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Ⅰ. 머리말 5
Ⅱ. 高麗 後期 地藏十王圖의 현황과 제작 배경 11
1. 작품 현황 11
2. 제작 배경 19
1) 地藏菩薩·十王信仰의 성행 19
2) 시대적 배경 31
Ⅲ. 高麗 後期 地藏十王圖의 圖像 37
1. 地藏十王圖 圖像의 構成 37
1) 地藏菩薩, 道明尊者, 無毒鬼王 38
2) 十王과 諸眷屬 58
2. 圖像의 成立 92
1) 唐代 以前의 地獄變相 92
2) 唐代 以後 中國의 地藏十王圖와 十王經圖卷 96
3. 地藏十王圖 圖像의 高麗化 110
1) 奉安方式과 圖像의 差別化 111
2) 圖像의 變容 121
Ⅳ. 高麗 後期 地藏十王圖의 樣式 134
1. 圖像 構成의 保守性 134
2. 畵風과 同時期 佛畫와의 共有 145
1) 표현기법 145
2) 문양 158
3) 채색 167
3. 모티프의 차용 171
4. 構成의 差別化 178
Ⅴ. 高麗 後期 地藏十王圖의 繼承과 圖像의 多樣性 183
1. 地藏十王圖의 繼承 184
2. 새로운 圖像의 出現 194
3. 圖像의 擴張 200
1) 地藏十王·地獄變相圖 200
2) 三藏菩薩圖 203
Ⅵ. 맺음말 207
參考文獻 211
圖版 251
附錄 298
[附錄-1] 현존 高麗時代 地藏善薩圖 목록 298
[附錄-1] 현존 高麗時代 阿彌院佛畵 가운데 地藏菩薩이 등장하는 사례 목록 300
Abstract 302
[삽도-1] 日本 京都 知恩院 소장의 〈地藏十王圖〉의 화기 부분 16
[삽도-2] 반가좌와 유희좌의 자세 비교 44
[삽도-3] 돈황, 영파 지역 지장보살도에서 나타나는 도명존자 50
[삽도-4] 고려 〈顔修十王生七經變相圖〉에서 등장하는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56
[삽도-5] 기메박물관 소장 〈지장시왕도〉의 시왕 부분 62
[삽도-6] 돈황 지장시왕도와 고려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의 도상 비교 65
[삽도-7] 중국 돈황의 지장시왕도와 시왕경변상도의 판관 68
[삽도-8] 중국 남송-원대 〈시왕도〉의 판관 69
[삽도-9] 국보 206-10호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에서의 판관과 사자 70
[삽도-10] 〈지장시왕도〉, 〈시왕경도권〉의 기마형 使者 72
[삽도-11] 지장시왕도에서 東向法의 사천왕 배치법(베를린동양박물관 소장) 77
[삽도-12] 지장시왕도의 남방 증장천왕(베를린동양박물관 소장) 79
[삽도-13] 돈황 출토 『道明和尙還魂記』의 부분 84
[삽도-14] 〈지장시왕도〉의 금모사자(기메박물관 소장) 87
[삽도-15] 後漢時代 墓堂의 배치구조 89
[삽도-16] 四川省 大足 寶頂山 大佛灣 지옥변상의 구조 106
[삽도-17] 중국 〈十王圖〉의 봉안방식 추정(일본 奈良國立博物館 소장) 107
[삽도-18] 山西省 平遙懸 雙林寺 閣王殿 내부 地藏·十王像의 배치 108
[삽도-19] 중국과 고려 지장시왕도 도상의 구성 차이 113
[삽도-20] 고려 후기 지장삼존도 ⇒ 지장시왕도 도상의 확대 사례 116
[삽도-21] 중국 지장시왕도, 시왕도와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 비교 118
[삽도-22] 돈황 지장시왕도와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 도상의 비교 121
[삽도-23] 靜嘉堂文庫美術館과 華藏院 소장 〈지장시왕도〉의 지장보살 비교 122
[삽도-24]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의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도상 비교 123
[삽도-25] 寶島寺本, 知恩院本, 華藏院本의 하단 판관과 사자의 모습 126
[삽도-26]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의 선악동자 도상 128
[삽도-27] 寶島寺本, 知恩院本, 華藏院本에서의 옥졸짐승의 모습 130
[삽도-28] 고려 후기 지장독존도의 도상 비교 135
[삽도-29] 베를린박물관 소장본과 호림박물관 소장본의 도상 비교 136
[삽도-30] 베를린박물관本, 호림박물관本, 靜嘉堂文庫本 지장보살 비교 137
[삽도-31] 베를린박물관, 호림박물관, 日光寺本, 靜嘉堂文庫本 十王의 비교 138
[삽도-32] 知恩院本과 華藏院本의 도상의 구성 비교 140
