 양분되는 오늘날의 기술 대립적 논쟁에 접근하기 위하여 『1984』와 〈GMO〉가 상징하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가 사회 환경적·구조적 변화로 인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실증적으로 고찰해, 새로운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의 가능성 모색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1984』와 〈GMO〉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변화를 살펴보고자 이미지의 전통적 견해와 근대적·현대적 논의를 알아보고, 이데올로기의 기원과 마르크스-엥겔스(Marx-Engels)의 이데올로기(ideology) 논의 및 근대적 논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순수한 형태(motif)를 해석하는 파노프스키(Erwin Panofsky)의 1단계적 아이코놀로지(iconology)를 비판하여, 알레고리와 스토리가 교차하는 3단계적 아이코놀로지로부터 이미지성을 축출한 다음, 현대의 시각성(visuality)으로부터 이타적 이미지를 분리하는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의 개념과 의식이 곧 이미지라는 사르트르(Jean-Paul Sartre) 및 미첼(W. J. T Mitchell) 등의 견해를 반추하여 '이미지의 현재성'을 구축하고자 했다. 또 계급투쟁으로써의 '마르크스주의적 이데올로기'와 구분하기 위하여 이미지 자체가 이미지를 지시하는 오늘날의 이미지를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로 정의한 다음, 『1984』와 〈GMO〉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정립해 고찰했다. 그런 다음 이 연구의 동인이 되는 1989년 11월에 발생한 베를린 장벽 붕괴와 1990년 독일 재통일 그리고 1991년 12월에 벌어진 인류 역사상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의 해체에 주목한 이후, 그 동안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사용되었던 『1984』와 그의 비판으로 만들어진 〈GMO〉의 사회적 관심 및 활용을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로 대입하여 1990년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지난 30여 년 동안 '이데올로기적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질적, 양적으로 조사해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선정한 국내 54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지난 199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0월 15일까지 수집한 정형화 된 데이터를 표집자료로 삼아 형태소 분석, 개체명 분석, 네트워크 분석, 명사상당어구로 구조화 된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석 그리고 연구자가 입력한 질의어 기반의 검색 결과에 관한 공시적 분석과 동적 워드 클러스터링 작용방식인 토픽랭크(topic rank)를 이용한 알고리즘 분석 등을 기반으로 마르크스주의 및 스탈린주의적 이데올로기 소멸 이후의 『1984』와 〈GMO〉에 관한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를 연구문제 3가지로 제시한 다음 양적으로 추적·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1984』와 〈GMO〉 사이에 흐르는 공통된 정치 이데올로기인 반(反)스탈린주의와 반(反)공산주의는 1990년대 이전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에서 1990년대 이후 기술적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로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가운데 『1984』는 기존 정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에서 기술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로의 변화가 뚜렷했고, 〈GMO〉은 TV와 비디오 등 기존 매체 중심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에서 기술을 활용한 감시 이데올로기로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간 조지 오웰의 『1984』와 백남준의 〈GMO〉에 관한 이데올로기적 이미지의 정의 및 사회적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양적 조사가 존재하지 않았던 상황에서 그 문제와 분석의 호혜적 가능성을 고찰할 수 있었던 기초가 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자는 전술된 이론 및 연구결과 등을 바탕으로 『1984』의 기술적 디스토피아와 〈GMO〉의 기술적 유토피아에 관한 대립 이후를 탐색하고자했다. 이를 위해 〈GMO〉에 내포된 시간·소리·선적인 깨달음을 바탕으로 백남준의 혼성(hetero)기술·파르마콘·이중회귀 등의 개념을 '기술적 헤테로토피아'에 적용·정의하여 『1984』와 〈GMO〉 사이에 융기시킨 다음, 보다 인간적인 이데올로기 이미지의 제안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본 연구를 마쳤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