[삽도-33] 知恩院, 華藏院, 寶島寺 소장 〈지장시왕도〉의 도상 비교 142
[삽도-34] 日光寺本 〈지장시왕도〉의 부분(오도전륜대왕) 143
[삽도-35] 日光寺本 지장시왕도와 지장독존도 간의 상호 표현 비교 146
[삽도-36]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 지장보살 상호 비교 147
[삽도-37] 고려후기 지장시왕도와 타 고려불화와의 상호표현 비교 148
[삽도-38] 고려후기 지장시왕도에서 두건 표현의 비교 I 149
[삽도-39] 고려후기 지장시왕도에서 두건 표현의 비교 II 150
[삽도-40]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의 대의 표현의 공유 151
[삽도-41]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의 영락과 금구 장식 표현의 공유 152
[삽도-42] 고려 지장시왕도의 寶珠와 수월관음도의 염주 표현의 비교 153
[삽도-43]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 대좌의 연화장식의 표현 비교 154
[삽도-44]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 시왕의 표현 155
[삽도-45] 지장시왕도에서 직부사자 표현방식의 비교 156
[삽도-46]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 대의의 연화당초원문 비교 159
[삽도-47] 베를린박물관本과 타 고려불화의 연화당초원문 비교 159
[삽도-48] 지장시왕도와 타 고려불화의 연화당초원문 비교 160
[삽도-49]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의 지장보살 袈裝 條部의 당초문 비교 161
[삽도-50]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의 기타 문양 162
[삽도-51]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 시왕과 諸眷屬의 문양 163
[삽도-52]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 직부사자 의복의 문양 166
[삽도-53]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 보이는 이중채색 기법 168
[삽도-54] 일반 사진과 X선 사진의 비교(華藏院本) 169
[삽도-55] 華藏院本과 聖澤院·靜嘉堂文庫本 〈帝釋天圖〉 비교 171
[삽도-56] 고려후기 지장시왕도에서의 각 모티프 차용 173
[삽도-57]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 사천왕·제석·범천도상의 차용 175
[삽도-58] 직부사자와 감재사자 모티프의 공유 사례 176
[삽도-59] 남송-고려 지장보살도의 상호 표현 비교 179
[삽도-60] 중국-고려 지장보살도 시왕과 권속들의 표현 비교 179
[삽도-61]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에서 드러나는 개성적인 표현 181
[삽도-62] 日本 光明寺 소장 〈地藏十王圖〉의 화기 부분 187
[삽도-63] 고려 후기 지장시왕도 도상의 계승 188
[삽도-64] 고려후기와 조선전기 지장시왕도 권속 표현 비교 191
[삽도-65] 조선 전기 지장시왕도에 등장하는 구름 표현 199
(圖 1) 魯英 筆 〈지장보살도〉, 1307년, 묵칠목판금니, 21.0 x 12.0cm, 국립중앙박물관. 251
(圖 2)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111.0 x 43.5cm, 일본 善導寺. 252
(圖 3)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102.5 x 40.0cm, 일본 中宮寺. 252
(圖 4)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81.7 x 29.4cm, 일본 朝護孫子寺. 252
(圖 5)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107.6 x 45.3cm, 일본 根津美術館. 252
(圖 6)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105.1 x 43.9cm, 일본 德川美術館. 252
(圖 7)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84.5 x 36.8cm, 미국 프리어 갤러리. 252
(圖 8)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84.5 x 36.8cm,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253
(圖 9)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78.8 x 38.2cm, 미국 보스턴미술관. 253
(圖 10)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143.4 x 78.5cm, 일본 養壽寺. 253
(圖 11)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102.8 x 43.2cm, 일본 개인소장. 253
(圖 12) 〈지장삼존도〉, 고려, 견본채색, 239.4 x 130.0cm, 일본 圓覺寺. 253
(圖 13) 〈지장삼존도〉, 고려, 견본채색, 98.8 x 50.2cm, 한국 개인. 253
(圖 14) 〈지장시왕도〉, 고려, 견본채색, 116.4 x 58.9cm, 일본 日光寺. 254
(圖 15) 〈지장시왕도〉, 고려, 견본채색, 116.3 x 62.8cm, 일본 寶島寺. 254
(圖 16) 〈지장시왕도〉, 1320년, 견본채색, 156.1 x 85.1cm, 일본 知恩院. 254
(圖 17) 〈지장시왕도〉, 고려, 견본채색, 115.0 x 58.8cm, 일본 華藏院. 254
(圖 18) 〈지장시왕도〉, 고려, 견본채색, 143.5 x 55.9cm, 일본 靜嘉堂文庫美術館. 254
(圖 19) 〈지장시왕도〉, 고려, 견본채색, 109.0 x 56.5cm, 독일 베를린동양박물관. 254
(圖 20) 〈지장시왕도〉, 고려, 견본채색, 175.0 x 52.0cm, 호림박물관. 255
(圖 21) 〈지장보살좌상〉, 초당, 높이 225.0cm, 영하 수미산 석굴 105굴. 255
(圖 22) 〈지장보살도〉, 성당, 돈황 제 45굴 서벽 감실. 255
(圖 23) 〈관음·지장병립도〉, 중당, 돈황 제 45굴 동벽 북문. 255
(圖 24) 돈황 출토 〈지장보살도(EO.1168)〉, 당, 견본채색, 53.0 x 14.0cm, 프랑스 기메박물관. 256
(圖 25) 돈황 출토 〈지장보살도(Stein 125)〉, 오대, 견본채색, 58.0 x 18.5cm, 런던 영국박물관. 256
(圖 26) 〈지장보살도〉, 당, 견본채색, 83.8 x 18.0,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256
(圖 27) 〈지장보살좌상〉, 당 7-8세기, 높이 318.0cm, 요현 약왕산 석굴. 256
(圖 28) 〈팔대보살만다라경변상도〉, 당 8-9세기, 안서 유림 제 25굴. 256
(圖 29) 〈西院本 양계만다라(태장계)〉, 헤이안 9세기, 183.6 x 164.2cm, 일본 東寺. 257
(圖 30) 『별존잡기』의 지장보살부분 257
(圖 31) 〈지장보살좌상〉, 통일신라 8세기, 높이 89.0cm, 경주 석굴암. 257
(圖 32) 〈마애지장보살상〉, 통일신라, 높이 90.0cm, 경주 낭산 중생사. 258
(圖 33) 〈석조여래좌상〉, 통일신라, 높이 87.0cm, 영주 부석사 자인당. 258
(圖 34) 〈마애지장보살상〉, 고려 10세기, 높이 500.0cm, 보은 법주사. 259
(圖 35) 〈금동지장보살좌상〉 고려, 높이 96.9cm, 고창 선운사 도솔암. 259
(圖 36) 〈대리국범상권 지장보살부분〉, 대리국 12세기, 지본채색, 30.4 x 1900.0cm, 대만 古宮博物院. 259
(圖 37) 〈금동지장보살좌상〉, 당 7-8세기, 높이 11.0cm, 대만 古宮博物院. 259
(圖 38) 〈금동지장보살좌상〉, 당 8세기, 높이 11.0cm, 미국 시카고 미술관. 260
(圖 39) 돈황 출토 〈지장보살도(Ch.0084)〉, 오대, 견본채색, 55.5 x 39.8cm, 런던 영국박물관. 260
(圖 40) 돈황 출토 〈지장보살도(Ch.lviii.003)〉, 963년, 견본채색, 56.1 x 51.5cm, 런던 영국박물관. 261
(圖 41) 돈황 출토 〈지장삼존도〉, 북송, 견본채색, 106.6 x 58.1cm, 미국 프리어갤러리. 261
(圖 42) 陸信忠 筆 〈지장보살도〉, 남송, 견본채색, 87.3 x 52.0cm, 일본 廬山寺. 262
(圖 43) 국보 제206-10호 〈불설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 1246년, 목판본, 각 20.5 x 59.9cm, 합천 해인사. 262
(圖 44) 돈황 출토 〈예수시 왕생 칠경 변상도(S.3961))〉, 오대, 29.0 x 491.0cm, 영국 도서관 소장. 263
(圖 45) 돈황 출토 〈지장시왕도(MG.17662)〉, 983년, 견본채색, 225.0cm x 129.0cm, 프랑스 기메박물관 소장. 263
(圖 46) 돈황 출토 〈지장시왕도(MG.17795)〉, 10세기, 견본채색, 84.0 x 53.6cm, 프랑스 기메박물관 소장. 263
(圖 47) 陸信忠 筆 〈시왕도(제5염라왕)〉, 남송 13세기, 견본채색, 83.2 x 47.0cm, 일본 奈良國立博物館 소장. 263
(圖 48) 陸信忠 筆 〈시왕도(제10오도전륜왕)〉, 남송 13세기, 絹本彩色, 83.2 x 47.0cm, 일본 奈良國立博物館 소장. 264
(圖 49) 〈시왕도(제5염라왕)〉, 남송, 견본채색, 62.0 x 45.2cm, 국립중앙박물관. 264
(圖 50) 〈시왕도(제8평등왕)〉, 남송, 견본채색, 62.7 x 45.3cm, 국립중앙박물관. 264
(圖 51) 〈시왕도(제10오도전륜왕)〉, 남송, 견본채색, 62.0 x 45.4cm, 국립중앙박물관. 264
(圖 52) 돈황 출토 〈시왕경도권〉, 오대-북송, 지본채색, 29.0 x 1281.0cm, 일본 久保惣記念美術館. 265
(圖 53) 〈시왕도(제5염라왕)〉, 남송, 견본채색, 111.8 x 47.6cm,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265
(圖 54) 陸信忠筆 〈지장시왕도〉, 남송 13세기, 견본채색, 120.2 x 52.6cm, 일본 弘川寺. 265
(圖 55) 〈발우를 바치는 사천왕〉, 1-3세기, 높이 32.5cm, 라호르박물관. 266
(圖 56) 〈지장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104.3 x 55.6cm, 삼성 미술관 리움. 266
(圖 57) 〈돈황 제 285굴 서벽의 사천왕〉, 서위, 돈황 막고굴. 266
(圖 58) 〈행도천왕도〉, 오대, 견본채색, 37.6 x 26.6cm, 런던 영국박물관. 267
(圖 59) 〈兜跋毘沙門天像〉, 당, 높이 189.4cm, 일본 東寺 267
(圖 60)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 고려, 높이 274.0cm, 경북대학교 박물관. 267
(圖 61)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9세기, 높이 4.8m, 국립진주박물관. 268
(圖 62) 〈도리천에서 내려오는 붓다〉, 1세기, 36.0 x 34.0cm, 스와트박물관. 268
(圖 63) 〈열반도 "螺髻梵王 " 부분〉, 중당, 돈황 막고굴 제 158굴 서벽. 268
(圖 64) 청주 사뇌사지 출토 〈청동금강령〉, 고려 13세기, 높이 27.4cm, 국립청주박물관. 269
(圖 65) 〈부석사 조사당 벽화〉, 고려, 토벽채색, 각 205.0 x 75.0cm, 영주 부석사. 269
(圖 66)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 일본 무로마치, 일본 高野山 聖壽院. 270
(圖 67) 〈관음·지장병립상과 사자〉, 남향당산 제1굴, 중국 河北省. 270
(圖 68) 〈아쇼카왕 석주 주두 부분〉, 기원전 3세기 후반, 높이 213.5cm, 인도 사르나트 출토, 인도 사르나트 고고박물관. 271
(圖 69) 河南省 南陽宛城區英莊墓 출토 〈사자〉, 후한, 42.0 x 163.0cm, 南陽漢畫館. 271
(圖 70) 〈금동선정인여래좌상〉, 3-4세기, 높이 32cm, 하버드 대학교 새클러박물관. 271
(圖 71) 〈梁 蕭景墓 石柱〉, 양, 江蘇省 南京 271
(圖 72) 돈황 출토 〈불설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Ch.cii.001)〉, 오대 10세기, 27.8 x 239.9cm, 런던 영국도서관. 272
(圖 73) 〈사자도〉, 당, 지본묵선, 29.8 x 42.8cm, 런던 영국박물관. 272
(圖 74) 〈팔대보살만다라경변상도 노사나불 대좌의 사자 부분〉, 중당, 토벽채색, 유림 제 25굴. 272
(圖 75) 〈사자상〉, 통일신라, 경주 원성왕릉. 273
(圖 76) 〈청자사자연적〉, 고려, 높이 21.2cm, 국립중앙박물관. 273
(圖 77) 〈오취생사륜도〉, 5세기 말, 아잔타 석굴 제 17굴. 273
(圖 78) 〈키질석굴 지옥변상〉, 5세기, 토벽채색, 50.0 x 26.0 cm, 베를린 아시안아트뮤지엄. 274
(圖 79) 마왕퇴 출토 〈軟候妻墓旌幡〉, 서한, 높이 205cm, 호남성 박물관. 274
(圖 80) 마왕퇴 출토 〈黑地彩繪漆棺〉, 서한, 높이 118cm, 호남성 박물관. 274
(圖 81) 〈석조여래입상〉, 수대, 높이 151.3cm, 미국 프리어갤러리. 275
(圖 82) 〈자중현 서암 제89감 지옥변상〉, 893년, 중국 四川省. 276
(圖 83) 〈安岳 聖泉寺 제1감 지옥변상〉, 오대, 중국 四川省. 276
(圖 84) 〈安岳 圓覺洞의 제60호감 지옥변상〉, 오대, 중국 四川省. 276
(圖 85) 〈육도윤회와 지옥도〉, 베제클릭 18굴, 9-10세기. 277
(圖 86) 〈불설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 투르판 위구르 10-11세기, 마본채색, 131.0 x 94.0cm, 베를린 아시안아트뮤지엄 277
(圖 87) 〈마니교 경전 단편〉, 8-9세기, 紙本彩色, 8.2 x 11.0 cm, 베를린 아시안아트뮤지엄. 277
(圖 88) 돈황 출토 〈아미타정토도·지장시왕도(EO.3580)〉, 10세기, 견본채색, 128.0 x 69.0cm, 프랑스 기메박물관. 277
(圖 89) 돈황 출토 〈천수관음·지장시왕도(EO.3644)〉, 오대, 마본채색, 124.0 x 59.0cm, 프랑스 기메박물관 278
(圖 90) 돈황 출토 〈지장시왕도 (Ch.0021)〉, 오대, 견본채색, 91.0 x 65.5cm, 영국박물관. 278
(圖 91) 돈황 출토 〈지장시왕도(Ch.lxi.009)〉, 오대, 견본채색, 48.1 x 44.1cm, 런던 영국박물관. 278
(圖 92) 돈황 출토 〈지장시왕도(MG.17793)〉, 오대, 견본채색, 89.0 x 54.8cm, 프랑스 기메박물관. 278
(圖 93) 돈황 출토 〈천수관음·지장시왕도(E0.1173)〉. 10세기, 마본채색, 125.0 x 50.0cm, 프랑스 기메박물관. 279
(圖 94) 〈유림 제 33굴 지옥변상〉, 오대, 안서유림굴 279
(圖 95) 돈황 출토 〈시왕경도권(Pelliot 2003)〉 10세기 후반, 지본채색, 세로 30.0cm, 프랑스 국립도서관. 279
(圖 96) 〈대족 보정산 대불만 제20감 지옥변상〉, 남송, 중국 四川省. 280
(圖 97) 〈쌍림사 시왕상〉, 남송, 높이 각 130-135cm, 중국 山西省 平遙懸. 280
(圖 98) 〈시왕도(제4오관왕)〉, 원말명초, 견본채색, 142.8 x 61.2cm, 일본 靜嘉堂文庫美術館. 281
(圖 99) 〈시왕도(제1진광왕)〉, 남송, 견본채색, 61.5 x 45.0cm, 하버드 대학교 새클러 박물관 소장. 281
(圖 100) 〈시왕도(제4오관왕)〉, 남송, 견본채색, 61.2 x 45.0cm,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281
(圖 101) 〈시왕도(제9도시왕)〉, 남송, 견본채색, 61.9 x 45.0cm, 미국 덴버미술관 소장. 281
(圖 102) 보물 734-3호 〈불설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 고려, 목판본, 각 20.5 x 59.9cm, 합천 해인사. 282
(圖 103) 〈금동시왕상〉, 고려, 높이 25.2cm, 동국대학교 박물관. 282
(圖 104) 〈지장시왕도〉, 북송 10세기, 견본채색, 137.0 x 55.0cm, 프랑스 기메박물관. 282
(圖 105) 〈지장시왕도〉, 가마쿠라, 견본채색, 100.9 x 51.5cm, 일본 能滿院. 283
(圖 106) 〈지장시왕도〉, 가마쿠라, 견본채색, 88.0 x 39.6cm, 미국 프리어갤러리. 283
(圖 107) 〈지장시왕도〉, 가마쿠라, 견본채색, 83.5 x 38.2cm, 일본 逸翁美術館. 283
(圖 108) 〈十界圖(지장시왕지옥도)〉, 가마쿠라, 紙本彩色, 133.4 x 125.4cm, 일본 禪林寺. 283
(圖 109) 돈황 출토 〈관음보살도〉, 오대, 견본채색, 88.0 x 58.6cm, 미국 보스턴미술관. 284
(圖 110) 일본 盧山寺 소장 〈지장보살도〉의 선악동자 부분. 284
(圖 111) 蘇漢臣 筆, 〈百童子圖〉, 남송, 28.7 x 31.2cm,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284
(圖 112) 돈황 출토 〈시왕경도권〉의 "옥졸짐승" 부분 285
(圖 113) 〈아미타여래도〉, 고려, 견본채색, 163.0 x 87.0cm, 일본 玉林院. 285
(圖 114) 〈천수천안관음도〉, 고려, 견본채색, 93.4 x 51.1cm, 개인 소장. 285
(圖 115) 〈수월관음도〉, 고려, 견본채색, 114.5 x 55.6cm,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285
(圖 116) 〈아미타여래도〉, 1286년, 견본채색, 203.5 x 105.1cm, 일본 島津家 舊藏. 285
(圖 117) 〈아미타삼존도〉, 1330년, 견본채색, 119.4 x 64.2cm, 일본 法恩寺. 286
(圖 118) 〈아미타팔대보살도〉, 고려, 견본채색, 143.0 x 87.0cm, 일본 德川美術館. 286
(圖 119) 〈아미타여래도〉, 고려, 견본채색, 184.0 x 86.5cm, 일본 正法寺. 286
(圖 120) 〈아미타여래도〉, 고려, 견본채색, 104.0 x 46.0cm, 프랑스 기메박물관. 286
(圖 121) 〈관음·지장보살병립도〉 고려, 견본채색, 각 105.9 x 36.4cm, 일본 南法華寺. 286
(圖 122) 〈제석천도〉, 고려, 견본채색, 97.9 x 54.5cm, 일본 聖澤院. 286
(圖 123) 〈제석천도〉, 고려, 견본채색, 116.6 x 52.8cm, 일본 靜嘉堂文庫美術館. 287
(圖 124) 〈宋太祖肖像〉, 북송, 견본채색, 191.0 x 169.7cm, 대만 古宮博物院. 287
(圖 125) 〈章獻明肅皇后肖像〉, 북송, 견본채색, 172.1 x 165.3cm, 대만 古宮博物院. 287
(圖 126) 〈소조나한상〉, 고려, 塑造, 높이 17.5cm, 동국대학교 박물관. 287
(圖 127) 〈제357 의통존자도〉, 1235-6년 견본수묵담채, 52.8 x 36.8cm, 국립중앙박물관. 288
(圖 128) 〈석가삼존십육나한도〉, 고려, 견본채색, 90.0 x 44.5cm, 일본 根津美術館. 288
(圖 129) 〈원각경변상도〉, 고려, 견본채색, 165.5 x 85.5cm, 미국 보스턴미술관. 288
(圖 130) 〈미륵하생경변상도〉, 1294년, 견본채색, 227.2 x 129.0cm, 일본 妙滿寺. 288
(圖 131) 〈미륵하생경변상도〉, 1350년, 견본채색, 178.0 x 90.3cm, 일본 親王院. 289
(圖 132) 〈석가삼존십육나한도〉, 고려, 견본채색, 93.0 x 46.2cm, 개인 소장. 289
(圖 133) 〈시왕도(제4오관대왕)〉, 1532-56년, 麻本彩色, 각 87.5 x 59.0cm, 일본 寶性寺 소장. 289
(圖 134) 〈진광대왕도〉, 15-16세기, 견본채색, 87.0 x 56.0cm, 일본 善通寺. 289
(圖 135) 〈평등대왕도〉, 16세기, 마본채색, 각 93.6 x 52.0cm, 독일 쾰른 동아시아박물관. 290
(圖 136) 〈지장시왕도〉, 1562년, 絹本彩色, 95.2 x 85.4cm, 일본 光明寺. 290
(圖 137) 〈지장시왕도〉, 1582년, 마본채색, 114.0 x 103.5cm, 일본 誕生寺. 290
(圖 138) 〈지장시왕도〉, 1546년, 마본채색, 138.1 x 128.3cm, 일본 彌谷寺. 290
(圖 139) 〈지장시왕도〉, 1586년, 마본채색, 196.1 x 175.8cm, 일본 國分寺. 291
(圖 140) 〈지장시왕도〉, 1587년, 마본채색, 98.5 x 80.8cm, 일본 持福寺. 291
(圖 141) 〈지장시왕도〉, 1589년, 마본채색, 128.8 x 98.3cm, 일본 善光寺. 291
(圖 14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아마타삼존좌상 중 지장보살상〉, 1478년, 강진 무위사. 291
(圖 143) 〈목포 달성사 시왕상 일괄〉, 1565년, 높이 각 130cm 내외, 목포 달성사. 292
(圖 144) 〈익산 중림사 시왕상 일괄〉, 조선 1634년, 높이 각 130cm 내외, 익산 승림사. 292
(圖 145) 〈지장시왕도〉, 1708년, 마본채색, 120.0 x 163.0cm, 함양 벽송사. 292
(圖 146) 〈북지장사 지장시왕도〉, 1725년, 견본채색, 224.5 x 179.4cm, 국립중앙박물관. 292
(圖 147) 〈실상사 지장시왕도〉, 1726년, 견본채색, 209.5 x 209.0cm, 동국대학교 박물관. 293
(圖 148) 〈지장육광보살도〉, 15세기, 견본채색, 129.5 x 77.5cm, 일본 與田寺. 293
(圖 149) 〈지장육광보살도〉, 16세기, 견본채색, 154.0 x 144.4cm, 일본 寶壽院. 293
(圖 150) 〈지장육광보살도〉, 16세기, 견본채색, 172.6 x 158.3cm, 일본 根津美術館. 293
(圖 151) 〈시왕경도권〉 "육광보살" 부분, 일본 久保惣記念美術館. 294
(圖 152) 투르판 출토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의 "육광보살" 부분 294
(圖 153) 국보 206-10호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의 "육광보살" 부분. 294
(圖 154) 〈백지은니지장보살본원경권중〉, 고려, 백지은니, 35.2 x 12.2cm,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294
(圖 155) 〈지장보살본원경변상도〉 1469년(도성암간본), 지본묵선, 31.8 x 20.5cm, 단양 구인사. 295
(圖 156) 〈지장보살본원경변상도〉 1791년(송광사간본), 지본묵선, 30.8 x 19.8cm, 고양 원각사. 295
(圖 157) 〈지장시왕도〉, 1558년, 마본채색, 171.9 x 170.8cm, 일본 七寺. 295
(圖 158) 〈지장시왕18지옥도〉, 1575-1577년, 견본채색, 209.5 x 227.3cm, 일본 知恩院. 296
(圖 159) 〈천장·지지보살도〉, 1568년, 마본채색, 198.0 x 188.8cm, 일본 如意寺. 296
(圖 160) 〈천장보살도〉, 1541년, 마본채색, 200.5 x 163.1cm, 일본 多聞寺. 296
(圖 161) 〈천장보살도〉, 1572년, 마본채색, 179.5 x 123.6cm, 일본 常喜院. 297
(圖 162) 〈천장보살도〉, 1583년, 마본채색, 154.1 x 111.2cm, 일본 安國寺. 297
(圖 163) 〈삼장보살도〉, 1591년, 마본채색, 140.0 x 167.8cm, 일본 延命寺. 297
This study focused on the paintings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地藏十王圖) remainded 7 pieces in the late Goryeo Dynasty(918-1392), and analyzed current condition, background of production and constitution, origin, a specific elements of icon, on the basis of the current pieses. Also, This compared with paintings of Joseon Dynasty(1392-1910), had a historical consideration about succession and evolu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Dynasty.
The paintings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Kings during Goryeo was consisted of Ksitigarbha Triad(地藏菩薩三尊), Ten Kings(十王), Catvasrahmaha(四天王), Sakra devānām Indra(帝釋天), Brahma-Deva(梵天), The Lion with Blue Mane(金毛獅子). Production of this painting was perceived as influence of the faith of Ksitigarbha and Ten Kings. Furthermore, a heavy damage of natural disaster, contagious disease, foreign invasion during late Goryeo reinforced desire of redemption from the Last Judgment.
This painting was originated from the Dunhuang's icon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Kings. However, the Dunhuang's painting was not accepted, directly, in Goryeo Dynasty, because of a chronological and geographical gap from between Goryeo and Dunhuang. The Goryeo's craftman recognized not the Dunhuang's painting but major motifs from the sutra or a visual materials of previous period, like The Lion with Blue Mane.
At the same time, in Southern Song, China, the painting of hell scene was produced as Ten Kings made of ten picture, was separated from Ksitigarbha. On the other hand, in Goryeo, this made of a only one picture, was produced as Ksitigarbha with Ten kings. This difference was related Gwonmunsejok(權門勢族), a particular class who supported the produc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and Wondang(願堂), a small hermitage for located the buddhist paintings. Also, appearance of Catvasrahmaha, Sakra devānām Indra, Brahma-Deva, absence of Six Paths(六道) and hell scenes in Goryeo's the paintings of Ksitigarbha and Ten Kings is unique point.
Meanwhile, Goryeo's the paintings of Ksitigarbha and Ten Kings is loyal to style of the Goryeo's buddhist paintings. And several works seems similarity on details. This sharing reflected preference for the specific icons and suggested that craftsmans lived at hand for influence each other's paintings. In Joseon Dynasty, the Goryeo's paintings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was succeeded, but there has been a change. The greatest change was enlargement of picture, and produced as Ten Kings made of ten picture. The purpose of the painting was for setting to the Buddhist temple.
In addition, appearance of new icon, like the Six Light Bodhisattvas(六光菩薩), the hell scene was reinforced roll of Ksitigarbha as a savior. And the Ksitigarbha and Ten Kings is appeared in the three Bodhisattva painting, this means expansion of the roll of Ksitigarbha's icon.
After war of 1592(壬辰倭亂), in 17th century, the Ksitigarbha and Ten Kings was changed to sculpture in Myeongbujeon, for meterialized afterworld. and then in 18th century, many Buddihst painting was produced, above all, the painting of the Ksitigarbha and Ten Kings in this century succeeded Continuously previous Goryeo's icon.
Therefore, the Goryeo's paintings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was developed unlike chinese buddihst painting, the icon is worth because of that was succeeded very well to the next Joseon Dynasty.*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